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9
Ⅰ.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가. 연구 배경 12
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4
2. 연구 방법 및 구성 16
가. 연구 방법 16
나. 보고서 구성 20
Ⅱ.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추진 경과 및 평가 22
1.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추진 경과 23
가.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구상 23
나.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추진 성과 27
2.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특징 및 한계 30
가. 비전통 안보 분야의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특징 30
나.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한계 34
Ⅲ. 동북아 주요 6개국의 코로나19 대응 및 협력 37
1. 한국 38
가. 한국의 방역 현황 및 특징 38
나. 한국의 방역ㆍ보건 협력 40
2. 중국 43
가. 중국의 방역 현황 및 특징 43
나. 중국의 방역ㆍ보건 협력 46
3. 미국 51
가. 미국의 방역 현황 및 특징 51
나. 미국의 방역ㆍ보건 협력 56
4. 일본 58
가. 일본의 방역 현황 및 특징 58
나. 일본의 방역ㆍ보건 협력 61
5. 러시아 63
가. 러시아의 방역 현황 및 특징 63
나. 러시아의 방역ㆍ보건 협력 66
6. 몽골 68
가. 몽골의 방역 현황 및 특징 68
나. 몽골의 방역ㆍ보건 협력 73
7. 소결 77
Ⅳ. 한중 방역ㆍ보건 협력 및 특징 80
1. 한중 방역ㆍ보건 협력 현황 81
2. 한중 방역ㆍ보건 협력 제약요인 86
3. 한중 방역ㆍ보건 협력 의미 88
Ⅴ.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활성화 방안 95
1. 한중 보건 협력 개선과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강화 96
2. 북한의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참여 및 협력 98
3.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활성화 112
4. 소결 116
참고문헌 119
최근 발간자료 안내 124
판권기 3
〈표 Ⅱ-1〉 동북아 역내 코로나19 관련 통계(2021년 12월 3일 기준) 23
〈표 Ⅱ-2〉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관련 참가국 회의 26
〈표 Ⅱ-3〉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관련 국내 각종 회의 27
〈표 Ⅲ-1〉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종류 및 국내 확진자 수 40
〈표 Ⅲ-2〉 미국 보건위기 대처 현황 53
〈표 Ⅲ-3〉 일본의 백신 직접 공여 실적(2021년 11월 1일 기준) 62
〈표 Ⅲ-4〉 일본의 코백스 퍼실리티 백신 공여 실적(2021년 11월 1일 기준) 63
〈표 Ⅲ-5〉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참여국 간 비교평가(상/중/하) 79
〈표 Ⅳ-1〉 한중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요 협력 현황 81
〈표 Ⅳ-2〉 해외 기부물품 접수 및 배분 현황(2020년 6월 5일 기준) 82
〈표 Ⅳ-3〉 중국의 대한국 기부물품 접수 및 배분 현황(2020년 6월 5일 기준) 83
〈표 Ⅳ-4〉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상위 단어 빈도표 91
〈표 Ⅴ-1〉 코백스의 북한 배정 백신 현황 106
〈표 Ⅴ-2〉 코로나19 관련 중국과 북한의 관계 상위 단어 빈도표 108
〈그림 Ⅱ-1〉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체'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33
〈그림 Ⅲ-1〉 K-방역 3T (Test-Trace-Treat) 국제표준화 분야(18종) 39
〈그림 Ⅲ-2〉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45
〈그림 Ⅲ-3〉 전 세계 중국 백신 분포도(2021년 7월 28일 기준) 49
〈그림 Ⅲ-4〉 미국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55
〈그림 Ⅲ-5〉 일본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60
〈그림 Ⅲ-6〉 러시아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65
〈그림 Ⅲ-7〉 몽골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72
〈그림 Ⅳ-1〉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단일 단어 비교분석 90
〈그림 Ⅳ-2〉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물적 교류 상호 단어 비교분석 94
〈그림 Ⅴ-1〉 북한의 코로나19 관련 주요 키워드 네트워크 102
〈그림 Ⅴ-2〉 코로나19 관련 중국과 북한의 관계 단일 단어 비교분석 107
〈그림 Ⅴ-3〉 '동북아 방역ㆍ보건 협력' 활성화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