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도움서 구성 및 활용 안내 8

제1장 미래 사회와 진로ㆍ학습설계의 중요성 11

1. 미래 사회의 변화와 특징 12

가. 미래 사회의 변화와 특징 12

나. 미래 사회의 요구 역량 15

다. 미래 사회의 변화와 교육 16

2. 자기 주도적 진로개발의 중요성 17

가. 미래 직업세계 변화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17

나. 중학생이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 19

3. 진로중심 배움의 중요성 21

가. 진로중심 교육과정 21

나. 진로중심 교과 활동의 중요성 21

제2장 고등학교의 학점제 운영 및 특징 23

1. 고등학교의 유형 및 학점제 개요 24

가. 고등학교 유형 24

나.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경로 및 특징 26

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 28

라. 고교학점제의 개념 및 도입 현황 29

2. 일반계고 학점제 운영 및 특징 31

가. 일반계고 학점제 개요 31

나. 일반계고 교육과정 운영 33

다. 일반계고 학점제에서의 진로ㆍ진학 상담(지도) 34

3.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 및 특징 39

가. 직업계고 학점제 개요 39

나. 직업계고 교육과정 운영 40

다. 직업계고 학점제에서의 진로ㆍ취업지도 42

4. 고교학점제를 위한 선택과목 안내 45

가. 일반계고 선택과목 안내 45

나. 직업계고 선택과목 안내 65

제3장 고교학점제를 대비한 진로ㆍ학업설계 활동 71

1. 고교학점제를 위한 진로ㆍ학업설계 절차 72

2. 진로목표 수립 74

가. 잠정적인 진로목표 설정 74

나. 진로 미결정 학생을 위한 진로 찾기 81

3. 학업계획서 작성 85

가. 진로희망 설계 및 진학 방향 탐색 85

나. 진로희망에 따른 대학 및 학과 선택 85

다. 학업계획서 작성 안내 85

라. 선택과목 선택 시 유의사항 86

마. 대학 진학을 고려하여 일반계고 학업계획서 작성해 보기 87

바. 취업을 고려하여 직업계고 학업계획서 작성해 보기 91

4. 심층적인 진로정보 탐색 95

가. 심층적인 진로정보 탐색의 필요성 95

나. 나의 고등학교 탐색하기 95

다. 학과에 따른 교육과정 탐색하기 97

라. 대학의 유형과 전공제도 탐색하기 106

마. 일학습병행제 탐색하기 108

[부록 1]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신구 대조표 112

[부록 2]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의 예시 114

[부록 3] 직업계고 교과(군)별 전문 공통과목, 기초 과목, 실무 과목 116

[부록 4] 직업 분야별 관련 고교 교과목 및 관련 직업 122

[부록 5] 학습플래너 예시 126

[부록 6] 학과별 권장 선택과목 안내 127

[부록 7] 계열별 권장 선택과목 안내 132

참고문헌 135

판권기 141

〈표 1-1〉 국내외 문헌에서 살펴본 미래 사회의 요구 역량 16

〈표 2-1〉 고등학교 유형별 설립 목적 25

〈표 2-2〉 고등학교 유형별 교육과정의 특징 및 학교 수(2020년 9월 기준) 26

〈표 2-3〉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지정ㆍ운영 현황(2018~2020년) 30

〈표 2-4〉 일반계고등학교 단위 배당 기준 32

〈표 2-5〉 학교 밖 교육자원 활용을 통한 교육과정 운영 33

〈표 2-6〉 진로ㆍ진학 상담(지도) 단계 35

〈표 2-7〉 진로선택기 학생의 4개 학교진로상담(지도) 유형 35

〈표 2-8〉 학업 설계 및 진로ㆍ진학 지도를 위한 교사 역할(예시) 37

〈표 2-9〉 ① 학과 내 교육과정 운영 예시 41

〈표 2-10〉 ② 학과 간 교육과정 운영 예시 41

〈표 2-11〉 성장경로 모형(예시) 42

〈표 2-12〉 2020학년도 4년제 일부 대학 재직자 특별전형 입시 결과 43

〈표 2-13〉 일반계 고등학교 보통교과 편제표 47

〈표 2-14〉 인문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49

〈표 2-15〉 사회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51

〈표 2-16〉 자연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54

〈표 2-17〉 공학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58

〈표 2-18〉 의약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60

〈표 2-19〉 예체능계열 과목 선택의 예시 62

〈표 2-20〉 2015 개정 직업계고 교육과정 편제 65

〈표 2-21〉 직업계고의 전문교과Ⅱ 17개 교과(군) 구성 체계 66

〈표 2-22〉 과정평가형 자격과정 개설 교과(능력단위) 편성기준 예시(종목마다 상이) 66

〈표 3-1〉 진로 미결정 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방법(예시) 81

〈표 3-2〉 내가 좋아하고 잘하는 과목과 연계한 진로탐색 81

〈표 3-3〉 대학의 전공 분류(예시) 86

〈표 3-4〉 일반계고 과목 이수 체크리스트(예시) 88

〈표 3-5〉 대학의 유형 106

〈표 3-6〉 다양한 전공제도 106

〈표 3-7〉 일학습병행제 108

[그림 1-1] 미래 사회 변화의 주요 세 가지 동인과 상호작용 13

[그림 1-2] 명사 100인이 꼽은 미래역량 20

[그림 2-1] 일반계 고등학교의 졸업 후 진로경로 27

[그림 2-2]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의 성장경로 28

[그림 2-3] 고교학점제 학사제도 운영 체계 30

[그림 2-4] 학교알리미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내용 찾기 34

[그림 2-5] 진로선택기 학생의 4개 학교진로상담(지도) 유형 진단 36

[그림 2-6] NCS 기반 교육과정 40

[그림 2-7] 일반선택과 진로선택 46

[그림 2-8]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목 편제 46

[그림 3-1] 고교학점제를 대비한 중3 진로ㆍ학업 설계 절차 73

[그림 3-2] 진로목표 설정 시 고려 사항 74

[그림 3-3]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목 구성 89

[그림 3-4] 고등학교 정보 탐색 관련 사이트 96

[그림 3-5] 대학ㆍ학과ㆍ입시 관련 정보 사이트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