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2
EXECUTIVE SUMMARY 21
01. 서론 3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5
1. 연구 배경 35
2. 연구 목적 39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론 40
02. 공급사슬 디지털화 문헌검토 43
제1절 공급사슬 및 디지털 공급사슬 정의와 배경 43
제2절 공급사슬 디지털화 사례 55
제3절 공급사슬과 디지털 공급사슬 평가 69
제4절 시사점 75
03. 컨테이너 반출입 현황 및 디지털화 방안 77
제1절 반출입 프로세스 현황 77
1. 컨테이너 반출 프로세스 78
2. 컨테이너 반입 프로세스 81
3. 부산항 컨테이너 반출입 세부 현황 82
제2절 애로사항 및 디지털화 대안 85
1. 반출입에서의 애로사항 85
2. 디지털화 대안 99
04. 컨테이너 반출 프로세스 디지털화 분석 103
제1절 모의실험을 위한 반출 프로세스 재정의 104
제2절 모의실험 108
제3절 공급사슬 디지털화 효과분석 119
05. 결론 132
제1절 요약 132
1. 3차년도 연구 132
2. 1차년도, 2차년도 연구 134
제2절 디지털 공급사슬 물류정보통합 구축전략 및 정책 140
1. 수출입 컨테이너 공급사슬 디지털화 구축 단계 141
2. 정책제언 152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161
참고문헌 163
판권기 175
〈표 1-1〉 로테르담항 디지털화 정량적 효과 37
〈표 2-1〉 핵심 성과지표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 기술 목록 조사 양식 및 예시(창고: 부두에서의 트럭 시간 감소) 46
〈표 2-2〉 교통ㆍ물류에서의 기술과 성과지표 간 관계 47
〈표 2-3〉 공급사슬의 기회 및 위협 요인 48
〈표 2-4〉 전통적 공급사슬과 디지털 공급사슬의 차이 51
〈표 2-5〉 선행연구별 디지털 공급사슬 정의 요약 54
〈표 2-6〉 공급사슬 선정 수리모형에서의 인덱스, 변수 및 파라미터 정의 72
〈표 2-7〉 선행연구 대비 본 연구의 차별성 76
〈표 3-1〉 컨테이너 반출입 애로사항 및 원인 요약 98
〈표 3-2〉 반출 디지털화 대안 정리 100
〈표 4-1〉 분석을 위한 반출 프로세스 재정의 및 단계별 핵심사항 요약 106
〈표 4-2〉 모의실험 파라미터 요약 110
〈표 4-3〉 야드크레인 제원 114
〈표 4-4〉 삼각분포 적용 확률 117
〈표 4-5〉 20ft 컨테이너 제원 117
〈표 4-6〉 모의실험 시나리오 정리 121
〈표 4-7〉 실험결과 요약(디지털화 적용 전) 123
〈표 4-8〉 실험결과 요약(디지털화 적용 후) 124
〈표 4-9〉 디지털화 적용 전과 후 비교(종합) 125
〈표 4-10〉 디지털화 적용 전과 후 비교(평가지표 값 차이 및 감소율) 126
〈표 4-11〉 트럭 도착 분포에 따른 비교 127
〈표 4-12〉 본선-반출입 작업비율에 따른 비교 128
〈표 4-13〉 평균 단적 차이에 따른 비교 129
〈표 5-1〉 선사 주요 서비스 145
〈표 5-2〉 국내 공급망 구조적 문제점 146
〈표 5-3〉 해상-항만-내륙물류 디지털화 관련 정책과 연계 내용 156
〈그림 1-1〉 디지털 전환 기술 시장 전망(2020년 → 2025년) 36
〈그림 2-1〉 전통적인 공급사슬 모형 49
〈그림 2-2〉 통합된 공급사슬 생태계 50
〈그림 2-3〉 디지털 기술 및 Supply Chain 4.0 52
〈그림 2-4〉 공급사슬 회복탄력성(SCRES) 프레임워크(Framework) 53
〈그림 2-5〉 스마트 포트 서비스 시스템 개요 55
〈그림 2-6〉 디지털 기술(블록체인) 적용 시, 항만물류 수입 정보 흐름도 56
〈그림 2-7〉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및 공급사슬 4.0 실행 57
〈그림 2-8〉 일반적인 접근(환경, 참고모형, 활용 측면) 58
〈그림 2-9〉 금속 중소기업을 위한 의사결정 모형 59
〈그림 2-10〉 가치 고리 61
〈그림 2-11〉 디지털 기술 적용 개념도(제조업) 64
〈그림 2-12〉 전통적 소매 공급사슬과 디지털 소매 공급사슬 구조 비교 65
〈그림 2-13〉 디지털 공급사슬 개념도(소매업) 66
〈그림 2-14〉 디지털 공급사슬 개념도(식품업) 67
〈그림 2-15〉 디지털 공급사슬 기대효과 68
〈그림 2-16〉 선행연구에서의 공급사슬 평가 방법 69
〈그림 2-17〉 공급사슬 평가 관련 선행연구에서의 데이터 출처 73
〈그림 3-1〉 운송사의 배차업무와 운송시간 79
〈그림 3-2〉 근거리 운송의 배차업무 80
〈그림 3-3〉 부산항 10개 터미널 기준 2020년 7월 운송 거리에 따른 반출입 현황 84
〈그림 3-4〉 본선 작업이 발생하는 장치장 블록의 반출 불가 처리 87
〈그림 3-5〉 터미널 반출입 작업 프로세스, 작업시간 및 작업시간 결정요소 90
〈그림 3-6〉 반출입 작업 지연회피를 위한 작업조정 91
〈그림 3-7〉 야드 블록별 예상 작업 수량 92
〈그림 3-8〉 블록, 시간대별 턴어라운드 타임 94
〈그림 3-9〉 블록, 시간대별 턴어라운드 타임의 불균형 95
〈그림 3-10〉 혼잡도 높은 블록의 반출입 처리물량 96
〈그림 3-11〉 혼잡 블록과 인접 블록의 턴어라운드 타임과 동시간대 도착 컨테이너 수 97
〈그림 3-12〉 반출 프로세스 디지털화 대안 개념도 101
〈그림 4-1〉 야드 블록 구성 107
〈그림 4-2〉 ExtendSim 프로세스 도식화 예시 109
〈그림 4-3〉 웜업 기간 112
〈그림 4-4〉 야드크레인 세부 명칭 115
〈그림 4-5〉 실수 삼각분포와 단적(자연수) 삼각분포 116
〈그림 4-6〉 선광인천컨테이너 터미널 평면 배치도 118
〈그림 4-7〉 모의실험 시나리오 조합 120
〈그림 4-8〉 ExtendSim 모델 스크린 샷 122
〈그림 5-1〉 항만 컨테이너 공급사슬 정보지도(1차년도, 수입 부문) 135
〈그림 5-2〉 항만 컨테이너 공급사슬 정보지도(2차년도, 수입 부문) 136
〈그림 5-3〉 예약 요청 등록 업무절차 138
〈그림 5-4〉 컨테이너 수출 업무에서의 화주(또는 포워더) 중심 데이터ㆍ정보 이동 139
〈그림 5-5〉 수출입 컨테이너 공급사슬 디지털화 구축 단계 143
〈그림 5-6〉 장치ㆍ보관 서비스별 관련 주체 및 화물취급ㆍ운송기능 정보 정의 144
〈그림 5-7〉 터미널운영사 수출지도 및 공급사슬 수출 통합지도 146
〈그림 5-8〉 터미널운영사 수입 업무 순서도(상) 및 정보전달방식(하) 147
〈그림 5-9〉 트럭 반출입 대기 발생 원인(좌) 및 디지털화 방안(우) 150
〈그림 5-10〉 모의실험 모형 152
〈그림 5-11〉 디지털공급사슬 통합정보센터의 거버넌스 체계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