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5
제1장 서론 4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7
1. 연구의 필요성 47
2. 연구의 목적 5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1
1. 연구의 내용 51
2. 연구의 방법 52
제3절 용어의 정의 67
1. 고교학점제 67
2. 진로교육 체제 67
3. 교육과정 담당교사 69
4. 진로전담교사 70
제2장 고교학점제 및 진로교육 체제 관련 문헌 고찰 71
제1절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72
1. 고교학점제 도입 정책 개관 72
2.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현황 및 주요 운영 내용 74
3. 학교 밖 고교학점제 지원 현황 79
4.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연구 고찰 85
제2절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고찰 88
1. 진로교육의 개념 및 고교학점제와의 관계 88
2. 학교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고찰 93
제3절 고등학교 진로교육 기존 현황 고찰 99
1. 투입 단계의 현황 99
2. 과정 단계의 진로교육 현황 102
3. 산출 및 결과 단계의 현황 106
제4절 시사점 109
제3장 국내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사례 분석 112
제1절 국내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113
1. 인천신현고등학교 113
2. 대정고등학교 121
3. 금오공업고등학교 128
4. 삼일상업고등학교 138
제2절 해외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149
1. 미국 149
2. 호주 160
3. 핀란드 170
제3절 시사점 180
제4장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실태 및 요구분석 182
제1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학생, 교사 및 조직 특성 183
1. 신입생의 특성 및 교사의 역할 183
2.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조직 및 협력 방안 193
제2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활동 및 효과 200
1.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활동 200
2. 고교학점제 운영의 학생 진로 및 학업 수행 효과 204
제3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문제점 및 요구사항 210
1. 진로교육 체제의 한계 및 보완점 210
2.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해 중학교에서 할 일 214
3.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 요구사항 216
제4절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주요 쟁점 223
1.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 223
2.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 226
3.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229
4. 학교 밖 지원체제 233
제5절 시사점 239
1.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 측면 239
2.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 측면 240
3.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측면 241
4. 학교 밖 지원체제 측면 243
제5장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45
제1절 학점제에 따른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개편방향 246
1.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개편방향 246
2.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안) 247
제2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56
1.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의 개편방향 256
2.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 개편을 위한 정책과제 261
제3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67
1.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개편방향 267
2.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정책과제 271
제4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밖 지원체제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278
1. 학교 밖 지원체제의 개편방향 278
2. 학교 밖 지원체제 개편을 위한 정책과제 282
SUMMARY 290
참고문헌 300
〈부록 1〉 초ㆍ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9) 주요 결과표 314
〈부록 2〉 면담조사지(교사용) 317
〈부록 3〉 면담조사지(학생용) 325
〈부록 4〉 설문조사지(교사용) 330
〈부록 5〉 설문조사지(학생) 340
〈부록 6〉 설문조사지(학부모) 346
〈부록 7〉 FGI 질문지(교사 그룹) 351
〈부록 8〉 FGI 질문지(전문가 그룹) 354
판권기 357
〈표 1-1〉 전문가협의회 개최 현황 53
〈표 1-2〉 교사 및 학생 면담조사 현황 54
〈표 1-3〉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설문조사 대상 목표표집 56
〈표 1-4〉 설문조사 주요 내용 57
〈표 1-5〉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교사 응답자의 특성 59
〈표 1-6〉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교사의 평균 교직 경력 61
〈표 1-7〉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학생 및 학부모 응답자의 특성 61
〈표 1-8〉 해외사례 분석을 위한 해외통신원 및 주요 내용 63
〈표 1-9〉 초점집단면접(FGI) 개최 현황 64
〈표 1-10〉 세미나 일정 및 내용 65
〈표 2-1〉 교육부의 고교학점제 도입 정책 추진 현황 73
〈표 2-2〉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의 연차별 규모 74
〈표 2-3〉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 유형 77
〈표 2-4〉 고교학점제지원센터 운영 현황 80
〈표 2-5〉 고교학점제 진로ㆍ학업설계 분야 투자 계획, 향후 5년간 목표치 및 소요 예산 83
〈표 2-6〉 고교학점제 도입ㆍ운영 자료 목록 84
〈표 2-7〉 고교학점제 관련 주요 선행연구 86
〈표 2-8〉 학점제 선행연구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 88
〈표 2-9〉 고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기준 수(2015) 90
〈표 2-10〉 고교학점제의 진로ㆍ학업계획과 관련된 고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기준 91
〈표 2-11〉 진로교육과 진로지도의 차이점 93
〈표 2-12〉 고교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의 주요 용어의 개념 98
〈표 2-13〉 고등학교 진로교육 조직(부서) 유무(2019) 100
〈표 2-14〉 고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배치 현황(2019) 101
〈표 2-15〉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과목 수업 여부 및 운영 방식(2019) 102
〈표 2-16〉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과목 운영 시기(2019) 103
〈표 2-17〉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참여 현황 및 만족도 105
〈표 2-18〉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향후 참여 희망 106
〈표 2-19〉 고등학생의 졸업 후 진로계획(고등학교 유형별 비교) 108
〈표 2-20〉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활동 경험과 진로개발역량 차이 109
〈표 3-1〉 인천신현고의 고교학점제 진로ㆍ학업계획 관련 교사 간 역할 116
〈표 3-2〉 대정고의 고교학점제 진로ㆍ학업계획 관련 교사 간 역할분장 123
〈표 3-3〉 금오공고의 고교학점제 진로ㆍ학업계획 관련 교사 간 역할 131
〈표 3-4〉 금오공고의 학업계획서(StudyPlan) 작성 내용 134
〈표 3-5〉 삼일상고의 고교학점제 진로ㆍ학업계획 관련 교사 간 역할 141
〈표 3-6〉 국내 고교학점제 운영학교 진로교육 체제 사례 종합분석표 147
〈표 3-7〉 컴퓨터 공학 및 정보 기술 관련 과목 목록 151
〈표 3-8〉 웨스트 고등학교 학교 상담가 업무 분장 157
〈표 3-9〉 퀸즐랜드주 코스별 개요 164
〈표 3-10〉 런콘 주립 고등학교 학생 과목 선택지도 안내문 168
〈표 3-11〉 탐페레 기술특성화고의 교육과정 편성 176
〈표 4-1〉 교사가 인식하는 희망 교과 선택의 어려움을 겪는 신입생의 평균 비율 184
〈표 4-2〉 직업계고 학생의 전공 이해와 관련된 교사의 인식 184
〈표 4-3〉 학생의 고등학교 입학 전 희망 진로목표 유무 185
〈표 4-4〉 교사의 지도 학생 진로교육 활동 이력 파악 정도 186
〈표 4-5〉 2019 고교학점제 운영 및 진로ㆍ학업계획서 관련 업무 담당교사 188
〈표 4-6〉 학생 및 학부모의 고교학점제 운영 인식 189
〈표 4-7〉 진로와 소질ㆍ적성에 맞는 교과목 선택 및 수강에 대한 인식 190
〈표 4-8〉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의 어려움 191
〈표 4-9〉 학생이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이 어려웠던 이유 191
〈표 4-10〉 학생이 진로나 적성에 따른 교과목 선택이 쉬웠던 이유 193
〈표 4-11〉 일반고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194
〈표 4-12〉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 194
〈표 4-13〉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고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변경 필요성 195
〈표 4-14〉 고교학점제 운영과 진로교육을 위한 조직 및 협력체계 구축 정도 196
〈표 4-15〉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ㆍ학업상담 조직의 적절한 구성원 197
〈표 4-16〉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교사 협업 방안 199
〈표 4-17〉 진로교육 활동의 주요 운영 시간 201
〈표 4-18〉 학생의 진로ㆍ학업계획서 작성 수월 정도 202
〈표 4-19〉 고교학점제 운영 인식 정도에 따른 진로ㆍ학업계획서 작성 수월 정도 차이 203
〈표 4-20〉 학생의 진로ㆍ학업설계에 도움을 준 사람 204
〈표 4-21〉 고교학점제 운영의 진로 및 학업 수행 효과에 대한 학생 인식 205
〈표 4-22〉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일반고 교사, 학생, 학부모 인식 차이 206
〈표 4-23〉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 학생, 학부모 인식 차이 207
〈표 4-24〉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일반고 교사 집단 간 인식 차이 208
〈표 4-25〉 고교학점제 운영 효과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 집단 간 인식 차이 209
〈표 4-26〉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교육 체제의 한계 및 문제점 211
〈표 4-27〉 교사가 인식하는 고교학점제 관련 진로교육 보완사항 213
〈표 4-28〉 교사가 인식하는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중학교 진로교육 보완사항 215
〈표 4-29〉 학생이 인식하는 진로ㆍ학업설계 관련 학교의 우선 지원 사항 217
〈표 4-30〉 학부모가 인식하는 진로ㆍ학업설계 관련 학교의 우선 지원 사항 218
〈표 4-31〉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ㆍ학업설계 지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항 221
〈표 5-1〉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현재 모습과 바람직한 미래상 247
〈표 5-2〉 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개편방향과 정책과제 254
〈표 5-3〉 고교학점제에서의 교사별 역할 변화 방향 259
〈표 5-4〉 진로교육 조직 및 인력 개편을 위한 정책 266
〈표 5-5〉 중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추가(안) 272
〈표 5-6〉 고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추가(안) 273
〈표 5-7〉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개선(안) 275
〈표 5-8〉 3개년 진로활동 영역 중점 편성 예시 276
〈표 5-9〉 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밖 인적ㆍ물적 자원 인증제 추진(안) 285
[그림 1-1]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66
[그림 1-2] 학점제 운영 고교의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68
[그림 2-1] 2025년 고교학점제 운영 체계 75
[그림 2-2]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진로ㆍ학업상담 절차 78
[그림 2-3] 고교학점제 포털사이트 및 수강신청시스템 82
[그림 2-4]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82
[그림 2-5] 고등학교 진로교육과 고교학점제 학생 진로ㆍ학업설계 지도 간의 관계 91
[그림 2-6] 체제 접근을 활용한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델 95
[그림 2-7] IPO 모델 96
[그림 2-8] 학점제 운영 고교의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97
[그림 3-1] 인천신현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115
[그림 3-2] 인천신현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120
[그림 3-3] 대정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122
[그림 3-4] 대정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127
[그림 3-5]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130
[그림 3-6] 금오공고 진로ㆍ학업계획서 작성 지도 흐름도 133
[그림 3-7] 금오공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137
[그림 3-8] 삼일상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현황 139
[그림 3-9] 삼일상업고등학교의 진로교육 성과와 관련 요인 146
[그림 3-10] 컴퓨터 공학 및 정보 기술 관련 학습경로 152
[그림 3-11] 호주 퀸즐랜드주 고교 졸업 학점 취득요강(QCE eligibility) 163
[그림 3-12] 런콘 주립 고등학교 학생 진로경로 안내도 167
[그림 3-13] 핀란드의 학습자 지원 체계 171
[그림 5-1]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안) 248
〈부표 1〉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2019) 314
〈부표 2〉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2019) 315
〈부표 3〉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수준(2019)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