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6
제1장 서론 8
1. 배경과 목적 8
2. 방법론과 구성 17
제2장 기후변화와 감염병의 위험(risk) 19
1.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서의 기후변화 19
(1) 기후변화 위험 개요 19
(2) 기후변화 위험 종류별 현황 24
2.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서의 감염병 34
제3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그린스완의 현황과 대응 37
1. 코로나 19의 영향 - 환경, 경제 부문 37
(1) 환경 부문 영향 37
(2) 경제 부문 영향 40
2. 코로나 19 이후 그린스완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 43
제4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그린스완에 대응하는 산업계 동향과 전망 48
1.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투자 강화 49
(1) ESG 투자의 의미와 동향 49
(2) 코로나 19의 영향과 전망 53
(3) 도전과제 55
2. 녹색활동의 객관성과 투명성 제고 58
(1) 기후변화 정보공개 강화 59
(2) 분류체계를 고려한 녹색활동 증진 64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71
1.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하는 그린스완에 대응 72
(1) 전환 위험의 선제적 대응: 좌초자산 대비와 영향의 최소화 72
(2) 그린스완 범주 확장의 이해와 대응 76
2. ESG 주류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비 78
(1) 기업의 ESG 정보공시 부담 경감과 유인책 마련 79
(2) ESG 평가 기준과 절차의 일관성 제고 80
참고문헌 83
판권기 87
〈표 1-1〉 기후변화와 금융의 관계에 관한 논의 심화 경과 10
〈표 1-2〉 스완 개념 비교 15
〈표 2-1〉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20년 10대 글로벌 위기 20
〈표 2-2〉 은행 자산에 대한 기후 관련 금융 위험 사례 23
〈표 2-3〉 2017년 50대 주요 자연재해의 경제적 손실 27
〈표 2-4〉 기후변화의 전환 위험과 대응 사례 33
〈표 2-5〉 팬데믹 관련 수요공급 충격 요인 35
〈표 4-1〉 ESG 투자 접근방식 50
〈표 4-2〉 비교분석에 활용된 국내 ESG 평가기관이 ESG 평가에 사용한 기준(대분류) 비교 58
〈표 4-3〉 금융위원회의 기업공시제도 종합 개선방안(2021. 1. 14)의 기본방향 61
〈표 4-4〉 녹색 금융 분류체계의 용도 66
〈표 4-5〉 해외 녹색 분류체계 사례별 주요 사항 비교 69
〈표 5-1〉 기관 투자자들의 다이베스트먼트 사례 74
〈그림 2-1〉 2007~2020년 기간의 주요 위험 변화 추이 21
〈그림 2-2〉 기후 관련 위험, 기회와 금융계의 영향 22
〈그림 2-3〉 자연재해 발생 횟수 추이(1980~2019년) 25
〈그림 2-4〉 자연재해로 인한 전체 경제적 손실액과 보험에 가입된 손실액의 추세(1980~2017년) 26
〈그림 2-5〉 2017년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별 보험 갭(gap) 현황 27
〈그림 2-6〉 자연재해 영향의 금융 섹터와 거시경제 전파 경로 31
〈그림 3-1〉 우리나라 월별 대기오염 농도 추이 39
〈그림 3-2〉 대기오염물질별 2017~2019년 전국 평균 농도와 2020년 농도 비교 39
〈그림 3-3〉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추이 비교 41
〈그림 3-4〉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한국의 수출입 금액 추이 42
〈그림 3-5〉 2015~2020년 기간 방한 외래관광객과 국민 해외관광객 수 추이 42
〈그림 3-6〉 감염병 위험 대응과 여타 개발목표와의 관계 45
〈그림 4-1〉 투자 유형의 스펙트럼과 특징 49
〈그림 4-2〉 미국 경제 부문별 대표 기업의 ESG 평가와 신용등급 평가 결과 비교(2019년) 55
〈그림 4-3〉 국내 ESG 평가기관의 ESG 평가 결과 일관성 분석(x축 : A기관, y축 : B기관) 57
〈그림 4-4〉 주체별 비재무 정보 보고조항 수의 변화(2016년, 2020년) 63
〈그림 4-5〉 주체에 따른 보고조항 유형별 개수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