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요약 12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8

제2절 연구 내용 30

제3절 연구 방법 32

제2장 대학 진로ㆍ취업 현황 35

제1절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참여 효과 37

1.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37

2.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의 취업률 효과 42

3.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의 대학교 진로 취ㆍ창업 지원 효과 51

제2절 대학 진로ㆍ취업 유형 분류 64

1. 연구설계 64

2. 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석 결과 66

제3절 유형별 대학 진로ㆍ취업 현황 73

1. 변수 설명 및 분석 방법 73

2. 유형에 따른 결과 F 검증 77

3/2.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 요인 85

제4절 소결 92

제3장 대학별 진로ㆍ취업 모형 개발 95

제1절 전문대학 진로ㆍ취업 모형 96

1. 전문대학의 특성 96

2. 전문대학의 진로ㆍ취업 지원 모형 102

제2절 4년제 대학 진로ㆍ취업 모형 114

1. 4년제 대학의 특성 114

2. 4년제 대학의 유형별 진로ㆍ취업 모형 119

제3절 소결 133

1. 진로 및 취업 지원 모형의 비교 133

2. 진로 및 취업 지원 모형의 방향 135

제4장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추진 방안 139

제1절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개요 140

1. 배경 및 목적 140

2. 주요 내용 141

3. 기대 효과 143

제2절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절차 145

1. 컨설팅팀의 구성 145

2. 컨설팅의 단계별 절차 146

제5장 결론 166

제1절 요약 167

제2절 향후 추진 방안 171

SUMMARY 173

참고문헌 177

[부록 1] 대학관계자 면담 설문지 182

[부록 2] 해외대학 우수 사례 185

판권기 202

〈표 2-1〉 선행연구 결과 40

〈표 2-2〉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46

〈표 2-3〉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 48

〈표 2-4〉 이중차분 회귀분석 분석 결과 50

〈표 2-5〉 분석 대상 대학교 52

〈표 2-6〉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55

〈표 2-7〉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대학) 58

〈표 2-8〉 참여 대학과 비참여 대학 비교(학생) 59

〈표 2-9〉 이중차분 추정 결과(대학) 62

〈표 2-10〉 이중차분 추정 결과(학생) 63

〈표 2-11〉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모델 적합도 67

〈표 2-12〉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4년제 대학 및 전문대) 68

〈표 2-13〉 4년제 대학 모델 적합도 69

〈표 2-14〉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4년제 대학) 70

〈표 2-15〉 전문대 모델 적합도 71

〈표 2-16〉 잠재계층 집단의 변화함수와 구성 비율(전문대) 72

〈표 2-17〉 분석 변수 및 변수 처리 75

〈표 2-18〉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4년제 및 전문대) 77

〈표 2-19〉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4년제 및 전문대) 78

〈표 2-20〉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 인원(4년제 및 전문대) 79

〈표 2-21〉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4년제 대학) 80

〈표 2-22〉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4년제 대학) 81

〈표 2-23〉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 인원(4년제 대학) 82

〈표 2-24〉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예산 및 지원 인력(전문대) 83

〈표 2-25〉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교과목 수 및 수강인원(전문대) 84

〈표 2-26〉 재학생 천 명당 진로 취ㆍ창업 프로그램 수 및 참여인원(전문대) 85

〈표 2-27〉 4년제 대학 및 전문대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 요인 86

〈표 2-28〉 4년제 대학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 요인 88

〈표 2-29〉 전문대 학교 보정취업률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결정요인 91

〈표 3-1〉 PISA 읽기 저성취자 학생 비율 97

〈표 3-2〉 PISA 수학 저성취자 학생 비율 97

〈표 3-3〉 사립학교 재정수입 구조(2018) 99

〈표 3-4〉 전문대학 학사학위 과정 운영 현황(2019) 100

〈표 3-5〉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미래 핵샘역량 전망 101

〈표 3-6〉 IT 분야 산업별 역량체계 108

〈표 3-7〉 진로ㆍ취업 지원 계획의 수립 111

〈표 3-8〉 진로 및 취업 지원 조직 111

〈표 3-9〉 진로 및 취업 자원 및 예산 112

〈표 3-10〉 역량개발 인증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113

〈표 3-11〉 산학협력 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 113

〈표 3-12〉 4년제 대학 학과 구조의 다양성 115

〈표 3-13〉 4년제 대학 규모의 다양성 116

〈표 3-14〉 4년제 대학의 진로ㆍ취업 지원 모형 117

〈표 3-15〉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학과 중심) 121

〈표 3-16〉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직업 중심) 127

〈표 3-17〉 희망 직업에 따른 전공 교과 선정(직업 및 기업 중심) 131

〈표 3-18〉 학문 중심 학과 구조 대학의 모형 비교 134

〈표 3-19〉 직업 중심 학과 구조 대학의 모형 비교 135

〈표 3-20〉 K대학 학과 개편 137

〈표 4-1〉 대학 작성 및 제출 자료 149

〈표 4-2〉 컨설팅 기본 모형 156

〈표 4-3〉 재학생 진로개발 역량조사 내용 157

〈표 4-4〉 진로개발 준비도 세부 문항 158

〈표 4-5〉 진로교육 만족도 및 진로교육 요구 문항표 159

〈표 4-6〉 재학생 역량진단(K-CESA) 조사 내용 161

〈표 4-7〉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질문 영역 및 항목 162

〈표 4-8〉 대학 작성 및 제출 자료 164

[그림 1-1] 연구 절차 34

[그림 2-1] 2017년 진로실태조사 설문 문항 54

[그림 2-2]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4년제 대학 및 전문대) 68

[그림 2-3]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4년제 대학) 70

[그림 2-4] 학교 보정취업률의 잠재계층 분류(전문대) 72

[그림 3-1] 중학교 학생의 진로경로 98

[그림 3-2] 전문대학의 진로 및 심리 상담 프로세스 사례 104

[그림 3-3] 전문대학의 취ㆍ창업 지원 프로세스 사례 104

[그림 3-4] 기초학력 진단 프로세스(전문대학기초학습지원센터) 105

[그림 3-5] 대학생의 학교생활 참여 유형 118

[그림 3-6] 대학생의 취업선호 유형 및 특성 119

[그림 4-1]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흐름 142

[그림 4-2]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진단요소 143

[그림 4-3] 대학 진로ㆍ취업 컨설팅 구성 145

[그림 4-4] 컨설팅 단계별 세부 내용 148

[부록 그림 1] Future Work Skills Unit(CAR20001) 192

[부록 그림 2] Learning Hub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