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004일러두기 016이 책을 보는 방법 017쓰임말 풀이 018새의 각 부분 명칭 021새의 관찰과 식별 방법 022새들의 학명 030아비목아비과회색머리아비 034새의 생태와 문화ㆍ 멸치떼를 따라 몰려다니는 바닷새, 회색머리아비 037논병아리목논병아리과뿔논병아리 038새의 생태와 문화ㆍ 장거리 이동을 위해 몸 전체를 바꾸는 검은목논병아리 041사다새목가마우지과민물가마우지 042새와 사람민물가마우지 물고기잡이 045새의 생태와 문화ㆍ 민물가마우지의 배설물 045ㆍ 새들이 체내의 수분을 조절하는 능력 045황새목백로과덤불해오라기 046새의 생태와 문화ㆍ 먹고, 놀고, 씻고, 잠자기 049검은댕기해오라기 050새의 생태와 문화ㆍ 가짜 먹이로 물고기를 사냥하는 검은댕기해오라기 053ㆍ 새들의 영리한 먹이 먹기방법과 도구사용 053흰날개해오라기 054새와 사람기후변화가 새들에게 미치는 영향 055새의 생태와 문화ㆍ 농민과 새의 아름다운 약속, 생물다양성관리계약 057황로 058새의 생태와 문화ㆍ 전설의 새, 봉황 061ㆍ 새는 얼마나 다양할까? 061중대백로 062새와 사람고결함의 상징, 백로 065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피부 색깔의 변화 065노랑부리백로 066새와 사람노랑부리백로를 위협하는 요인 069왜가리 070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배설(Excretory) 073황새과황새 074새와 사람모성애가 깊고 어미새에게 효도하는 황새 077새의 생태와 문화ㆍ 야생 황새의 복원 077저어새과저어새 078새의 생태와 문화ㆍ 저어새의 멸종위기와 서식지 감소 081ㆍ 야생동물 멸종위기의 원인 081따오기 082새와 사람농촌의 새 085새의 생태와 문화ㆍ 따오기의 복원 085기러기목오리과개리 086새의 생태와 문화ㆍ 동물지리구 089ㆍ 세계의 조류 분포 089쇠기러기 090새와 사람기러기의 깃털과 상징 093새의 생태와 문화ㆍ 기러기가 V자 편대로 나는 이유 093혹고니 094새와 사람작곡가의 뮤즈, 백조 095새의 생태와 문화ㆍ 혹고니 이야기 097큰고니 098새와 사람신화와 백조 101새의 생태와 문화ㆍ 반쪽 잠을 자는 조류의 수면 101고니 102새와 사람백조의 마지막 노래 105새의 생태와 문화ㆍ 하늘을 날기 위해 진화한 새 105혹부리오리 108원앙 110새와 사람원앙은 진짜 금슬이 좋을까? 113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번식 형태 115ㆍ 원앙사촌은 멸종한 것일까? 115청둥오리 116새와 사람오리의 가축화 119새의 생태와 문화ㆍ 철새들의 이동에 따른 위험과 희생 119ㆍ 조류충돌, 버드 스트라이크 120흰뺨검둥오리 122새와 사람흰뺨검둥오리를 위해 차를 멈춘 사람들 123새의 생태와 문화ㆍ 서식지 파편화와 생태통로 125ㆍ 새들의 합동미팅 125가창오리 126새와 사람한때 멸종위기였던 가창오리 129새의 생태와 문화ㆍ 탐조 가이드 129청머리오리 130새의 생태와 문화ㆍ 땀샘은 없지만 기름샘은 있는 새 133ㆍ 먹이에 따라 다른 조류의 부리형태 133흰죽지 134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 관찰의 예절(미국조류협회) 137호사비오리 138새의 생태와 문화ㆍ 펭귄 이름의 유래가 된 큰바다오리 141매목물수리과물수리 142새와 사람물수리에 얽힌 전설과 신화 145수리과흰꼬리수리 146새와 사람서양의 상징 새로 선호된 수리 149새의 생태와 문화ㆍ 날지 못하는 새, 도도 149독수리 150새의 생태와 문화ㆍ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독수리 보전문제 153ㆍ 천장(天葬) 풍습과 고산대머리수리 153ㆍ 콘도르와 잉카문명 155검독수리 156새의 생태와 문화ㆍ 검독수리의 사냥 159ㆍ 검독수리와 국가문양 159붉은배새매 160새의 생태와 문화ㆍ 생물량 피라미드와 자연 환경 163말똥가리 164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행동권과 세력권 167매과매 168새와 사람강한 의지를 상징하는 매 169새의 생태와 문화ㆍ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재조명되는 매사냥 풍습 171ㆍ 파라오의 화신, 호루스(Horus) 173새호리기 174황조롱이 176새와 사람황조롱이의 가치 179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의 비행을 위한 최적의 다이어트 179ㆍ 조류의 소화기관의 형태와 기능 179ㆍ 먹이의 소화와 흡수 181닭목들꿩과들꿩 182새와 사람그림의 떡, 들꿩 고기 185새의 생태와 문화ㆍ 들꿩의 과시행동과 분포 185ㆍ 조류의 과시행동과 원주민의 춤 187ㆍ 바다오리류는 향수를 사용한다. 187꿩과꿩 188새와 사람영물을 상징하는 흰꿩과 은혜갚은 꿩 190두루미목뜸부기과쇠뜸부기사촌 194뜸부기 196새와 사람물닭과 뜸부기를 혼동한 농민들 199쇠물닭 200새와 사람쇠물닭의 맛 203새의 생태와 문화ㆍ 사다새(펠리칸)의 부리와 사냥 203물닭 204새의 생태와 문화ㆍ 다른 물닭의 둥지에 탁란하는 미국물닭 207두루미과두루미 208새와 사람두루미의 수명 210새의 생태와 문화ㆍ 두루미의 춤, 학춤 213ㆍ 점차 개체수가 늘어나는 두루미 214재두루미 216새의 생태와 문화ㆍ 위협받는 재두루미 서식지 219ㆍ 히말라야를 넘는 바람의 새, 쇠재두루미 219흑두루미 220새와 사람흑두루미로 둔갑한 아내 221새의 생태와 문화ㆍ 한반도에 찾아오는 흑두루미 223ㆍ 람사르 협약 225도요목물떼새과꼬마물떼새 226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번식생활 229ㆍ 새들의 다양한 혼인제도 230ㆍ 새들의 혼인기간 233댕기물떼새 234새의 생태와 문화ㆍ 철새의 이동에 대한 옛사람들의 생각 237호사도요과호사도요 238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의 번식전략 241물꿩과물꿩 242도요과깝작도요 244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알 성분과 알껍질 246ㆍ 조류의 알 색깔과 질감 246ㆍ 조류의 알 크기와 모양 그리고 비행능력 247ㆍ 다양한 색과 크기의 알 249큰뒷부리도요 250새의 생태와 문화ㆍ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까지 이동하는 새 252ㆍ 중간기착지에서 에너지의 보급과 조절 그리고 국제협력 252알락꼬리마도요 254새와 사람도요새의 부리와 대합의 닫힌 입-어부지리(漁夫之利) 257새의 생태와 문화ㆍ 냄새로 먹이를 찾는 키위(Kiwi) 257갈매기과괭이갈매기 258새와 사람의리의 새, 갈매기 261새의 생태와 문화ㆍ 침입자 쫓아내는 무기, 새의 배설물 261비둘기목비둘기과녹색비둘기 262새와 사람책임감 강한 목동의 새, 녹색비둘기 263새의 생태와 문화ㆍ 벌집 왁스와 꿀 채취를 통한 상리공생 264ㆍ 조류의 채식과 소화 265멧비둘기 266새와 사람평화의 상징과 전쟁의 사자 269새의 생태와 문화ㆍ 비둘기의 귀소 본능 269ㆍ 피죤 밀크와 플라밍고의 붉은 밀크 271두견이목두견이과뻐꾸기 272새와 사람어부사시사 275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탁란과 공진화 277두견이 278새와 사람쓸쓸하고 애달픈 새, 두견 280새의 생태와 문화ㆍ 야생 조류와 유리창 충돌 281올빼미목올빼미과수리부엉이 282쇠부엉이 284새와 사람부엉이의 무기, 발톱 287새의 생태와 문화ㆍ 왜 철새는 이동하는가? 287올빼미 288새와 사람동양은 불운의 상징, 서양은 지혜의 상징 291소쩍새 292새와 사람풍년과 흉년의 새 295쏙독새목쏙독새과쏙독새 296새의 생태와 문화ㆍ 동면하는 북미서부쏙독새 299ㆍ 쏙독새의 별 299파랑새목물총새과청호반새 300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후각 302호반새 304새와 사람호반새의 효심 307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미각 307물총새 308새와 사람그림을 그리는 새, 물총새 311새의 생태와 문화ㆍ 물총새의 특별한 구애행동 313파랑새과파랑새 314새와 사람「파랑새요」 316후투티과후투티 318새와 사람아프가니스탄 전쟁과 후투티 321새의 생태와 문화ㆍ 날지 못하는 새 321딱다구리목딱다구리과쇠딱다구리 322오색딱다구리 324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의 집짓기 325ㆍ 새들은 어디서 자는가? 327청딱다구리 328까막딱다구리 330크낙새 332새의 생태와 문화ㆍ 멸종위기의 크낙새 335참새목팔색조과팔색조 336새의 생태와 문화ㆍ 예술 작품에 나타난 새 339종다리과종다리 340새와 사람종다리의 노래 343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비행 방법과 날개의 진화 343제비과제비 344새와 사람우리 생활에 가까운 제비 347새의 생태와 문화ㆍ 개체수가 감소하는 제비 347갈색제비 348할미새과노랑할미새 350새의 생태와 문화ㆍ 문장에 썼던 할미새 무늬 353ㆍ 계절에 따라 곤충 애벌레도 먹고 식물종자도 먹는 조류 353알락할미새 354새와 사람행복을 가져다주는 새 357새의 생태와 문화ㆍ 논습지의 기능 357힝둥새 358물레새 360할미새사촌과할미새사촌 362직박구리과직박구리 364새와 사람겨울철 야생 조류 먹이주기 367새의 생태와 문화ㆍ 야생 조류가 내는 소리와 그 의미 367때까치과때까치 368새의 생태와 문화ㆍ 공간기억력과 해마 371여새과황여새 372물까마귀과물까마귀 374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둥지 377굴뚝새과굴뚝새 378새와 사람꾀가 많은 굴뚝새 381새의 생태와 문화ㆍ 세계에서 가장 큰 새와 작은 새 381솔딱새과울새 382유리딱새 384딱새 386새의 생태와 문화ㆍ 부화에 지열 및 발효열을 이용하는 새들 388검은딱새 390새의 생태와 문화ㆍ 철새의 이동시기 변화 393ㆍ 철새의 이동 시간대: 낮과 밤 393흰눈썹황금새 394새의 생태와 문화ㆍ 번식 성공을 위한 최적의 한배산란수 397ㆍ 새들의 깃털의 종류 397노랑딱새 398바다직박구리 400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깃털 색의 비밀 403ㆍ 깃털사냥과 깃털패션 403지빠귀과호랑지빠귀 404새와 사람불운을 부르는 호랑지빠귀의 노래 407새의 생태와 문화ㆍ 깃털의 다양한 기능 407되지빠귀 410개똥지빠귀 412새의 생태와 문화ㆍ 깃갈이(換羽, moult) 415휘파람새과휘파람새 416새와 사람천금 같은 휘파람새의 노랫소리 419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신호소리(call)와 울음소리(song)의 의미 419ㆍ 시조새, 새 깃털의 기원과 날게 된 동기 421개개비과개개비 422새의 생태와 문화ㆍ 구애의 필수조건, 둥지와 정원 425꼬리치레과붉은머리오목눈이 426새와 사람뱁새 속담의 주인공 429새의 생태와 문화ㆍ 항공사의 로고와 새 429솔새과산솔새 430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소리(vocalization) 433긴꼬리딱새과긴꼬리딱새 434새의 생태와 문화ㆍ 긴 꼬리를 더 좋아하는 암컷 긴꼬리딱새 437ㆍ 새들의 연주기(年周期, Annual cycles) 437ㆍ 극락조 이야기 438오목눈이과오목눈이 440새의 생태와 문화ㆍ 세계에서 가장 큰 둥지를 만드는 새 443박새과곤줄박이 444새와 사람점 치는 새 447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의 포란과 포란하지 않는 새 447쇠박새 448새의 생태와 문화ㆍ 산새의 먹이저장행동 451진박새 452새의 생태와 문화ㆍ 추위에 대한 적응 455박새 456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은 번식시기를 어떻게 결정할까? 459동고비과동고비 460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이 좋아하는 장소 463ㆍ 조류와 매운 맛 463동박새과동박새 464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들이 좋아하는 씨앗과 열매 467ㆍ 나뭇잎이 주식인 새, 호아친(Hoatzin) 469멧새과쑥새 470노랑턱멧새 472새의 생태와 문화ㆍ 야생 조류의 공익적 기능, 씨 뿌리기 475되새과방울새 476새와 사람동요「방울새」 477새의 생태와 문화ㆍ 명금류의 소리와 진화 479멋쟁이새 480새와 사람멋쟁이새 바꾸기 483새의 생태와 문화ㆍ 계절에 따라 증감하는 새의 장기기억 저장소 해마 483밀화부리 484새의 생태와 문화ㆍ 진화론의 중요한 단서, 다윈핀치 487콩새 488새와 사람콩새의 자태 491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귀와 청각 491솔잣새 492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의 부리 495참새과참새 496새와 사람해로운 새라는 불명예를 벗은 참새 499새의 생태와 문화ㆍ 새가 걷는 방법 501ㆍ 야생 조류가 숲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 501찌르레기과찌르레기 502새와 사람이상세계로 인도하는 찌르레기 503새의 생태와 문화ㆍ 철새가 길을 찾는 법 505ㆍ 조류와 자기장 505붉은부리찌르레기 506꾀꼬리과꾀꼬리 508새와 사람최초의 서정시에 등장한 꾀꼬리 511새의 생태와 문화ㆍ 공동육아로 새끼를 키우는 새 511까마귀과어치 512새의 생태와 문화ㆍ 어치의 먹이저장행동 515ㆍ 새끼새의 자극적인 구강색은 배가 고프다는 신호 515까치 516새와 사람동방의 길조, 까치 519새의 생태와 문화ㆍ 까치의 섬 토착화 훈련, 그 후 521까마귀 522새와 사람길조이거나 흉조이거나, 알쏭달쏭한 까마귀의 이미지 525새의 생태와 문화ㆍ 조류의 지능 526ㆍ 까마귀 목욕 527ㆍ 새들의 놀이 527부록1중국 자룽습지 532일본 구시로습원 534일본 이즈미 평야 536극동러시아 두루미류 번식지 538킹조지섬 세종과학기지의 펭귄마을 540남극대륙 장보고과학기지의 펭귄 546펭귄의 보육원 552부록2멸종위기 야생생물 554천연기념물 555국가적색목록 556북한의 새 이름 558참고문헌 560찾아보기 564지은이 소개 574사진 도움 주신 분 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