표제지
목차
요약 11
EXECUTIVE SUMMARY 19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0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0
2. 연구목적 32
제2절 연구범위 및 추진방법 33
1. 연구의 내용적 범위 33
2. 연구 추진방법 34
제3절 선행연구 검토 35
제2장 양식활어 유통ㆍ가격에 대한 이론적 검토 40
제1절 양식활어 유통 효율성 관련 이론 40
1. 유통의 역할과 효용 40
2. 유통 효율성의 개념 42
3. 공급망 효율성 48
제2절 양식활어 비대칭적 가격전이 실증분석 57
1. 분석모형 57
2. 분석자료 60
3. 분석결과 62
제3절 시사점 66
제3장 양식활어 유통 실태 및 문제점 67
제1절 유통환경의 변화 67
1. 국내 유통산업의 환경 변화 68
2. 수산부문 유통환경의 변화 71
3. 수산부문 소비트렌드 76
4.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과 시사점 79
제2절 국내외 사례 분석 82
1. 해외 사례 82
2. 국내 사례 88
제3절 양식활어 유통 실태 91
1. 개요 91
2. 주요 단계별 유통 물량 92
3. 도매시장별 수산물 유통 현황 94
4. 양식활어 유통비용 96
제4절 전국 지역별 양식활어 구매력과 유통량 추정 98
1. 지역별 양식활어 구매력 산정 98
2. 양식활어 거점 도매시장별 유통물량 추정 103
제5절 양식활어 유통단계별 문제점 107
1. 생산단계의 문제점 107
2. 유통단계의 문제점 110
제4장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 추진전략 114
제1절 기본방향 114
제2절 양식활어 유통환경 분석 118
1. SWOT 분석 118
2. 전문가 델파이 조사 121
제3절 추진전략 134
제4절 추진전략별 세부과제 137
1. 양식활어 최적 공급망 구축 및 관리 137
2.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유통 효율화 147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51
제1절 결론 151
제2절 정책 제언 153
1. 양식활어 공급망 데이터 연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 153
2. 직거래 중심의 새로운 양식활어 전문유통센터 조성 154
3. O2O 기반으로 기존 소비지도매시장 운영 155
4. 전문유통센터의 운영주체 선정, 재원확보 방안 등 필요 155
참고문헌 157
판권기 168
〈표 1-1〉 본 연구의 추진방법 35
〈표 1-2〉 양식활어 유통 효율성 관련 선행연구 39
〈표 2-1〉 SCOR 모델의 성과 평가요소 51
〈표 2-2〉 BSC를 바탕으로 한 식품공급망 효율성 평가요소 54
〈표 2-3〉 농식품 공급망 성능평가 요소 55
〈표 2-4〉 수산물 공급망 성능평가 요소 56
〈표 2-5〉 ADF 단위근 검정결과 62
〈표 2-6〉 VAR 모형의 최적 시차 설정 63
〈표 2-7〉 그랜저 인과성(Granger causality) 검정결과 63
〈표 2-8〉 비대칭적 가격전이 모형 추정결과 65
〈표 3-1〉 유통환경 변화와 업태별 현황 70
〈표 3-2〉 어업별 수산물 유통구조 및 특징 71
〈표 3-3〉 수산물 계통 출하율 추이 72
〈표 3-4〉 도매시장 수산부류 거래실적 현황 73
〈표 3-5〉 소매업태별 판매액 현황 74
〈표 3-6〉 온라인 쇼핑 식품부문 판매액 현황 74
〈표 3-7〉 수산물 주요 간편식 제품 77
〈표 3-8〉 수산물 구입 방식 78
〈표 3-9〉 수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79
〈표 3-10〉 일본 수산물 도매시장 경유율 추이 83
〈표 3-11〉 참돔과 방어의 중앙도매시장 경매 현황(2018년) 83
〈표 3-12〉 행정 구역별 양식활어 생산량(계통, 비계통) 현황(2019년) 92
〈표 3-13〉 수산물 취급 도매시장 현황(2018년 기준) 95
〈표 3-14〉 양식넙치의 유통비용 구조(활어, 제주→대형소매점 기준) 96
〈표 3-15〉 양식전복의 유통비용 구조(활어, 완도→대형소매점 기준) 97
〈표 3-16〉 지역별 구매력 지수(BPI) 100
〈표 3-17〉 지역별 양식활어 구매력 및 수급 현황 추정(2016년~2018년) 101
〈표 3-18〉 양식활어 거점 도매시장 유통물량(2019년 추정치) 104
〈표 3-19〉 양식활어 거점 도매시장 유통물량(2016~18년 평균, 추정치) 105
〈표 3-20〉 권역별 양식활어 구매력 및 도매 유통 물량(생산량 기준) 105
〈표 3-21〉 양식활어 도ㆍ소매단계의 유통실태와 문제점 113
〈표 4-1〉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를 위한 SWOT 분석 120
〈표 4-2〉 전문가 델파이 조사 패널 구성 121
〈표 4-3〉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 추진전략 도출을 위한 델파이 조사 개요 122
〈표 4-4〉 양식활어 유통환경의 기회요인 123
〈표 4-5〉 양식활어 유통환경의 위협요인 125
〈표 4-6〉 양식활어 유통환경의 강점요인 127
〈표 4-7〉 양식활어 유통환경의 약점요인 128
〈표 4-8〉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 전략 131
〈표 4-9〉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 전략별 평균 점수 132
〈표 4-10〉 권역별 FPC 및 FDC 건립계획(안) 144
〈표 4-11〉 양식활어 공급망 성능평가 요소(안) 146
〈그림 2-1〉 산지 및 도매 가격공간의 균형 43
〈그림 2-2〉 비대칭적 가격전이의 판별기준 및 유형 47
〈그림 2-3〉 SCOR 모델 개념도 49
〈그림 2-4〉 BSC 모델 개념도 52
〈그림 2-5〉 식품공급망 구조 및 단순화 53
〈그림 2-6〉 BSC 공급망 효율성 평가요소 간 관계도 54
〈그림 2-7〉 넙치 생산자물가지수와 생선회(외식)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61
〈그림 2-8〉 넙치 산지가격 및 도매가격 추이 61
〈그림 3-1〉 연도별 유통(소매)업태별 판매액 추이 69
〈그림 3-2〉 온라인 쇼핑몰별 수산부문 페이지 76
〈그림 3-3〉 수산물(생선류) 조달 빈도 78
〈그림 3-4〉 농산물 유통 효율성 제고 방향 사례 80
〈그림 3-5〉 온라인 식품 유통의 가격형성 구조 81
〈그림 3-6〉 일본 방어와 참돔의 주요 유통경로 82
〈그림 3-7〉 일본 참돔과 방어 양식경영체의 종류와 수의 변화 84
〈그림 3-8〉 중국 하마선생(盒马鲜⽣)의 양식수산물 유통구조 86
〈그림 3-9〉 오카도 유통체계 및 물류 자동화 시스템 87
〈그림 3-10〉 인어교주해적단 플랫폼 페이지 89
〈그림 3-11〉 은하수산 활어 필렛 가공 자동화 공정 90
〈그림 3-12〉 양식활어의 계통출하와 비계통출하 비율 92
〈그림 3-13〉 양식활어 유통구조 및 단계별 유통 물량(2019년 추정치) 94
〈그림 3-14〉 권역별 양식활어 구매력 및 유통물량 비교 106
〈그림 4-1〉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를 위한 기본 방향 118
〈그림 4-2〉 전략별 중요도 및 실현가능성 평가 133
〈그림 4-3〉 양식활어 유통 효율화 추진전략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