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연구 개요 1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02. 서울시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필요성 19
1.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22
1) 공간구조 변화 22
2) 인구ㆍ가구구조 변화 26
3) 생활방식의 변화 29
2. 도시 교통 이동수단의 다양화 34
1) 모빌리티 기술발전 동향 34
2) 서울시 교통수단의 변화사항 37
3. 장래 이동 특성 변화 전망 43
1) 서울시 관련 공간구조 변화에 따른 통행 추이 분석 44
2) 서울시 통행특성 분석 48
4. 국내외 동향 분석 57
1) 관련 계획 및 정책현황 57
2) 국내외 시설 현황 67
5.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필요성 75
03.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정의 77
1.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개념 및 정의 78
2.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기능 83
1) 신교통수단 연계 및 지원 84
2) 도시물류 대응 85
3) First/Last-mile 서비스 통합제공 86
4) 지역 내 다양한 생활 지원 87
3.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유형 89
1) 광역ㆍ지역중심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90
2) 근린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90
04.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도입방안 91
1. 도입방향 92
2. 광역ㆍ지역중심형 거점시설 도입 방안 96
1) 대상지역 및 활용가능 부지 96
2) 중점 도입 시설 97
3) 개념도 99
3. 근린형 거점시설 도입 방안 100
1) 대상지역 및 활용가능 부지 100
2) 중점 도입 시설 102
3) 개념도 103
4. 법ㆍ제도ㆍ추진방식 검토 104
1) 법ㆍ제도 검토 104
2) 사업추진방식 검토 109
05. 결론 및 정책제언 113
1. 결론 114
2. 정책제언 115
참고문헌 117
Abstract 120
판권기 123
[표 1-1] 연구 순서 18
[표 2-1]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변화 22
[표 2-2] 수도권 관련 계획 24
[표 2-3] 서울시 인구 추이 및 전망 26
[표 2-4] 서울시 가구 추이 및 전망 28
[표 2-5] 서울시 MZ세대 인구(2020년) 29
[표 2-6] 주요 기술 트렌드와 변화 예측 36
[표 2-7] 서울시 전기차 보급 목표 39
[표 2-8] 서울시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추이 45
[표 2-9] 수도권 광역축별 통행량 변화전망 47
[표 2-10] 서울시 관련 목적통행 추이 48
[표 2-11] 서울시 관련 수단통행 추이 49
[표 2-12] 1인/다인 가구 청년(19-34세) 통행 특성 변화 49
[표 2-13] 고령층/비고령층 통행 특성 변화 50
[표 2-14] 미래 환경변화 요인별 세부요소와 교통수요 변화 방향 51
[표 2-15] 서울시 내부 연령대별 수단통행 특성 52
[표 2-16] 서울시 청년층과 고령층 목적통행 특성 53
[표 2-17] 서울시 가구원수별 통행 특성 53
[표 2-18] 장래 서울시 관련 통행 예측 54
[표 2-19] 장래 서울시 내부 통행거리 전망 55
[표 2-20] 기존 환승시설의 주요 특성 57
[표 2-21] 서울시 관련 광역BRTㆍ환승센터 사업 계획 60
[표 2-22] TOD 개발의 개념 62
[표 2-23] 콤팩트 도시의 개념 62
[표 2-24] 역세권 세부 기준 및 기능 63
[표 2-25] 서울시 역세권 개발 시범사업 5개소 사업계획(안) 63
[표 2-26]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유형 65
[표 2-27] 관련법에 따른 기반시설의 종류 67
[표 2-28] 서울역 환승센터 개요 68
[표 2-29] 구파발역 복합환승센터 개요 68
[표 2-30] 잠실역 복합환승센터 개요 69
[표 2-31] 제주 스마트시티 챌린지 예비사업 스마트허브 구축 사례 71
[표 3-1] 모빌리티 허브 유형 80
[표 3-2] 모빌리티 허브 유형별 구성요소 81
[표 3-3]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주요 기능 및 구축 방향 83
[표 3-4]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추진 상황 84
[표 3-5] 수도권 광역교통 인프라 추진 계획 85
[표 3-6] 유통산업의 물류 프로세스 개요와 라스트 마일(Last Mile Delivery) 86
[표 3-7]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별 제공 서비스 구분 88
[표 3-8] 스마트 모빌리티 허브 유형별 역할 및 기능 정립(안) 90
[표 4-1]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대상지(기존 교통시설) 분포 95
[표 4-2] 서울시 내부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사업 계획 97
[표 4-3] 서울시 기존 도시철도 역사 내 공간 운영 현황 101
[표 4-4] 환승시설 유형 및 기능적 특성 104
[표 4-5] 도시교통정비촉진법 제2조에 따른 교통시설 및 환승시설의 정의 105
[표 4-6]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에 따른 환승시설의 정의 105
[표 4-7] 환승시설 지원 관련 법 106
[표 4-8] 도시계획시설 복합개발 사업방식 111
[표 4-9] 근린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적용 가능한 민간투자사업 방식 112
[그림 1-1] 서울시 관련 주요 변화 16
[그림 2-1] 미래 지하공간 활용 모습 20
[그림 2-2] 장래 서울의 2030 전망 모습 21
[그림 2-3] 장래 서울의 2040 도시계획(안) 23
[그림 2-4] 제4차 수도권정비계획 공간구조 구상 24
[그림 2-5] 제1기, 2기, 3기 신도시 개발 계획 25
[그림 2-6] 서울시 인구구조 추이 및 전망 27
[그림 2-7] 서울시 가구 변화(2005년 대비 2019년) 27
[그림 2-8] 1인 가구의 지역별 분포(2019) 28
[그림 2-9] 재택근무 시행 여부 30
[그림 2-10] 온라인 수업 대체 현황(2020년) 30
[그림 2-11] 서울시민의 신용카드 소비액 중 온라인 소비 비중 31
[그림 2-12] 마켓컬리 50~60대 고객 증가 현황(2021년 상반기) 32
[그림 2-13] 국내 택배물동량 추이(2012-2020) 32
[그림 2-14] 2019년 대비 2020년 서울시 택배 증감추이 33
[그림 2-15] 현대자동차의 미래 모빌리티 혁신 개념도 34
[그림 2-16] CES 2021의 핵심 트랜드 35
[그림 2-17] 국내 자율주행시장 전망과 준비도 지수 순위 37
[그림 2-18] 서울시 자율주행차 운행 동향 37
[그림 2-19] 국내 전기차 보급현황 및 전망 38
[그림 2-20] 도심항공교통 단계별 주요 추진계획 40
[그림 2-21] 서울시 내 도심항공교통 실증비행 40
[그림 2-22] 개인형 이동수단의 종류(예시) 41
[그림 2-23] 국내 퍼스널모빌리티 시장 추이 41
[그림 2-24] 서울시 개인이동교통수단 예상 수요 전망 42
[그림 2-25] 교통과 토지이용, 활동의 관계 43
[그림 2-26] 서울시 행정동별 사업체 및 고용자 수 분포(2006년, 2019년) 44
[그림 2-27] 사업체 및 고용자 수 분포 변화 현황(2006년 대비 2019년) 45
[그림 2-28] 사업체 및 고용자 수 분포 현황(2019년) 46
[그림 2-29] 2040년 수도권 광역축별 소통진단 전망 47
[그림 2-30] 서울 관련 교통수단 이용 변화 50
[그림 2-31] 장래년도 통행량 예측과정 54
[그림 2-32] 국가교통DB에서의 장래 통행거리 분포 55
[그림 2-33] 가구특성변화를 고려한 장래 통행거리 예측치 56
[그림 2-34] 제3차 계획에서의 범위 확대 58
[그림 2-35] 수도권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사업(안) 58
[그림 2-36] 도심항공교통 등 종합교통 이용형태 예시도(Uber) 59
[그림 2-37] 친환경 허브 모빌리티 구축 예시 59
[그림 2-38] 수도권 광역BRT 사업 60
[그림 2-39] 수도권 환승센터 사업 61
[그림 2-40] 역세권 활성화 개념 및 역세권 범위 63
[그림 2-41] 생활SOC 복합화 사업 개념 64
[그림 2-42] 10분 동네 생활 SOC 사업 개념 및 설치 계획 64
[그림 2-43] 도시재생 뉴딜사업 유형별 예시 65
[그림 2-44] 주요 국가 콤팩트 시티 전략 66
[그림 2-45] 교통시설과 (복합)환승센터의 개념 67
[그림 2-46]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구상도 69
[그림 2-47] 양재역 환승센터 구상도 70
[그림 2-48] 제주도 주유소 전환형, 생활 밀착형 스마트허브 운영 시나리오 71
[그림 2-49] GS칼텍스 미래형 주유소 개념 72
[그림 2-50] 휴맥스 모빌리티 허브 개념 72
[그림 2-51] 해외 주요 복합환승센터 현황 73
[그림 2-52] 이동수단의 다양화 전망 75
[그림 2-53] 향후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역할 76
[그림 3-1] 독일 브레멘의 모빌리티 허브 78
[그림 3-2] 국외 다양한 모빌리티 허브 개념 79
[그림 3-3] 국외 모빌리티 허브 가이드라인 80
[그림 3-4] 현대차와 GS칼텍스의 모빌리티 허브 개념도 82
[그림 3-5] '서울비전 2030'에서의 모빌리티 허브 관련 발표 82
[그림 3-6] 택배물류서비스의 변화 85
[그림 3-7] 퍼스트-라스트 마일에서의 교통수단 86
[그림 3-8] 서울시 기초생활 인프라 분포 현황 87
[그림 3-9] 생활권 내 지원시설(예시) 87
[그림 3-10]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유형별 개념도 89
[그림 4-1] 서울시 도시계획시설 유형별 비율(2018년) 92
[그림 4-2]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의 도입 배경 93
[그림 4-3] 서울시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대상지(기존 교통시설) 분포 94
[그림 4-4] 광역ㆍ지역중심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대상지역 96
[그림 4-5] 광역ㆍ지역중심형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 신규 교통수단 연계시설 97
[그림 4-6] 광역ㆍ지역중심형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생활지원시설 98
[그림 4-7] 서울시 버스 공영차고지 입체화 사업(강일 버스차고지) 98
[그림 4-8] 서울시 내부 철도유휴부지 활용 예시 - 물류시설 98
[그림 4-9] 광역ㆍ지역 중심형 스마트모빌리티 거점시설 구상안 99
[그림 4-10] 근린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대상지역 100
[그림 4-11] 근린형 모빌리티 거점시설 활용부지 101
[그림 4-12] 근린형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 신규 교통수단 연계시설 102
[그림 4-13] 근린형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 생활지원시설 102
[그림 4-14] 기존 교통시설 개선 - 스마트쉘터 102
[그림 4-15] 근린형 스마트모빌리티 거점시설 구상안(도시철도역) 103
[그림 4-16] 서울시 퍼스널 모빌리티 보급 현황 106
[그림 4-17]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추진방향 107
[그림 4-18]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관련 법제도 108
[그림 4-19] 도시계획시설의 중복결정 110
[그림 4-20] 도시계획시설의 공간적 범위 결정 110
[그림 5-1] 시범사업을 통한 스마트 모빌리티 거점시설 도입 활성화 방안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