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6
제1장 서론 48
제1절 사업 배경 및 목적 49
1. 사업의 배경 49
2. 사업의 목적 50
제2절 사업 내용 52
1. URC 및 UNEVOC 현황 분석 52
2. 글로벌 및 아태 지역 TVET 이슈 분석 53
3. UNEVOC 네트워크 TVET 정책 우수사례 자료집 발간 53
4.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 공유 국내 워크숍 개최 54
5. 향후 사업 방향 및 주요 과제 도출 55
제3절 사업 추진 절차 및 방법 56
1. 문헌연구 57
2. 설문조사 57
3. 우수사례 분석 및 자료집 발간 57
4. 워크숍 개최 58
5. 유관기관 및 전문가협의회 개최 58
제2장 UNESCO Regional Center와 UNEVOC 현황 분석 59
제1절 URC와 UNEVOC의 개요 및 현황 60
1. UNESCO Regional Center의 역할 60
2. UNEVOC International Center와 UNEVOC 네트워크 61
제2절 UNEVOC 네트워크의 관심 주제 및 활동 70
1. 주요 관심 주제(thematic areas) 70
2. 주요 사업 및 활동 83
제3절 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의 역할 90
1.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코디네이팅 센터로서의 활동 90
2. UNESCO-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터의 역할 96
제3장 글로벌 및 아태 지역 TVET 이슈 분석 97
제1절 글로벌 TVET 이슈 분석 98
1. UNESCO의 TVET 의제 98
2. UNESCO-UNEVOC의 TVET 전략 104
제2절 아태 지역 TVET 이슈 분석 112
1. 아태 지역 TVET 개혁 및 도전과제 112
2. 아태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120
제4장 UNEVOC 네트워크 TVET 정책 우수사례 127
제1절 우수사례 모집 개요 128
1. 배경 및 목적 128
2. 주제의 선정 130
3. 추진 절차 및 방법 132
제2절 국가별 사례의 주요 내용 134
1. 말레이시아: 원격 및 디지털 학습 촉진 전략 134
2. 필리핀: 지역사회 지원과 기술 개발 및 국가 경제 회복 지원 136
3. 미얀마(1): 정부기술대학교 학생들의 ICT 기술 활용 및 디지털 전환으로의 이행 138
4. 미얀마(2): COVID-19 이후 미얀마 청년고용을 위한 TVET 139
5. 캄보디아: 모두를 위한 온라인 TVET 142
6. 베트남: 이주 여성 근로자를 위한 개방형 직업교육훈련 144
7. 한국(1): 한국 고등교육 및 TVET 분야의 원격학습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 145
8. 한국(2): 한국의 일학습병행 - 청년고용과 기술 개발을 위한 혁신적 접근 방법 146
제3절 우수사례 종합 및 시사점 148
제5장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 공유 국내 워크숍 151
제1절 워크숍 개요 152
1. 워크숍의 주요 사항 152
2. 워크숍 구성 153
제2절 사전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 156
1. 기관별 국제협력 사업 현황 및 우수사례 157
2. 사전 유관기관 협의회의 주요 논의사항 175
제3절 워크숍 주요 발표 및 논의 내용 177
1. 세션 1: 고용부문 국제협력(ODA) 우수모델 177
2. 세션 2: 교육부문 국제협력(ODA) 우수모델 182
3. 세션 3: UNESCO와 UNEVOC 센터의 국제협력(ODA) 우수모델 189
4. 종합토론 198
제6장 결론 205
제1절 요약 206
제2절 향후 과제 208
1. 아태 지역 환경변화에 따른 TVET 수요 변화 대응 필요 208
2. 아태 지역 UNEVOC 회원국의 경제ㆍ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새로운 지원 모델 수립 209
3. 국내외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도모 210
4. COVID-19 장기화에 따른 새로운 국제협력 모델 탐색 211
5. URC 사업에 대한 구성원의 관심도 제고 213
참고문헌 214
[부록 1] 아태 지역 국별 TVET 개혁 및 도전과제 220
[부록 2] 아태 지역 TVET 우선순위 도출 설문지 234
[부록 3] UNEVOC 네트워크 TVET 정책 우수사례 모집 공고(Call for Paper) 241
[부록 4] 유관기관 국제협력 사업 우수사례 공유 국내 워크숍 발표자료 248
판권기 303
〈표 2-1〉 지역별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수 63
〈표 2-2〉 UNEVOC 클러스터 네트워크 유형 구분 64
〈표 2-3〉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클러스터 센터 UNEVOC 센터 65
〈표 2-4〉 UNEVOC 네트워크 센터의 관심 분야 69
〈표 2-5〉 UNEVOC 주제와 사업ㆍ활동 간의 연계 83
〈표 2-6〉 UNEVOC 네트워크의 유럽 클러스터 BILT 워크숍 86
〈표 2-7〉 UNEVOC의 TVET 우수사례 89
〈표 2-8〉 연차별 UNEVOC 클러스터 워크숍 및 주요 논의 주제 91
〈표 2-9〉 연차별 UNEVOC Global Forum 주요 논의 내용 93
〈표 2-10〉 UNEVOC 클러스터 코디네이터(개인)의 주요 역할 96
〈표 3-1〉 SDG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목표(SDG 4, SDG 8) 100
〈표 3-2〉 SDG 직업교육훈련 참여 지표(2017) 101
〈표 3-3〉 아태 지역 TVET 이슈 종합 112
〈표 3-4〉 조사응답자 특성 121
〈표 4-1〉 우수사례집 원고 목록 133
〈표 5-1〉 워크숍 프로그램 154
〈표 5-2〉 사전 유관기관 협의회 개최 현황 156
〈표 5-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57
〈표 5-4〉 한국산업인력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58
〈표 5-5〉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0
〈표 5-6〉 한국폴리텍대학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1
〈표 5-7〉 근로복지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1
〈표 5-8〉 대한상공회의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3
〈표 5-9〉 한국고용정보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4
〈표 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6
〈표 5-1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7
〈표 5-12〉 한국교육개발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68
〈표 5-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70
〈표 5-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72
〈표 5-15〉 육아정책연구소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73
〈표 5-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요 국제협력 사업 목록 174
〈표 5-17〉 개도국 고용서비스(PES) 전산망 구축 사업 대상 국가 177
〈표 5-18〉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ㆍ협력 사업 마스터플랜 183
〈표 5-19〉 국가별로 우선으로 요구되는 역량 186
〈표 5-20〉 국내 협력대학-CLMV 회원대학 매칭 현황 188
〈표 5-21〉 유네스코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 웨비나 주제 190
〈표 5-22〉 국제대회 훈련지도 및 컨설팅, 현지 워크숍 등 전문가 파견 실적 193
〈표 5-23〉 수원국 기능경기대회 역량 향상지원 초청연수 지원 실적 193
〈표 5-24〉 아세안 TEAM 프로젝트(2019~2022) 195
〈표 5-25〉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온라인 직업교육훈련 사례 199
[그림 1-1] 사업 추진 절차 및 방법 56
[그림 2-1] UNEVOC 네트워크 협력체계 62
[그림 2-2] TVET 학습자의 기업가 역량 개발 72
[그림 2-3] 직종별 남성과 여성의 TVET 참여율 76
[그림 2-4] UNEVOC TVET 리더십 프로그램의 리더십 영역 85
[그림 2-5] UNEVOC 네트워크 포털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소개 페이지 94
[그림 3-1] TVET 정책 이슈의 국가별 중요도 그래프 122
[그림 3-2] TVET 정책 이슈의 기관별 중요도 그래프 123
[그림 3-3] 한국 협력 비교우위 TVET 정책 이슈 124
[그림 3-4] TVET 우수사례 자료집 주제 선호도 125
[그림 4-1] TVET 기관의 원격학습 환경 관리 시스템 140
[그림 5-1] O3 학습모델 체계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