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연구 개요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2. 연구 내용과 방법 16
02. 기술발전과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19
1. 산업 발전과 도시 공간구조 변화 20
1) 산업 발전과 도시의 성장 20
2) 산업혁명에 따른 도시 공간구조 변화 21
2. 정보화에 따른 도시공간 변화 22
1)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거리 개념 변화와 도시공간 22
2) 정보통신기술 발전이 가져올 도시 공간구조 변화 논의 23
3) 도시 생활양식의 변화와 산업혁신 논의 26
4) 정보화에 따른 도시공간 변화 예측 27
3. 최근 연구 동향 29
03. 디지털 전환과 경제ㆍ사회 변화 33
1. 제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34
1) 제4차 산업혁명의 전개와 의미 34
2) 제3차 산업혁명과 제4차 산업혁명의 관계와 차이 35
3)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특징 36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산업의 등장 39
1) 새로운 산업과 비즈니스의 등장 39
2) 플랫폼 기반 경제와 산업으로의 진행과 기업의 새로운 움직임 42
3. 디지털 전환 시대, 사회와 생활의 변화 예고 44
1) 디지털전환기,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가치관 변화 44
2) 디지털 전환 사회의 생활 변화 움직임 46
04. 디지털 전환에 따른 도시 생활의 변화 49
1. 디지털 전환과 도시 생활 변화 개요 50
1) 디지털 전환과 도시 생활에 대한 고찰 50
2) 디지털 전환과 도시 생활에 관한 접근 51
2. 디지털 전환에 따른 도시 생활의 영역별 변화 52
1) 직장: 시간적ㆍ공간적 제약 완화 52
2) 주거: 생활의 중심으로 부상 56
3) 소비: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결성 강화 58
4) 여가: 여가활동의 중요성 증대 61
5) 교통: 다양화되는 교통수단의 선택 63
3. 도시 생활의 변화 전망 66
1) 도시 생활 변화 요인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66
2) 도시 이동수요 변화 전망 67
05. 디지털 전환에 따른 서울 도시공간의 변화 69
1. 이미 나타나고 있는 서울 도시공간 변화의 양상 70
1) 과거 예측된 도시공간 변화 검토 70
2) 도시공간 변화 양상 72
3) 도시공간 변화 진단 89
2. 2020년 이후 예상되는 서울 도시공간 변화 양상 90
1) 변화의 대양상 90
2) 도심과 근린의 용도 및 수요 변화 93
06. 결론 101
1. 주요 결과 요약 102
1) 디지털 전환은 산업과 생활을 바꾸는 구조적 변화에서 출발 102
2) 정보화 시대를 넘어 디지털 전환 시대의 공간변화 예상과 의미 103
2. 디지털 전환이 공간정책에 미칠 우려사항 104
1) 계층별, 지역별 격차 심화 우려 104
2) 민간 중심의 디지털 전환 기반시설 조성과 중복 투자로 공공성 침해와 독과점 우려 104
3) 공간적 변화에 대응이 느린 계획 105
3. 디지털 전환 시대, 공간정책의 방향 105
1) 디지털 전환 시대, 빠른 기술 변화와 시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 필요 105
2) 민관 협력 디지털 전환 기반시설 공급 통한 서울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방안 고민 106
3) 디지털 전환 시대, 유연하면서도 포용적인 정책적 대응과 공공의 역할 정립 106
참고문헌 108
Abstract 113
판권기 117
[표 1-1] 연구내용 및 방법 18
[표 4-1] 디지털 전환(정보화)에 대한 선행연구의 도시생활양식 구분 52
[표 4-2]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유형 53
[표 4-3] 스마트워크 유형 54
[그림 1-1] 연구의 가설(좌), '토지이용과 교통 간 상호관계'에서의 디지털전환 영향(우) 17
[그림 2-1] 산업혁명에 따른 도시의 성장 21
[그림 2-2] 산업혁명에 따른 도시 공간구조 변화 22
[그림 2-3] 도시 생활 변화 및 기술 발전에 대한 논의 27
[그림 2-4] 2000년대 초 정보화에 따른 도시공간 변화 예측의 종합 29
[그림 2-5] 교통과 토지이용 분야의 최근 연구 동향 32
[그림 3-1]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제3차 산업혁명과의 차이점 36
[그림 3-2] 제3차 및 제4차 산업혁명의 발전과 공간적 특성의 차이점 39
[그림 3-3] 플랫폼 기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 통한 소비자 데이터 획득 40
[그림 3-4] 디지털 전환을 통한 플랫폼 기반 시장으로의 전환 40
[그림 3-5] 플랫폼의 다면시장적 특성 41
[그림 3-6] 2009년과 2019년 세계 시가총액 상위 기업 중 플랫폼 기업 43
[그림 3-7] 기업들의 플랫폼 기업화 전략 44
[그림 3-8] 디지털 시대의 발전과 사회 경제적 배경 45
[그림 3-9] 스마트폰 사용률 추이 47
[그림 3-10] 플랫폼 비즈니스의 생활 영역 적용과 이로 인한 생활 변화 48
[그림 4-1] 디지털 전환을 겪고 있는 도시의 일상 생활 51
[그림 4-2] 스마트 팩토리 55
[그림 4-3] 스마트 팜 55
[그림 4-4] 업무 생활의 변화 종합 56
[그림 4-5] 주거공간 필요 내부 기능 57
[그림 4-6] 홈인테리어 시장 규모 57
[그림 4-7] 주거 생활의 변화 종합 58
[그림 4-8]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 추이 59
[그림 4-9] 소비 생활의 변화 종합 60
[그림 4-10] AI기술 발전으로 가장 기대되는 점 61
[그림 4-11] 여가 생활의 변화 종합 63
[그림 4-12] 초고층 수직도시의 이동행태 변화 64
[그림 4-13] 3차원 드론길 개념도 64
[그림 4-14] 도시의 교통 변화 종합 65
[그림 4-15] 활동 변화 관련 기술요소 중요성 66
[그림 4-16] 기술요소별 통행 영향 정도 66
[그림 4-17] 디지털 전환에 의한 도시 이동수요 변화 전망 68
[그림 5-1] 과거 예측된 도시공간 변화 검토 71
[그림 5-2] 도시공간의 변화 양상 72
[그림 5-3] 양재 도시복합물류단지 조성 73
[그림 5-4] 도시 유휴공간의 새로운 기능 복합 74
[그림 5-5] 신 이동수단 등장에 따른 기존 도로공간 재편 75
[그림 5-6] 은행 지점 및 대형 통신시설 매각 76
[그림 5-7] 대형 백화점 및 우체국 유휴공간의 복합화 77
[그림 5-8] 오프라인 상가의 복합화 및 업무시설의 공유화 78
[그림 5-9] 상암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주요 내용 및 현황 79
[그림 5-10] PM 시장 현황 80
[그림 5-11] 유럽의 모빌리티 허브 구축 81
[그림 5-12] 독일과 호주의 물류시스템 재편 계획 83
[그림 5-13] 주유소 활용한 모빌리티 및 물류 거점 84
[그림 5-14] 쿠팡의 근린생활권 물류기지 운영 현황 85
[그림 5-15] 근린 공간에서의 로봇배달 서비스 86
[그림 5-16] 다양해지고 있는 주택 평면 현황 87
[그림 5-17] 프랑스 파리의 도심 물류 대응 88
[그림 5-18] 공간 변화 및 대응의 동향 90
[그림 5-19] 미래 20년간의 도시공간 변화 정도에 대한 전문가의 예측 90
[그림 5-20] 향후 도시공간 변화 경향 예측 결과 91
[그림 5-21] 도심과 근린의 용도 및 수요 변화 예측 93
[그림 5-22] 근린 개념을 강조하는 도시계획 개념의 등장 95
[그림 5-23] 도심 내 업무 형태별 수요 변화 전망 96
[그림 5-24] 근린 내 일반 업무 기능의 수요 변화 전망 96
[그림 5-25] 도심 상업시설 수요변화 전망 97
[그림 5-26] 근린 내 소형상업시설 수요변화 전망 97
[그림 5-27] 서울의 주거 수요 전망 98
[그림 5-28] 주거 이용 모델 전망 98
[그림 5-29] 서울 내 녹지와 문화 시설 수요 전망 99
[그림 5-30] 공공시설 개발 모델 전망 99
[그림 5-31] 생활 물류시설 수요 변화 전망 100
[그림 5-32] 물류시설 운영 및 조성 모델 전망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