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01. 서론 8
제1절 연구 목적 9
제2절 연구 방법 12
02. 이론적 검토 14
제1절 포용적 성장 15
제2절 기술혁신과 4차 산업혁명 25
1. 기술혁신의 주요 이론 25
2. 기술혁신의 특징 28
3. 4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발전 30
제3절 기술혁신과 포용적 성장 37
1.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37
2. 기술혁신과 포용적 성장 41
03. 국내외 정책 사례 48
제1절 정부의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49
1. 추진배경 49
2.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2020.6.22.)' 주요 내용 53
제2절 국외 디지털 포용 정책 사례 56
1. 영국의 디지털 포용 전략 56
2. 일본의 'AI 전략 2019' 60
3. 호주 기술 미래 전략 'Austrailia's Tech Future' 64
4. 싱가포르 'Digital Readiness Blueprint' 67
04. 결론 72
제1절 연구의 종합 73
제2절 정책제언 77
1. 포용적 기술혁신 확대 77
2. 공교육 디지털 교육 커리큘럼 구축 80
3. 디지털 기반 지역사회 자원봉사 플랫폼 83
4. 디지털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 85
참고문헌 87
Abstract 92
판권기 2
[표 2-1] McKinley(2010) 포용성장지수의 구성요소 및 핵심지표 16
[표 2-2] OECD(2018)의 포용적 성장 핵심 지표 18
[표 2-3] 산업혁명 발전과정과 개념 32
[표 2-4] WEF(2020)의 Top 20 수요 증가 및 감소 일자리 36
[표 2-5] 포용적 혁신 사례 46
[표 3-1]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 주요내용 54
[표 3-2] 영국 디지털 포용 전략 주요 내용 60
[표 3-3] 일본의 '인간 중심의 AI 사회 원칙' 주요 내용 61
[표 3-4] 일본의 'AI 전략 2019' 주요 내용 63
[표 3-5] 호주 디지털 포용 정책 주요 내용 66
[표 3-6] 싱가포르 'Digital Readiness Blueprint' 전략과 핵심 추진 내용 71
[표 4-1] 포용적 기술혁신 프로젝트 예시 78
[표 4-2] 영국의 디지털 교육 8개 분야 주요 내용 81
[표 4-3] 디지털 교육 커리큘럼 예시(중ㆍ고등학생 대상) 82
[표 4-4] 싱가포르 자원봉사 어플리케이션(SG Cares) 서비스 사례 84
[그림 1-1] 연구 프레임워크 13
[그림 2-1] OECD(2018)의 포용적 성장 프레임워크 17
[그림 2-2] WEF(2015)의 포용적 성장 프레임워크 19
[그림 2-3] WEF(2015)의 포용적 성장 핵심 성과지표 20
[그림 2-4] Ianchovichina and Lundstrom(2009)의 포용적 성장 분석 틀 21
[그림 2-5] Ianchovichina and Lundstrom(2009)의 기업환경 분석 틀 21
[그림 2-6] 산업연구원(2018)의 포용성장의 개념 23
[그림 2-7] WEF(2020)의 직무별 인간과 로봇의 업무비중 변화(2020년과 2025년) 35
[그림 2-8] WEF(2020)의 전 세계 일자리 순고용 전망(2015~2020) 35
[그림 2-9] 기술혁신과 경제성장의 선순환 메커니즘 40
[그림 2-10] 소득 불균형의 결정요인별 기여도(전 세계, 선진국, 개발도상국) 42
[그림 2-11] 디지털 기술혁신에 따른 포용적 성장 효과 45
[그림 3-1] 디지털 취약계층 정보격차 현황(2020년) 50
[그림 3-2] 연령대별 인터넷 쇼핑 이용 경험(좌)과 인터넷 뱅킹 이용 경험(우) 51
[그림 3-3] 소득수준별 원격학습 경험(좌)과 소득수준별 온라인 학습지도 경험 '있다'(우) 51
[그림 3-4] 고령층(65세 이상) 소비자 '키오스크 사용시 불편한 점' 조사결과 52
[그림 3-5]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 커리큘럼 68
[그림 3-6] 기업의 디지털 포용 활동 69
[그림 3-7] IMDA(정보통신미디어개발청)의 디지털 클리닉 운영 사례 70
[그림 4-1] 미국 삶의 질 기술연구센터(QoLT)의 연구 개요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