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4
요약 15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7
1. 연구 내용 27
2. 연구 방법 28
제2장 노인요양시설의 좋은 돌봄 개념 및 관련 제도 검토 35
제1절 노인요양시설의 좋은 돌봄(케어) 개념과 실천 모형 36
1. 좋은 돌봄의 개념 36
2. 노인요양시설의 인간 중심 케어 모델(Person-Centered Care Model) 40
3. 노인요양시설의 인간 중심 케어 실현 방안으로서의 특성화 47
제2절 노인요양시설의 특성 및 관련 제도 검토 50
1. 노인 주거(주택) 및 요양시설의 역사와 최근 변화 50
2. 노인요양시설 관련 제도 검토 58
제3장 노인요양시설 운영 및 이용 실태 79
제1절 노인요양시설 공급 및 운영 실태 80
1. 노인요양시설 공급 실태 80
2. 노인요양시설 운영 현황 89
3. 노인요양시설의 비급여 현황 93
제2절 노인요양시설 이용 가족의 경험 분석: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혼합 연구 96
1. 노인요양시설 이용 결정 과정 96
2. 노인요양시설 선택 기준 및 과정 103
3. 노인요양시설 이용 경험 111
4. 질적 인터뷰에서 나타난 노인요양시설 개선 의견 129
제3절 소결 158
제4장 미래 노인의 특성과 노인요양시설 욕구 분석 162
제1절 미래 노인의 특성 변화 163
1. 인구 및 가구 구조의 변화 163
2. 미래 노인(중년층: 50~60대)의 특성 167
3. 미래 노인의 특성 예측 171
제2절 미래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욕구 분석: '미래의 노인돌봄시설(형태)에 대한 욕구 및 인식조사'결과 175
1.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지 177
2. 미래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욕구 187
제3절 소결 218
제5장 국내 노인요양시설 특성화 사례 분석 221
제1절 특성화된 노인요양시설 선정 222
제2절 노인요양시설의 특성화 사례 분석 226
1. 소규모 농촌형 시설: 경기도 용인시 H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226
2. 간호 및 돌봄 전문서비스에 특화된 노인요양시설: 경기도 광주시 G 요양시설 232
3. 중소도시 대규모 유닛형: 경기도 부천시 I 요양시설 238
4. 대도시 기업 운영 노인요양시설: 서울시 송파구 K 요양시설 243
5. 종교시설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역동적 노인 요양시설: 경기도 하남시 Y 요양시설 248
제3절 소결 252
제6장 해외 노인요양시설 사례 분석 257
제1절 일본 258
1. 일본 개호보험의 입소 시설(노인요양시설) 제도 현황 258
2. 개호보험 노인요양시설 사례 272
3. 일본 사례의 시사점 297
제2절 독일 301
1. 독일 노인주거시설 제도적 현황 301
2. 노인요양시설 사례 312
3. 독일 사례의 시사점 340
제7장 노인요양시설 특성화 전략 모색 343
제1절 노인요양시설 특성화 유형 개발 344
1.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와 욕구 다양화 344
2. 노인요양시설의 다양한 특성화 유형 348
제2절 노인요양시설의 다양한 특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352
1.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에 대한 비용 보상 체계 개편 352
2. 지자체별 지역 수요에 기반한 노인요양시설 책임 공급 357
3.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소비자의 알권리 보장 기제 마련 358
참고문헌 359
[부록 1] 미래 노인요양시설 욕구 분석 부표 377
[부록 2] '미래의 노인돌봄시설(형태)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조사' 설문지 385
판권기 2
〈표 1-1〉 미래의 노인돌봄시설(형태)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온라인 조사 개요 28
〈표 1-2〉 미래의 노인돌봄시설(형태)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온라인 조사 표본 할당 29
〈표 1-3〉 미래의 노인돌봄시설(형태)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온라인 조사 내용 30
〈표 1-4〉 개별 인터뷰 참여자 특성 32
〈표 1-5〉 인터뷰 질문 33
〈표 2-1〉 노인주거ㆍ요양시설의 제도적 분류 변화 52
〈표 2-2〉 노인주거ㆍ요양시설 종류와 특징 53
〈표 2-3〉 노인주거ㆍ요양시설 종류별 시설 설치 기준: 시설 기준 55
〈표 2-4〉 노인주거ㆍ요양시설 종류별 시설 설치 기준: 인력 기준 56
〈표 2-5〉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구성 기준 59
〈표 2-6〉 노인요양시설의 시설 면적 및 침실 기준 59
〈표 2-7〉 노인요양시설 인력 기준 60
〈표 2-8〉 노인요양시설 급여비용 변화 추이 63
〈표 2-9〉 노인장기요양기관 평가의 목적 64
〈표 2-10〉 노인장기요양기관 평가 결과의 활용 66
〈표 2-11〉 노인요양시설 규모별 평가 점수 66
〈표 2-12〉 노인요양시설 평가 영역별 점수 현황 67
〈표 2-13〉 노인장기요양시설 관련 가감산 기준 71
〈표 2-14〉 노인요양시설 규모별 가산 인력 현황 73
〈표 2-15〉 요양보호사 장기근속장려금 73
〈표 2-16〉 치매전담형 장기요양시설(생활시설) 연도별 운영 현황 75
〈표 2-17〉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시설 기준 75
〈표 2-18〉 치매전담실 침실 면적 기준 76
〈표 2-19〉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 수가체계 76
〈표 2-20〉 전문요양실 운영비 항목별 기준 단가(2019년 시범사업 기준) 78
〈표 3-1〉 연도별ㆍ시설 유형별 기관노인장기요양시설 수(비율) 추이 80
〈표 3-2〉 노인요양시설 지자체별 분포 현황 82
〈표 3-3〉 노인요양시설 운영 주체별 분포 현황 83
〈표 3-4〉 연도별ㆍ시설 유형별 이용자 수(비율) 추이 84
〈표 3-5〉 연도별ㆍ시설 유형별 1ㆍ2등급자 수(비율) 추이 85
〈표 3-6〉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등급별 분포 현황(2019년) 86
〈표 3-7〉 노인요양시설 유형별 평균 정원 수 87
〈표 3-8〉 시ㆍ도별 노인요양시설 입소 정원 분포 88
〈표 3-9〉 직군별 노인요양시설 종사 현황 89
〈표 3-10〉 노인요양시설의 편의성 확보 특성 90
〈표 3-11〉 노인요양시설의 침실 유형별 평균 침실 개수 91
〈표 3-12〉 현재 거주하는 노인요양시설 침실 규모 92
〈표 3-13〉 노인요양시설이 사용하고 있는 건물 형태 93
〈표 3-14〉 노인요양시설의 비급여 항목별 제공 현황 94
〈표 3-15〉 노인요양시설의 비급여 항목별 금액 95
〈표 3-16〉 이용자와의 관계별 노인요양시설 이용 이유 97
〈표 3-17〉 이용자와의 관계별 노인요양시설 이용 관련 주된 의사결정자 98
〈표 3-18〉 가족의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선택 기준(중복 응답) 1 105
〈표 3-18〉 가족의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선택 기준(중복 응답) 2 106
〈표 3-19〉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사례 분석 체계도 130
〈표 4-1〉 미래 인구 고령화 164
〈표 4-2〉 시ㆍ도별 노인인구 변화 추계 165
〈표 4-3〉 65세 이상 노인 독거 가구 수 예측 166
〈표 4-4〉 중년층(50~60대)의 교육 수준 168
〈표 4-5〉 중년층(50~60대)의 공적연금 가입 형태 168
〈표 4-6〉 중년층(50~60대)이 생각하는 노후 생활의 어려움 169
〈표 4-7〉 중년층(50~60대)이 생각하는 만족스러운 노후를 위해 중요한 것 1순위 170
〈표 4-8〉 중년층(50~60대)의 민간보험 가입 현황 170
〈표 4-9〉 중년층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지도 및 향후 이용 의향 171
〈표 4-10〉 연령별 국민연금 수급률/수급액(미래) 172
〈표 4-11〉 퇴직연금 도입률 변화 172
〈표 4-12〉 연령대별 퇴직연금 가입률 173
〈표 4-13〉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176
〈표 4-14〉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지 정도 178
〈표 4-15〉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차이 인지 정도 180
〈표 4-16〉 노인요양시설 방문 경험자의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이미지 182
〈표 4-17〉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 형태 188
〈표 4-18〉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 유형 잠재집단 모형 적합도 191
〈표 4-19〉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 유형 잠재집단 모형의 사후확률 192
〈표 4-20〉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 유형별 특성 194
〈표 4-21〉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영역별 중요도 196
〈표 4-22〉 자유로운 사생활 보장 영역 내 지표의 중요도 197
〈표 4-23〉 전문적 서비스 영역 내 지표의 중요도 198
〈표 4-24〉 시설 환경 영역 내 지표의 중요도 198
〈표 4-25〉 인력 영역 내 지표의 중요도 199
〈표 4-26〉 비용 영역 내 지표의 중요도 199
〈표 4-27〉 좋은 요양시설의 조건 200
〈표 4-28〉 좋은 요양시설의 조건 1 201
〈표 4-28〉 좋은 요양시설의 조건 2 202
〈표 4-29〉 미래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이용 의향 204
〈표 4-30〉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의향 205
〈표 4-31〉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희망 이유 207
〈표 4-32〉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미희망 이유 208
〈표 4-33〉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시 추가 비용 지불 의향 1 212
〈표 4-33〉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시 추가 비용 지불 의향 2 213
〈표 4-34〉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시 추가 부담 가능 금액 215
〈표 4-35〉 미래 노인요양시설 이용 시 자부담 비용 부담자 217
〈표 5-1〉 경기도 용인시 H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시설 개요 226
〈표 5-2〉 경기도 용인시 H 시설의 이용자 현황(2020. 11. 현재) 228
〈표 5-3〉 경기도 용인시 H 시설의 이용료 기준 228
〈표 5-4〉 경기도 광주시 G 요양시설 시설 개요 232
〈표 5-5〉 경기도 광주시 G 시설의 이용자 현황(2020. 11. 현재) 234
〈표 5-6〉 경기도 광주시 G 시설의 이용료 기준 234
〈표 5-7〉 경기도 부천시 I 요양센터 시설 개요 238
〈표 5-8〉 경기도 부천시 I 시설의 이용자 현황(2020. 11. 현재) 239
〈표 5-9〉 경기도 I 시설의 이용료 기준 241
〈표 5-10〉 서울시 송파구 K 요양시설 시설 개요 244
〈표 5-11〉 서울시 송파구 K 시설의 이용자 현황(2020. 11. 현재) 244
〈표 5-12〉 서울시 송파구 K 시설의 이용료 기준 246
〈표 5-13〉 K 시설 직무별 입사 교육과 직무능력 개발 교육 247
〈표 5-14〉 경기도 하남시 Y 요양시설 시설 개요 249
〈표 5-15〉 경기도 하남시 Y 요양시설의 이용자 현황(2020. 11. 현재) 249
〈표 5-16〉 경기도 하남시 Y 요양시설의 이용료 기준 251
〈표 5-17〉 우수 노인요양시설 사례의 특성 비교 254
〈표 6-1〉 개호보험급여의 종류 261
〈표 6-2〉 개호보험의 시설(입소, 거택) 종류와 특징 262
〈표 6-3〉 개호보험 관련 시설 설치 기준 263
〈표 6-4〉 인지증 노인 공동생활개호(그룹홈)의 5가지 자기평가 영역과 항목 264
〈표 6-5〉 개호보험 요개호도에 급여 및 수가 기준 269
〈표 6-6〉 개호노인 복지시설과 인지증 노인 공동생활 개호 수가 가(감)산 제도 270
〈표 6-7〉 유닛 케어 시행으로 얻은 교훈 7가지 274
〈표 6-8〉 고호하이츠 이용자 등급 분포 276
〈표 6-9〉 일본 준세이엔의 이념과 서비스 제공 방침 280
〈표 6-10〉 일본 준세이엔의 요양서비스 다양화 및 전문화 전략 281
〈표 6-11〉 인지증 대응형 공동생활개호 다지마의 6가지 운영 원칙 287
〈표 6-12〉 일본 민나노이에 하쿠산 이용 요금 293
〈표 6-13〉 소규모ㆍ다기능형 거택개호의 서비스 개요 294
〈표 6-14〉 소규모ㆍ다기능형 거택개호의 비급여 항목 295
〈표 6-15〉 독일 16개 주의 본인부담비용 311
〈표 6-16〉 독일 시니어파크 Solingen의 기준 요금 324
〈표 6-17〉 레지던스 Klein Flottbek의 단기보호 요금(2021년) 333
〈표 6-18〉 독일 슈티프트 Erkelenz의 종사자 1명 대비 등급별 거주자 수 335
〈표 6-19〉 독일 슈티프트 Erkelenz의 완전주거형 시설보호 요금(2021년) 339
〈표 6-20〉 독일 슈티프트 Erkelenz의 단기보호 요금(2021년) 340
[그림 1-1] 연구체계도 34
[그림 2-1] 노인요양시설 평가 항목 65
[그림 2-2] 노인요양시설 기관 규모별 평가 영역별 결과 1 69
[그림 2-2] 노인요양시설 기관 규모별 평가 영역별 결과 2 70
[그림 3-1] 노인요양시설 이용 경험 96
[그림 3-2] 가족이 이용하는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만족도 111
[그림 3-3] 가족이 이용하는 노인요양시설 서비스 불만족 이유 112
[그림 3-4] 노인요양시설에서 별도로 제작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예 118
[그림 4-1] 소득과 건강 특성에 따른 노인 유형 비교 174
[그림 4-2]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 자율성 보장 측면 183
[그림 4-3]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 서비스 측면 184
[그림 4-4]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 관계성 측면 185
[그림 4-5]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인식: 긍정적ㆍ부정적 인식 비교 186
[그림 4-6] 노인요양시설 시설 선택 요소에 대한 AHP 분석 지표 체계도 195
[그림 4-7] 소득 수준에 따른 좋은 요양시설의 조건 203
[그림 5-1] H 시설의 물리적 환경 227
[그림 5-2] G 시설의 물리적 환경 233
[그림 5-3] I 시설의 물리적 환경 240
[그림 5-4] K 시설의 물리적 환경 245
[그림 5-5] Y 시설의 물리적 환경 250
[그림 6-1] 정보 공표를 위한 시스템 프로세스 265
[그림 6-2] 개호노인 복지시설 개호지원전문원의 업무 프로세스 267
[그림 6-3] 기존 시설의 실내 공간과 유닛 케어 실내 공간 268
[그림 6-4] 지역포괄케어 시스템 개념도 271
[그림 6-5] 개호노인복지시설 고호하이츠 평면도 277
[그림 6-6] 일본 개호노인복지시설 고호하이츠의 거주 환경 279
[그림 6-7] 일본 사회복지법인 준세이엔의 지역포괄케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체계 282
[그림 6-8] 일본 사회복지법인 오다와라회 준세이엔 지역포괄케어 시스템 거점 기관 283
[그림 6-9] 일본 준세이엔 개호노인복지시설의 퇴소 요인(1978~2013년) 285
[그림 6-10] 일본 준세이엔의 도시락 배달 서비스 286
[그림 6-11] 일본 다지마 공동생활가정의 주거 환경 289
[그림 6-12] 일본 민나노이에 하쿠산(みんなの家はくさん)의 외관 291
[그림 6-13] 일본 민나노이에 하쿠산(みんなの家はくさん)의 내부 292
[그림 6-14] 일본 소규모ㆍ다기능형 거택개호 내부 295
[그림 6-15] 일본 민나노이에 호리노우치(みんなの家ほりのうち) 외관 296
[그림 6-16] 독일의 주체별 요양시설(1999~2017년) 312
[그림 6-17] 독일의 시니어레지던스 Elisa Ulm의 주거 환경 315
[그림 6-18] 독일의 시니어레지던스 Elisa Ulm의 주거 공간 316
[그림 6-19] 독일의 시니어레지던스 Elisa Ulm의 여가 공간 318
[그림 6-20] 독일 시니어파크 Solingen의 주거 환경 321
[그림 6-21] 독일 시니어파크 Solingen의 기타 서비스 323
[그림 6-22] 독일 레지던스 Elbchaussee의 주거 환경 328
[그림 6-23] 독일 레지던스 Klein Flottbek의 주거 환경 330
[그림 6-24] 독일 슈티프트 Erkelenz의 외부 336
[그림 6-25] 독일 슈티프트 Erkelenz의 서비스 339
[그림 7-1] 미래 노인(중장년층)이 생각하는 좋은 요양시설의 조건 346
[그림 7-2] 미래 노인(중장년층)이 희망하는 노인요양시설 347
[그림 7-3] 노인요양시설의 특성화 유형 348
〈부표 4-1〉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시설의 지역 특성 377
〈부표 4-2〉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시설의 규모 378
〈부표 4-3〉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프로그램 379
〈부표 4-4〉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방 구성 380
〈부표 4-5〉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비용 부담 381
〈부표 4-6〉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시설 운영 주체 382
〈부표 4-7〉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기관의 자율성 보장 정도 383
〈부표 4-8〉 미래 이용할 노인요양시설 선택 시 고려 사항_시설의 구조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