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4
Abstract 16
Ⅰ. 서론 20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1
2. 연구방법과 범위 24
가. 연구방법 24
나. 연구범위와 구성 25
Ⅱ.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28
1. 이론적 논의 29
가. 공공외교와 신공공외교 29
나. 통일 공공외교와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38
2. 분석틀 46
가.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정의와 5단계 분석틀의 적용 46
나.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영역 52
Ⅲ. 한국의 대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추진실태 55
1. 추진체계 현황 56
가. 한국의 공공외교 정책 56
나. 한국의 대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추진체계 60
2. 영역별 추진실태 89
가. 지식 공공외교 89
나. 문화 공공외교 106
다. 정책 공공외교 120
3. 평가 140
가. 추진체계 140
나. 영역별 추진실태 148
Ⅳ. 주변 4국의 대한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인식: 전문가 조사 결과 156
1. 조사 개요 157
가. 전문가 인식조사의 목적 157
나. 설문지의 설계와 구성 158
다. 전문가의 선정 및 특징 160
2. 국가별 결과 분석 162
가. 미국 162
나. 중국 179
다. 일본 194
라. 러시아 209
3. 비교분석 및 특징 224
가. 설문조사 결과의 국가별 비교 224
나. 전문가 인식의 특징 비교 241
Ⅴ. 결론: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에서 민간의 역할 확대 및 개선방안 254
1. 연구 결과의 종합 및 함의 256
가. 종합 분석: 실태와 인식 256
나. 정책적 함의 266
2. 민간의 역할 확대 및 개선방안 273
가. 민간의 역할 확대 방안 274
나. 한국의 대주변 4국 평화 통일 공공외교의 개선방안 281
참고문헌 306
[부록] 전문가 인식조사 문항 313
최근 발간자료 안내 327
판권기 3
〈표 Ⅱ-1〉 중견국 개념의 네 가지 분류 32
〈표 Ⅱ-2〉 주요 학자들의 공공외교 개념 정의 또는 인식 33
〈표 Ⅱ-3〉 미국과 한국의 공공외교 정의 35
〈표 Ⅲ-1〉 대중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추진 주체 74
〈표 Ⅲ-2〉 대일본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추진 주체 80
〈표 Ⅲ-3〉 대러시아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추진 주체 85
〈표 Ⅲ-4〉 대미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추진 주체 및 사례 94
〈표 Ⅲ-5〉 2020-2021 통일부 주최ㆍ후원 한미 전문가 정책 토론회 사례 122
〈표 Ⅲ-6〉 2020-2021 외교부 주최ㆍ후원 한미 전문가 정책 토론회 사례 123
〈표 Ⅳ-1〉 설문조사 문항 구성 159
〈표 Ⅳ-2〉 설문조사 국가 및 분야별 응답 인원 161
〈표 Ⅳ-3〉 국가별 전문가 경력 분포 162
〈표 Ⅳ-4〉 한국의 대미국 공공외교 전반에 대한 평가 163
〈표 Ⅳ-5〉 한국의 대미국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170
〈표 Ⅳ-6〉 한국의 대미국 통일 및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175
〈표 Ⅳ-7〉 한국 공공외교의 장애요인(미국) 176
〈표 Ⅳ-8〉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 전반에 대한 평가 180
〈표 Ⅳ-9〉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186
〈표 Ⅳ-10〉 한국의 대중국 통일 및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191
〈표 Ⅳ-11〉 한국의 대일본 공공외교 전반에 대한 평가 195
〈표 Ⅳ-12〉 한국의 대일본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200
〈표 Ⅳ-13〉 한국의 대일본 통일 및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206
〈표 Ⅳ-14〉 한국의 대러시아 공공외교 전반에 대한 평가 210
〈표 Ⅳ-15〉 한국의 대러시아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215
〈표 Ⅳ-16〉 한국의 대러시아 통일 및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220
〈표 Ⅳ-17〉 국가별 한국의 공공외교 전반에 대한 평가 225
〈표 Ⅳ-18〉 국가별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 229
〈표 Ⅳ-19〉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목표 229
〈표 Ⅳ-20〉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지향점 230
〈표 Ⅳ-21〉 한국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231
〈표 Ⅳ-22〉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35
〈표 Ⅳ-23〉 국가별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접촉경로(매체) 236
〈표 Ⅳ-24〉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접촉경로(매체) 236
〈표 Ⅳ-25〉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유용성 전망 237
〈표 Ⅳ-26〉 국가별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239
〈표 Ⅳ-27〉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 직군 239
〈표 Ⅳ-28〉 국가별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40
〈표 Ⅳ-29〉 국가별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41
〈표 Ⅴ-1〉 한국의 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 목표 비교 259
〈표 Ⅴ-2〉 한국의 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영역별 비교 262
〈표 Ⅴ-3〉 한국의 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매체 활용도 비교 263
〈표 Ⅴ-4〉 한국의 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대상 비교 264
〈표 Ⅴ-5〉 한국의 주변 4국 평화ㆍ통일 공공외교의 개선방안 304
〈그림 Ⅱ-1〉 공공외교의 방식 37
〈그림 Ⅱ-2〉 공공외교에 대한 5단계 분석틀 47
〈그림 Ⅱ-3〉 5단계 분석틀에 따른 한국 공공외교 수행체계 47
〈그림 Ⅲ-1〉 한국 공공외교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58
〈그림 Ⅳ-1〉 전문가의 소속기관 분포 161
〈그림 Ⅳ-2〉 한국의 대미국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165
〈그림 Ⅳ-3〉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심층평가(5점 척도) 165
〈그림 Ⅳ-4〉 한국의 대미국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 167
〈그림 Ⅳ-5〉 한국의 대미국 통일 공공외교의 지향점 167
〈그림 Ⅳ-6〉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목표 168
〈그림 Ⅳ-7〉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지향점 168
〈그림 Ⅳ-8〉 한국의 대미국 공공외교의 자원 171
〈그림 Ⅳ-9〉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자원 171
〈그림 Ⅳ-10〉 한국의 대미국 통일 공공외교의 매체 172
〈그림 Ⅳ-11〉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173
〈그림 Ⅳ-12〉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 매체의 유용성 전망 173
〈그림 Ⅳ-13〉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미국) 174
〈그림 Ⅳ-14〉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미국) 175
〈그림 Ⅳ-15〉 한국의 대미국 통일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177
〈그림 Ⅳ-16〉 한국의 대미국 평화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177
〈그림 Ⅳ-17〉 한국의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척도) 181
〈그림 Ⅳ-18〉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척도) 181
〈그림 Ⅳ-19〉 한국의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 182
〈그림 Ⅳ-20〉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 182
〈그림 Ⅳ-21〉 한국의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 184
〈그림 Ⅳ-22〉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목표 184
〈그림 Ⅳ-23〉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지향점 185
〈그림 Ⅳ-24〉 한국의 대중국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187
〈그림 Ⅳ-25〉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187
〈그림 Ⅳ-26〉 한국의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의 매체 188
〈그림 Ⅳ-27〉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188
〈그림 Ⅳ-28〉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유용성 전망 189
〈그림 Ⅳ-29〉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중국) 190
〈그림 Ⅳ-30〉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중국) 190
〈그림 Ⅳ-31〉 한국의 대중국 통일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192
〈그림 Ⅳ-32〉 한국의 대중국 평화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193
〈그림 Ⅳ-33〉 한국의 대일본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196
〈그림 Ⅳ-34〉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196
〈그림 Ⅳ-35〉 한국의 대일본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 197
〈그림 Ⅳ-36〉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의 목표 198
〈그림 Ⅳ-37〉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의 지향점 199
〈그림 Ⅳ-38〉 한국의 대일본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01
〈그림 Ⅳ-39〉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01
〈그림 Ⅳ-40〉 한국의 대일본 통일 공공외교의 매체 203
〈그림 Ⅳ-41〉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203
〈그림 Ⅳ-42〉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 매체의 유용성 전망 204
〈그림 Ⅳ-43〉 한국의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일본) 205
〈그림 Ⅳ-44〉 한국의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일본) 205
〈그림 Ⅳ-45〉 한국의 대일본 통일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07
〈그림 Ⅳ-46〉 한국의 대일본 평화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07
〈그림 Ⅳ-47〉 한국의 대러시아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211
〈그림 Ⅳ-48〉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211
〈그림 Ⅳ-49〉 한국의 대러시아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 212
〈그림 Ⅳ-50〉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의 목표 213
〈그림 Ⅳ-51〉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의 지향점 213
〈그림 Ⅳ-52〉 한국의 대러시아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15
〈그림 Ⅳ-53〉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16
〈그림 Ⅳ-54〉 한국의 대러시아 통일 공공외교의 매체 216
〈그림 Ⅳ-55〉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의 매체 217
〈그림 Ⅳ-56〉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 매체의 유용성 전망 218
〈그림 Ⅳ-57〉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러시아) 219
〈그림 Ⅳ-58〉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러시아) 219
〈그림 Ⅳ-59〉 한국의 대러시아 통일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21
〈그림 Ⅳ-60〉 한국의 대러시아 평화 공공외교의 장애요인 222
〈그림 Ⅳ-61〉 한국의 통일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226
〈그림 Ⅳ-62〉 한국의 평화 공공외교에 대한 심층평가(5점 척도) 227
〈그림 Ⅳ-63〉 한국 공공외교의 목표 228
〈그림 Ⅳ-64〉 한국 공공외교의 핵심 주체 232
〈그림 Ⅳ-65〉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핵심 주체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233
〈그림 Ⅳ-66〉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핵심 주체 233
〈그림 Ⅳ-67〉 한국 공공외교의 주요 자원 234
〈그림 Ⅳ-68〉 한국 통일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국가별 종합) 238
〈그림 Ⅳ-69〉 한국 평화 공공외교의 주요 대상국(국가별 종합)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