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간행사 / 조광
일러두기
목차
한국전쟁의 경험과 '냉전' 사회과학의 등장 : 미국인 사회과학자들의 심리전 프로젝트 연구, 그 성과와 전망 / 정준영 8
머리말 8
I. '냉전의 과학자들'과 심리전의 인식론 12
II. 심리전 보고서와 학술적 사례연구 사이 16
III. '냉전'사회과학, 그 학계의 중심과 주변 사이 22
IV. 냉전지식의 환류: 숨겨진 사람들, 지워진 맥락들 28
맺음말: 냉전사회과학의 문제의식과 한국전쟁 30
한국전쟁 경험과 북한 지식장의 변화 - 인민민주주의혁명론에서 사회주의혁명론으로 / 조수룡 36
머리말 36
I. 전쟁 전의 인민민주주의혁명론과 한국전쟁 경험 38
II. 정전 후 사회주의 개조를 둘러싼 논쟁 46
III. 「4월 테제」와 사회주의혁명론의 정식화 56
맺음말 68
참고문헌 70
한국전쟁기 미 국무부 정보조사국의 북한 현지 조사와 북한 연구의 태동 : 『북한 : 소련 위성국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류기현 74
머리말 74
I. 국무부 정보조사국 북한 현지 조사의 배경 및 과정 78
II. 『북한 : 소련 위성국가 사례 연구』의 내용 구성 87
III. 『북한 : 소련 위성국가 사례 연구』의 정치적·학문적 활용 양상 94
1) 정치적 활용 시도 94
2) 학문적 활용과 그 영향 97
맺음말 101
참고문헌 103
'현대'에서 '근대'로 가는 길 - 한국전쟁과 한국 사회과학의 지적 프레임 변동 / 홍정완 106
머리말 106
I. 정치학 :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전변(轉變)의 궤적 - '부르주아민주주의' 비판에서 '공동체적 민주주의'로 111
II. 경제학 : 이론체계의 변동과 (前)자본주의의 시간 129
(1) 케인즈 경제학의 수용·확산과 '개발'을 위한 '계획' 129
(2) '필연'으로서 자본주의와 '전(前)'자본주의 단계의 현실 148
맺음말 157
참고문헌 159
식민과 냉전의 (불)협화로서의 사회학 - 1세대 사회학자 이만갑의 교육과 학문적 이력을 중심으로 / 정종현 162
I. 일본 지식에서 미국 지식으로 162
II. 도쿄제국대학 사회학과와 이만갑의 해방전후 167
III. 록펠러재단 지원과 코넬대학 유학 175
IV. 아시아재단의 지원과 농촌사회조사 181
V. 나가며 186
참고문헌 189
해석의 전쟁 : 박재섭-이한기의 한국전쟁 해석 / 옥창준 192
머리말 192
I. 박재섭과 이한기의 지적 배경 196
II. 박재섭-이한기 논쟁 208
맺음말 215
참고문헌 218
천막 속의 과학자들 : '냉전의 적'과 '동양사회' 사이에서 / 정용욱 220
I. 6.25전쟁 중 야전천막 속의 미국인 사회과학자들 220
II. '작전연구' : 적군의 심리상태 계측 222
III. 미국사회과학자들의 한국 현지조사 226
IV. 아시아인 포로 연구 229
V. 과학적 방법론과 신화 창조 사이에서 길을 잃다 233
6.25전쟁기 북한 심리전의 체계와 인적 자원 / 김선호 238
머리말 238
I. 북한 심리전의 기원 241
II. 심리전 기구의 조직과 작전체계 245
III. 심리전의 책임자와 담당자 254
IV. 북한의 심리전 수행방식 262
맺음말 268
참고문헌 270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심리전과 유토피아 '자유세계' - 『자유의 벗』을 중심으로 / 이임하 274
I. 전후에도 심리전은 진행 중 274
II. 전후 미군의 심리전과 『자유의 벗』 276
1) 미극동군(미태평양군) 심리전 기구 276
2) 미극동군(미태평양군) 발행, 월간잡지 『자유의 벗』 279
III. '유토피아(UTOPIA)', 미국 286
1) 아시아인의 마음 얻기 286
2) 계급 없는 이상사회 290
3) 정형화된 재건서사 295
IV. 이미지로 그려진 자유세계의 타자 299
V. '정말 좋은 잡지' 자유의 벗 302
참고문헌 305
한국전쟁기 문예지 《문예》와 냉전 지리학의 구성 / 이민영 308
머리말 308
I. 세계기행문과 냉전 체제 하의 세계성 인식 314
II. 민족의 위기와 이념화되는 농촌 사회 321
III. 농촌 공동체의 탈역사성과 변경화 되는 민족 전통 328
맺음말 334
참고문헌 337
6.25전쟁과 한국 보건의학계 및 보건학의 형성 / 이동원 338
머리말 338
I. 미군정의 점령통치와 한국인 의사들의 미국 유학 342
II. 6.25전쟁 발발 이후 보건의학계의 변화 347
III. 미국식 공중보건학 도입과 보건소의 확산 357
맺음말 364
참고문헌 366
판권기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