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1
연구진 4
제출문 5
목차 6
요약 20
제1장 서론 34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4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35
제1부 한국 사회의 불평등 38
제2장 한국 사회의 불평등: 현황, 원인, 대안 42
제1절 들어가며: 한국의 비극 42
제2절 불평등의 추이와 국제 비교 45
제3절 불평등의 원인과 과정 53
제4절 불평등 완화를 위한 새로운 정책 방향 80
제5절 소결: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국가의 역할 90
제3장 한국의 소득, 자산 불평등 변화 96
제1절 들어가며 96
제2절 한국의 소득 불평등 98
제3절 한국의 자산 불평등 122
제4절 소결: 대안적 정책 방향 127
제4장 한국의 교육 불평등 변화 134
제1절 들어가며 134
제2절 교육 불평등 135
제3절 한국 사회의 질적 교육 불평등 변화 요인 153
제4절 한국 사회 교육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제언 162
제5절 소결 175
제5장 한국의 불평등과 조세·재정정책 180
제1절 들어가며 180
제2절 한국의 조세정책의 역사와 특징 181
제3절 한국의 조세체제의 누진성 평가 186
제4절 조세재정정책의 불평등 완화 효과 195
제5절 불평등 완화를 위한 세제 개혁 203
제6절 소결 207
제2부 사회적 돌봄과 지역공동체의 변화 210
제6장 돌봄 위기와 사회적 돌봄의 새로운 모색 214
제1절 들어가며 214
제2절 돌봄의 정의와 민주성 논의 216
제3절 인구 및 가족 구조의 변화와 생애통합 돌봄의 필요 220
제4절 소결: 사회적 돌봄의 새로운 대안과 발판 229
제7장 아동에 대한 사회적 돌봄 236
제1절 들어가며: 아동돌봄에서 수수께끼와 딜레마 236
제2절 현재 한국의 아동돌봄의 상황: 돌봄의 중층구조 239
제3절 아동돌봄 체계에 대한 진단: 좋은 돌봄 관점과 코로나-19 사례 259
제4절 한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 272
제5절 소결 277
제8장 장애인의 사회적 돌봄 280
제1절 들어가며: 장애인의 사회적 돌봄을 말하기 전에 280
제2절 장애로 뭉뚱그려질 수 없는 사람들 287
제3절 장애인 돌봄의 현실과 지원제도 292
제4절 장애인 돌봄의 사회화가 제대로 되려면 300
제5절 장애인 돌봄의 사회화를 위한 제언 309
제6절 소결 322
제9장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돌봄 326
제1절 들어가며 326
제2절 학교 밖 청소년 현황 330
제3절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돌봄 341
제4절 소결 361
제10장 노인의 사회적 돌봄 364
제1절 들어가며 364
제2절 노인 돌봄의 사회화와 가족 368
제3절 일본의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례 분석과 시사점 370
제4절 소결: 노인 사회적 돌봄의 방향과 과제 392
제3부 가족에 대한 새로운 모색 398
제11장 한국가족의 변화와 특징 402
제1절 들어가며 402
제2절 가족변동의 시기와 동학: 언제, 왜 무슨 변화가 일어났는가? 404
제3절 한국가족, 어디로 가는가?: 변화의 특징과 함의 437
제4절 가족변화의 사회적 결과 461
제5절 소결: 정리 및 제언 485
제12장 가족과 젠더: 갈등·혐오에서 애정·연대로 492
제1절 들어가며 492
제2절 청년 비혼·결혼·출산·양육 496
제3절 생애 중후반기 가족과 젠더 516
제4절 전 생애 친밀하고 안전한 성생활 537
제5절 소결: 방향성 및 과제 549
제13장 세대와 가족: 세대간 형평과 가족의 지속가능성 560
제1절 들어가며 560
제2절 세대와 가족의 관계 561
제3절 한국 사회의 발전 맥락에서 본 세대와 가족 565
제4절 세대와 가족 관계의 변화와 문제점 572
제5절 소결: 정책적 함의 590
제14장 일·가정 양립에서 일·생활 균형으로: 가치와 전략적 선택의 변화 596
제1절 들어가며 596
제2절 일·생활 균형 정의와 가치관 변화 599
제3절 일·생활 균형의 국내 현황 605
제4절 일·생활 균형 관련 국내 정책 619
제5절 소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정책 방향 627
제15장 정책 수급권 단위 : 개인 대 가족 638
제1절 들어가며 638
제2절 현행법상 사회보장 제도와 가족 640
제3절 사회보장 법제에서 수급권 단위의 검토: 국민연금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중심으로 648
제4절 소결 : 가족 중심의 사회보장 제도의 보완을 위한 논의 670
제16장 결론 676
제1절 주요 의제와 공론화 676
제2절 정책적 함의 690
참고문헌 694
부록 744
[부록 1] 장애유형별 연령별 장애인구수 744
[부록 2] 일본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례 746
[부록 3] 젠더갈등을 다룬 뉴스 분석 결과(2019.7.~2021.10.) 748
[부록 4] 청년세대의 젠더, 저출생·고령사회 정책 필요성 인식 차이 749
[부록 5] 가족관계만족도: 시기,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 751
[부록 6] 이혼에 대한 태도: 시기, 연령, 성별에 따른 차이 753
뒷표지 757
〈표 1-1〉 분과별 연구진의 구성 37
〈표 3-1〉 2010년대 가구 균등화 시장 소득 10분위별 소득 점유율 및 증가율 114
〈표 3-2〉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전후의 균등화 소득 지니 불평등 계수 변화 116
〈표 3-3〉 국가별 자산 불평등과 성인 1인당 자산 중위값 124
〈표 5-1〉 2018년 OECD와 한국의 주요 세목의 세수 규모 186
〈표 5-2〉 미국과 한국의 과표 구간과 구간별 명목세율(2019년 기준) 187
〈표 5-3〉 2015년 소득 비중 고려 기업의 세부담 비교 193
〈표 5-4〉 상위 토지 소유 주체별 면적 점유율 194
〈표 5-5〉 세제개편에 관한 최근 논의들 207
〈표 6-1〉 가구원수별 가구 규모 변화 222
〈표 6-2〉 노인가구 수 및 유형별 구성비 223
〈표 6-3〉 노인 1인가구의 생활환경 및 안전 226
〈표 7-1〉 유치원 및 어린이집 연령별 영유아수와 비율(2019) 243
〈표 7-2〉 방과후 돌봄서비스 개요 250
〈표 7-3〉 아이 기르기 좋은 마을/동네에 필요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중요도 255
〈표 8-1〉 장애인 돌봄지원사업 비교 299
〈표 8-2〉 장애인 활동지원의 주요 내용 302
〈표 9-1〉 학교 밖 청소년 유형 336
〈표 9-2〉 학생증이 없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례 338
〈표 9-3〉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제도적 지원 유형 342
〈표 9-4〉 지역사회 규모에 따른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내용 346
〈표 9-5〉 대도시 학교 밖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바라는 것 347
〈표 9-6〉 중소도시 학교 밖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바라는 것 348
〈표 9-7〉 읍면지역 학교 밖 청소년이 지역사회에 바라는 것 350
〈표 9-8〉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돌봄에 관한 국내외 사례 360
〈표 10-1〉 사례분석 내용과 기준 372
〈표 11-1〉 주요 가구형태 변화, 1980-2019 439
〈표 11-2〉 결혼문화에 관한 태도 452
〈표 11-3〉 부모생존 여부 및 동거자(가구주) 453
〈표 11-4〉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454
〈표 11-5〉 노인인구의 가구구성(일반가구) 468
〈표 11-6〉 성 및 연령별 1인가구 471
〈표 12-1〉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의 청년 비혼·결혼·출산·양육 관련 추진과제 511
〈표 12-2〉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에서의 청년 비혼·결혼·출산·양육 관련 추진과제 513
〈표 12-3〉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의 청년 비혼·결혼·출산·양육 관련 추진과제 515
〈표 12-4〉 노인의 성별 및 연령별 바람직한 재산처리방식(2020년) 530
〈표 12-5〉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의 생애 후반기 가족과 젠더 관련 추진과제 531
〈표 12-6〉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에서의 생애 후반기 가족과 젠더 관련 추진과제 534
〈표 12-7〉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에서의 생애 후반기 가족과 젠더 관련 추진과제 536
〈표 12-8〉 2008~2020년 노인실태조사에서의 노인 이성교제 및 성생활 조사내용 비교 542
〈표 12-9〉 2020년 연령대별(남자) 성매개감염병 발병 건수 544
〈표 12-10〉 2020년 연령대별(여자) 성매개감염병 발병 건수 545
〈표 12-11〉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의 전 생애 친밀하고 안전한 성생활 관련 추진과제 546
〈표 12-12〉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에서의 전 생애 친밀하고 안전한 성생활 관련 추진과제 548
〈표 12-13〉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에서의 전 생애 친밀하고 안전한 성생활 관련 추진과제 549
〈표 12-14〉 애정·연대로의 사회보장을 위한 젠더와 가족 관련 추진과제 550
〈표 14-1〉 베이비붐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 출생년도와 특징 598
〈표 14-2〉 여성가족부 가족실태조사 일·가정 갈등 측정 문항 601
〈표 14-3〉 일, 가족, 개인 영역의 활동 종류 602
〈표 14-4〉 2013년, 2019년 사회조사 참여자의 세대 구분 606
〈표 14-5〉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성 세대 비교 607
〈표 14-6〉 여성 취업에 대한 가치관 세대 비교 608
〈표 14-7〉 여가를 함께 보내는 사람(전체) 세대 비교 610
〈표 14-8〉 여가를 함께 보내는 사람(기혼자) 세대 비교 610
〈표 14-9〉 OECD 국가의 근로시간과 장시간 근로자 비율 및 순위 612
〈표 14-10〉 성별, 결혼지위, 어린자녀 유무에 따른 일·가정 갈등 수준 613
〈표 14-11〉 주중 평일 하루 10시간 이상 근로자 비율과 평균 유급노동시간의 연도별 비교(취업자, 20세 이상) 614
〈표 14-12〉 기혼자의 하루 평균 가족 영역 시간 사용의 연도별 비교 615
〈표 14-13〉 개인 영역 시간의 연도별 비교 616
〈표 14-14〉 성별에 따른 시간부족감 점수의 연도별 비교 617
〈표 14-15〉 연도별 육아휴직 규정 변경 내용 618
〈표 14-16〉 출산휴가자 및 육아휴직자 현황 619
〈표 14-17〉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제1차 ~ 제4차)의 일·생활 균형 관련 정책 621
〈표 14-18〉 건강가정기본계획(제1차 ~ 제4차)의 일·생활 균형 관련 정책 623
〈표 14-19〉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 기본계획(제1차 ~ 제3차)의 일·생활 균형 관련 정책 626
〈표 14-20〉 공무원 복무규정의 자녀돌봄휴가 조항 631
〈표 15-1〉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1 1.부양가족연금액(제38조 관련) 650
〈표 15-2〉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1 2. 미지급 급여(제39조 관련) 654
〈표 15-3〉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1 4. 사망일시금(제53조 관련) 657
〈표 15-4〉 국민연금법 시행령 별표1 3. 유족연금(제47조 관련) 660
〈표 16-1〉 각 분과의 전문가 공론화 프로그램 686
〈표 16-1〉 각 분과의 전문가 공론화 프로그램(계속) 687
〈부표 1-1〉 장애유형별 연령별 장애인구수 744
〈부표 1-2〉 일상생활에서 도움주는 사람 745
〈부표 5-1〉 2010년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751
〈부표 5-2〉 2020년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752
〈부표 6-1〉 2010년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이혼에 대한 견해 753
〈부표 6-2〉 2020년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이혼에 대한 견해 754
〈부표 6-3〉 2010~2019년 중·고등학생 성관계 경험률: 성별 및 학년별 비교 755
[그림 1-1] 연구의 추진절차 36
[그림 3-1] 소득 불평등 변화 105
[그림 3-2] P90/P50, P50/P10 비율 변화 112
[그림 3-3] 연도별 상하위 소득 제외 로그소득의 분산 변화, 도시 2인 이상 가구주 113
[그림 3-4] OECD 국가 빈곤율, 전체, 0-17세, 66세 이상 117
[그림 3-5] 2009년 대비 로그 전환 개인 소득 분산에 끼치는 연령대별 효과 분해 120
[그림 3-6]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의 상관관계 123
[그림 4-1] 세대 간 사회이동 OED 삼각 모형 136
[그림 4-2] 교육 불평등 변화 추이 실증 분석 모형 137
[그림 4-3] 출생연도별 절대적 가치 측면에서의 아버지 학력과 자녀의 학력 연관성: 남성 140
[그림 4-4] 출생연도별 절대적 가치 측면에서의 아버지 학력과 자녀의 학력 연관성: 여성 141
[그림 4-5] 출생연도별 상대적 가치 측면에서의 아버지 학력과 자녀의 학력 연관성: 남성 141
[그림 4-6] 출생연도별 상대적 가치 측면에서의 아버지 학력과 자녀의 학력 연관성: 여성 142
[그림 4-7] 고등학교 유형별 고2 학생들의 부모 학력 분포(2016) 143
[그림 4-8] 고등학교 유형별 고2 학생들의 가구 월 평균 소득 분포(2016) 144
[그림 4-9] 고교 유형별 고등 교육 기관 진학 결과(2019) 145
[그림 4-10] 부모 학력에 따른 2016년 고2 학생들의 졸업 후 고등 교육 기관 진학 결과 146
[그림 4-11] 가구 소득에 따른 2016년 고2 학생들의 졸업 후 고등 교육 기관 진학 결과 147
[그림 4-12] 초등학교 유형에 따른 학생 부모의 학력 분포 148
[그림 4-13]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학업성취와의 연관성 변화 151
[그림 4-14] 연도별(도시 2인 이상 가구) 가처분소득 지니 계수 154
[그림 4-15] 연도별(도시 2인 이상 가구) 가처분소득 하위 1분위 대비 상위 9분위 배율 154
[그림 4-16] 연도별 가구 월 평균 소득에 따른 1인당 사교육비 지출 규모 변화 155
[그림 4-17] 연도별 이혼율 변화 156
[그림 4-18] 연도별 합계출산율 157
[그림 4-19] 연도별 국제결혼 건수 및 국제결혼율 158
[그림 4-20] 연도별 다문화 학생수 및 다문화 학생 비율 158
[그림 4-21] 연도별 중·고등학교 수준별 수업 실시 비율 161
[그림 4-22] 연도별 고교 유형 비율 변화 161
[그림 4-23] OECD 국가별 세대 간 교육 이동(25-34세 성인) 163
[그림 4-24]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학생의 읽기 성취간의 연관성 164
[그림 4-25] PISA 주기별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평균 읽기 점수 165
[그림 4-26] 한국, 일본, 미국, 핀란드의 교육 단계별 사립학교 등록 비율(2018) 166
[그림 4-27] OECD 국가별 주체에 따른 고등 교육 비용 정도(2018) 167
[그림 4-28] 평준화 여부에 따른 중소도시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학업성취 분산... 170
[그림 4-29] 한국, 홍콩, 미국의 중학교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및 학업성취 분산에서 학교 간 차이가... 172
[그림 4-30] 국가별 학원 형태의 사교육 참여 비율 174
[그림 5-1] 한국과 OECD의 조세부담률(광의) 182
[그림 5-2] 각 세목의 세수 규모 추이(1972~2019년) 183
[그림 5-3] 소득세 과표구간 수와 최고 및 최저구간 한계세율 184
[그림 5-4] 법인세 과표구간 수와 최고 및 최저구간 한계세율 185
[그림 5-5] 근로소득 100분위별 1인당 총급여, 결정세액, 세수 비중 188
[그림 5-6] 근로소득 100분위별 1인당 명목세율, 실효세율 189
[그림 5-7] 근로소득 상위 1% 내 분위별 1인당 총급여, 결정세액, 세수 비중 190
[그림 5-8] 근로소득 상위 1% 내 분위별 1인당 명목세율, 실효세율 190
[그림 5-9] 소득수준별 소득세 실효세율(임금근로자 기준) 191
[그림 5-10] 임금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의 상위계층 집중도 193
[그림 5-11] 우리나라 시장소득 및 가처분소득의 지니계수 추이 196
[그림 5-12] OECD 평균과 우리나라의 복지지출 규모 추이(GDP 대비) 196
[그림 5-13] 소득세, 사회보험료, 이전지출의 소득재분배 기여율 197
[그림 5-14] 현금 이전지출 및 소득재분배(2014년) 198
[그림 5-15] 가계 현금성 복지 중 저소득층 선별 지출 비중 199
[그림 5-16] OECD 4개 주요국의 정부 총지출 200
[그림 5-17] 미국 소득계층별 세부담률(2018년, 시장소득 기준) 203
[그림 5-18] 주요 선진국의 상위 1%, 10% 소득 비중 205
[그림 6-1] 세계와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 추이 221
[그림 6-2] 결혼 건수 및 조혼인율, 1970 ~ 2020 221
[그림 6-3] 1인 가구의 걱정 요인 225
[그림 6-4] 성별 연령별 자살 충동의 변화 228
[그림 7-1] 돌봄의 다이아몬드 지형 237
[그림 7-2]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의 변화 240
[그림 7-3]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시설 연도별 비중(2019) 243
[그림 7-4] 전국 지역아동센터 연도별 설치현황 247
[그림 7-5] 방과 후 돌봄서비스 개요 249
[그림 7-6] 배곧신도시 아동의 등굣길 이동 결과: 전체응답자 254
[그림 7-7] 배곧신도시 아동의 생활시간과 장소: 전체응답자 255
[그림 7-8] 트론토가 제안한 "좋은 돌봄의 요소와 윤리적 가치" 262
[그림 7-9] 아이돌봄서비스 사업의 변화 관련: 2016-2020 270
[그림 8-1] 생애주기와 장애인 돌봄 280
[그림 8-2] OECD 국가별 장애출현율 282
[그림 8-3] 장애유형별 등록장애인수(2000~2018) 287
[그림 8-4] 장애유형별 장애인구의 연령 구성비 288
[그림 8-5] 고령장애인의 현황 290
[그림 8-6] 장애인의 연령 구성비 변화 291
[그림 8-7] 장애인 1인가구의 구성비 변화 292
[그림 8-8] 일상생활도움 필요 293
[그림 8-9] 장애유형별 일상생활도움 필요 294
[그림 8-10] 장애유형별 가족돌봄 제공자의 유형 295
[그림 8-11] 장애유형별 기능제한 영역 점수 313
[그림 9-1] 학년도별 학업중단율 331
[그림 9-2] 청소년 돌봄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 연계 통합 구조화 예시 353
[그림 10-1] 지역사회 통합돌봄 운영 구조 378
[그림 10-2] 나가오카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탈시설화에 기반한 지역완결형 서비스 지원 381
[그림 10-3] 요코스가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재택요양(보건·의료·돌봄) 연계 387
[그림 11-1] 출생아 수(조출산율)와 사망자 수(조사망률)의 추이(1970~2020년) 416
[그림 11-2] 조혼인율과 조출생율 추이(1970~2020년) 417
[그림 11-3] 지니계수의 변화 추이(1990~2016년) 425
[그림 11-4] 연령별 실업률의 변화 추이(2000~2020년) 428
[그림 11-5] 성별 고용율의 변화(2000~2019년) 434
[그림 11-6] 성별 대학진학율과 경제활동참가율 436
[그림 11-7] 평균 가구원 수의 변화와 미래 전망(1975~2047) 441
[그림 11-8] 주요 가구형태 변화 추이 전망, 2017-2047 441
[그림 11-9] 혼인건수(조혼인율)와 이혼건수(조이혼율)의 변화(1970-2020) 442
[그림 11-10] 평균 초혼연령 및 초혼부부 혼인건수, 1990-2019 444
[그림 11-11]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2000-2020)및 주요 연령층 출산율 추이(2015-2020) 444
[그림 11-12] 성별 미혼인구 비중(30~39세)(1990~2020) 445
[그림 11-13] 혼인 유형별 변화: 1980~2019년 447
[그림 11-14] 결혼, 이혼 및 재혼에 대한 태도 449
[그림 11-15] 2020년 성별 및 혼인지위에 따른 결혼·이혼·재혼에 대한 태도 450
[그림 11-16] 2020년 연령별 결혼·이혼·재혼에 대한 태도 450
[그림 11-17] 2019년 OECD 국가의 합계출산율과 모의 첫째아 출산연령 비교 462
[그림 11-18] 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 비교, 2009, 2019 463
[그림 11-19] 총 인구 및 연평균증감률 464
[그림 11-20]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1960~2067년 464
[그림 11-21] 출생아수 및 사망자수, 1985~2067년 465
[그림 11-22]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2000T~2020R) 466
[그림 11-23] 1인 가구 증가세(1980-2019) 469
[그림 11-24] 1인, 2인가구 비율의 증가세, 2000-2020 469
[그림 11-25] 국가별 1인가구 구성비 470
[그림 11-26] 1인 가구의 혼인상태별 분포 : 2000-2015년 472
[그림 11-27] 일반가구원 대비 1인 가구의 성별 연령별 비율 473
[그림 11-28] 1인 가구의 거처 종류 474
[그림 11-29] 가구의 주택 점유형태(2019) 475
[그림 12-1] 젠더 이슈 관련 뉴스 키워드맵 및 시기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젠더 이슈 게시글 수 변화 493
[그림 12-2] 젠더 이슈 관련 뉴스 키워드맵 및 시기별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젠더 이슈 게시글 수 변화 494
[그림 12-3] 한국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갈등에 성별갈등이라고 응답한 비율(2019년) 496
[그림 12-4] 미래 한국의 저출생·고령화에 대한 전망(2019년) 497
[그림 12-5] 남성, 여성에 대한 혐오 표현 경험 여부(2019년과 2021년 비교) 498
[그림 12-6] 네이버(NAVER) 검색어 '갈등', '혐오', '사랑' 추세(2016.1.~2021.9.): 전체 성별 및 연령 499
[그림 12-7] 네이버(NAVER) 검색어 '갈등', '혐오', '사랑' 추세(2016.1.~2021.9.): 34세 이하 성별 비교 500
[그림 12-8] 혼인 건수 및 조혼인율(1970~2020년), 평균 초혼연령(2000~2020년) 변화 501
[그림 12-9] 2010, 2019, 2020년 남녀 연령별 혼인율 변화 502
[그림 12-10] 30대의 향후 결혼의향, 비혼에 대한 생각(이미지) 조사 결과(2020년) 503
[그림 12-11] 결혼과 출산을 하지 않으려는 이유(2021년) 504
[그림 12-12] 동거생활 중 어려움 경험 및 동거가족지원 필요성에 대한 동의(2020년) 505
[그림 12-13] OECD 회원국에서의 법률혼인 외 출생아 비율(2018년) 506
[그림 12-14]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21~2025년): 청년의 삶의 기반 강화, 다양한 가족의... 508
[그림 12-15]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2025년) 비전, 목표, 영역별 과제: 성평등, 가족 다양성 509
[그림 12-16] 제2차 사회보장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체계도 510
[그림 12-17] 네이버(NAVER) 검색어 '갈등', '혐오', '사랑' 추세(2016.1.~2021.9.): 35~59세 517
[그림 12-18] 네이버(NAVER) 검색어 '갈등', '혐오', '사랑' 추세(2016.1.~2021.9.): 60세 이상 518
[그림 12-19] 2000~2020년 출생성비 변화 및 출산순위별 출생 성비(2010년, 2020년) 519
[그림 12-20] 자녀 성 선호(2021년) 520
[그림 12-21] 자녀 성 선호: 연령대별 차이(2021년) 521
[그림 12-22]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연도, 연령, 성별 차이 비교 523
[그림 12-23] 양가 부모와의 관계만족도 차이: 연도, 연령, 성별 비교 525
[그림 12-24] 이혼 건수 및 조이혼율(1970~2020년), 평균 이혼 연령(2000~2020년) 변화 526
[그림 12-25] 2010, 2019, 2020년 남녀 연령별 이혼율 변화 527
[그림 12-26]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이혼에 대한 견해: 경우에 따라 이혼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529
[그림 12-27] 성인의 성별 및 연령대별 지난 1년 동안 성관계한 비율 538
[그림 12-28] 2010~2019년 중·고등학생 성관계 경험률: 성별 및 학년별 비교 540
[그림 12-29] 노인의 성생활을 주제로 한 한국 영화: 이젠 죽어도 좋아(왼쪽), 죽여주는 여자(오른쪽) 541
[그림 12-30] 2010~2020년 65세 이상 노인 성매개감염병 발병 건수: 성별 비교 543
[그림 13-1] 세대와 가족의 관계: 선순환과 악순환 563
[그림 13-2] 가족의 기능에 대한 의견의 세대별 비교 564
[그림 13-3] 가족-교육-일의 삼각형: 세대와 가족의 생애주기 565
[그림 13-4] 유교적 발전국가 시기의 가족-교육-일 관계 566
[그림 13-5] 포스트 발전국가 시기의 가족-교육-일 관계 568
[그림 13-6] 가족-교육-일 관계의 악화 및 결과 569
[그림 13-7] 저출산의 악순환 571
[그림 13-8] 한국 조혼인율의 변화: 2001~2020 572
[그림 13-9] 결혼에 대한 태도의 세대별 비교 573
[그림 13-10] 연도별 출산아 수의 변화 574
[그림 13-11]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에 대한 동의 비율의 세대별 비교 575
[그림 13-12] 물질주의와 탈물질주의 가치관 분포의 세대별 비교 576
[그림 13-13] 이념성향 분포의 세대별 비교 577
[그림 13-14] 사람에 대한 신뢰의 반경범위의 세대별 비교 578
[그림 13-15] 제도에 대한 신뢰의 세대별 비교: 중앙정부와 대기업 579
[그림 13-16] 직업선택 기준의 세대별 비교 580
[그림 13-17] 현실 종류별 위험에 대한 인식의 세대별 비교 581
[그림 13-18] 시대별 사회적 관계의 모형 581
[그림 13-19] 노인 부양 분담 비율의 국제 비교 583
[그림 13-20] 부모 부양에 대한 의견의 세대별 비교 584
[그림 13-21] 부모가 아프거나 돌봄이 필요할 경우 자녀 선택의 세대별 비교 585
[그림 13-22] 노인과 청년 세대의 이해상충에 대한 견해의 세대별 비교 586
[그림 13-23] 직장, 사회와 가족에서의 세대갈등 심각성 인식의 세대별 비교 587
[그림 13-24] 가족내 세대갈등 원인에 대한 인식의 세대별 비교 588
[그림 13-25] 세대별 청년기(23~38세) 가족 형성 비율의 한, 미 비교 589
[그림 14-1] OECD Better Life Index 중 Work-Life Balance 국가 비교 612
[그림 16-1] 대중 배포용 소책자 688
[부그림 2-1] 소규모다기능거택개호의 이용자 746
[부그림 2-2] 다직종 합동연수회와 시민 계몽 활동 747
[부그림 3-1] 2019.7.~2021.10. 젠더갈등을 포함한 뉴스 건수 변화 및 뉴스 속 연관어 분석 결과 748
[부그림 4-1] 2019년 청년(15~35세) 여자(323명) 정책 필요성 유형화 결과 749
[부그림 4-2] 2019년 청년(15~35세) 남자(318명) 정책 필요성 유형화 결과 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