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목적 1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1) 연구의 범위 14
2) 연구의 방법 15
3. 기대효과 15
제2장 국내외 혁신클러스터 조성사례 조사 16
1. 클러스터의 정의 및 유형 16
1) 클러스터의 정의 16
2) 클러스터의 유형 18
2. 국내외 주요 혁신클러스터 비교 24
1) 국내 주요 혁신클러스터 24
2) 해외 주요 혁신클러스터 29
3) 국내외 주요 클러스터 비교 34
3. 국내외 주요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37
1) 해외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37
2) 국내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40
4. 시사점 42
제3장 블록체인 관련 부산시 혁신 여건 분석 45
1. 부산지역 블록체인 관련 클러스터 현황 45
1) 부산지역 산업단지 현황 45
2) 부산연구개발특구 현황 47
3) 부산혁신도시 현황 48
2. 부산지역 블록체인 관련 혁신자원 현황 52
1) 부산지역 블록체인 관련 거점기관 현황 52
2) 부산지역 블록체인 관련 R&D 기관 현황 53
3) 부산지역 블록체인 관련 대학(대학원) 현황 54
4) 부산지역 소프트웨어 교육기관 현황 57
3. 부산지역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설문조사 59
1) 설문조사 설계 59
2) 기업 매출액 및 종사자 현황 59
3) 입지 매력도 및 만족도 61
4) 블록체인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 선호도 63
5) 역외 기업의 블록체인 클러스터 내 이전 의향 68
4. 시사점 68
제4장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조성 전략 및 과제 70
1. 부산 블록체인 산업 SWOT 분석 70
1) S-O(Strength-Opportunity) 전략 70
2) W-O(Weakness-Opportunity) 전략 70
3) S-T(Strength-Threat) 전략 71
4) W-T(Weakness-Threat) 전략 71
2.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비전 및 전략 74
1)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비전 74
2)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기본방향 74
3)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주요기능('SMEs BI') 75
3.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추진과제 77
1) 창업지원 기능(Startup Support) 77
2) 인력양성 기능(Manpower training) 80
3) 기업지원 기능(Enterprise support) 83
4) 비즈니스 거점(Business base) 86
5) 산학연 네트워크 거점(Industry-academia-related network) 89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93
1. 결론 93
2. 정책제언 95
1) 문현 금융중심지를 금융특구로 확대 지정(금융특구법 개정) 95
2) 2단계 금융 공공기관 이전 조기 추진(문현 금융중심지 개발) 96
3)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제도 개선 요구(네거티브 제도 도입) 97
4) 부산시 민관 규제혁신추진단 구성ㆍ운영(법개정 로드맵 수립) 98
참고문헌 99
[부록 1] 설문지 102
[부록 2]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추진과제 109
1) 창업지원 기능(Startup Support) 109
2) 인력양성 기능(Manpower training) 118
3) 기업지원 기능(Enterprise support) 126
4) 비즈니스 거점(Business base) 134
5) 산학연 네트워크 거점(Industry-academia-related network) 143
판권기 151
〈표 2-1〉 클러스터의 정의 18
〈표 2-2〉 클러스터 분석을 위한 주요 인자 19
〈표 2-3〉 시기별 국내 산업단지 정책 변화 23
〈표 2-4〉 대덕연구개발특구 범위 27
〈표 2-5〉 대덕연구개발특구 면적 27
〈표 2-6〉 지역별 산업 분포 현황 30
〈표 2-7〉 국내외 주요 혁신클러스터 비교 34
〈표 2-8〉 해외 블록체인 성공사례 및 시사점 37
〈표 2-9〉 해외 블록체인 지원기관 사례 39
〈표 2-10〉 서울시 블록체인 활성화 전략 40
〈표 2-11〉 국내 블록체인 지원기관 사례 41
〈표 2-12〉 국내외 클러스터 시사점 42
〈표 3-1〉 부산지역 산업단지 현황 46
〈표 3-2〉 부산연구개발특구 범위 47
〈표 3-3〉 부산 혁신도시 이전기관 주요기능 48
〈표 3-4〉 문현금융단지 사업개요 49
〈표 3-5〉 층별 용도(계획) 50
〈표 3-6〉 지역 혁신클러스터 유형 52
〈표 3-7〉 주요 지역 혁신거점기관의 기능 비교 53
〈표 3-8〉 지역혁신지원기관의 주요기능 및 특징 정리 54
〈표 3-9〉 부산지역 관련 학과 현황 55
〈표 3-10〉 융합보안 대학원 선정 현황 56
〈표 3-11〉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선정 현황 58
〈표 3-12〉 권역별 SW 중심대학 선정 현황 58
〈표 3-13〉 응답자 특성 59
〈표 3-14〉 2018~2020년 조사대상 기업 매출액 60
〈표 3-15〉 2018~2020년 조사대상 기업 종사자수 61
〈표 3-16〉 입지 선정 시 매력도 및 입주 후 만족도 조사 63
〈표 3-17〉 추가적인 블록체인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의견 64
〈표 3-18〉 신규로 블록체인 클러스터를 조성하기에 적절한 곳 65
〈표 3-19〉 부산에 신규로 블록체인 클러스터를 조성하기에 적절한 곳 65
〈표 3-20〉 부산 블록체인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66
〈표 3-21〉 부산 블록체인 클러스터 조성 시 인접해야 할 주요 생활인프라 66
〈표 3-22〉 부산 블록체인 클러스터 조성 시 설치가 필요한 주요 공공인프라 67
〈표 3-23〉 부산 블록체인 클러스터 조성 시 동반 유치가 필요한 민간인프라 67
〈표 3-24〉 부산지역 블록체인 클러스터 관련 시사점 68
〈표 4-1〉 부산 블록체인 산업 SWOT 분석 72
〈표 5-1〉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추진과제 94
〈그림 1-1〉 혁신클러스터의 범위 13
〈그림 1-2〉 연구구성도 14
〈그림 2-1〉 혁신클러스터의 개념과 구성요소 17
〈그림 2-2〉 클러스터의 일반적인 분류 20
〈그림 2-3〉 산업군집의 유형별 발전단계 21
〈그림 2-4〉 양재 R&CD 특구 24
〈그림 2-5〉 G밸리 구성도면 25
〈그림 2-6〉 판교테크노밸리 조성도 26
〈그림 2-7〉 대덕연구개발특구 배치도 28
〈그림 2-8〉 현재 건설 중인 Yards sprawling complex 29
〈그림 2-9〉 영국 혁신클러스터 추진 경과 31
〈그림 2-10〉 스테이션F 전경 32
〈그림 2-11〉 아들러스호프 전경 33
〈그림 2-12〉 스위스 블록체인 생태계 특성 38
〈그림 2-13〉 마포와 개포에 블록체인 집적단지 조성 40
〈그림 3-1〉 통합개발 3단계 사업 부지위치도 51
〈그림 3-2〉 부산문현혁신도시 복합개발사업 3단계 조감도 51
〈그림 3-3〉 지역 ICT이노에이션스퀘어 구성도 57
〈그림 3-4〉 최근 3년 매출액 59
〈그림 3-5〉 최근 3년 종사자수 61
〈그림 4-1〉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조성 방안 비전 및 전략 도출 절차 73
〈그림 4-2〉 부산 블록체인 혁신클러스터 조성 방안 76
〈표 1〉 인력구성 110
〈표 2〉 연도별 사업비 110
〈표 3〉 층별 활용방안 110
〈표 4〉 국내 대표 민간 스타트업 지원기관(코워킹 스페이스 제공) 112
〈표 5〉 CENTAP 층별 주요용도 116
〈표 6〉 동남권 ICT이노베이션스퀘어 조성 사업 선정 현황 124
〈표 7〉 인력구성 및 담당업무 126
〈표 8〉 테스트랩 구축을 위한 장비별 수량 및 비용 129
〈표 9〉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현황 130
〈표 10〉 국외 블록체인 사업 현황 132
〈표 11〉 디지털 자산의 종류 136
〈표 12〉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세부 사업내용 141
〈표 13〉 부산 블록체인 발전포럼 추진 현황 143
〈그림 1〉 부산 블록체인 벤처컨벤션센터 기능 109
〈그림 2〉/〈그림 5〉 NFT 형태로 판매되는 고양이들 137
〈그림 3〉/〈그림 6〉 유럽연합 혁신정책 기금 조성 과정 140
〈그림 4〉/〈그림 7〉 해커톤 대회 진행 과정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