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4

Ⅰ. 서론 1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가. 연구의 필요성 19

나. 연구의 목적 24

2. 연구 내용 25

3. 연구 방법 27

4. 연구의 범위와 방향 30

Ⅱ. 이론적 기초 탐색 33

1. 선행연구 분석 34

가.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필요성과 목적(기대 효과) 34

나.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유형과 범위 38

다.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실태와 문제 39

라.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정책 과제 43

마. 시사점 46

2. 대학체제의 구조와 현황 49

가. 대학체제의 구조 49

나. 대학체제의 현황 52

3. 주요 용어와 공유협력 유형안 59

가. 주요 용어 59

나. 유형안 63

Ⅲ. 대학 간 공유ㆍ협력 정책 및 법ㆍ규제 분석 68

1. 대학 간 공유ㆍ협력 주요 정책 분석 69

가. 분석 개요 69

나. 주요 정책 분석 70

2. 대학 간 공유ㆍ협력 법ㆍ규제 분석 89

가. 분석의 방향과 대상 89

나. 학사 및 교육과정 91

다. 인적ㆍ물적 자원 공유 97

라. 의사결정 101

마. 재정지원ㆍ평가ㆍ통계 107

바. 가상대학 문제 111

사. 통합형 공유ㆍ협력 114

3. 소결 및 시사점 117

가. 공유ㆍ협력 정책의 쟁점과 시사점 117

나. 공유ㆍ협력 관련 법적 제도화의 방향과 시사점 125

Ⅳ. 국내외 대학 간 공유ㆍ협력 사례 분석 133

1. 국내 사례 분석 134

가. 사례 분석 개요 134

나. 오송 바이오텍 공유대학 사례 136

다. USG공유대학 사례 158

라. 경상대학교-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통합 사례 171

2. 국외 사례 분석 184

가. 프랑스의 대학 군집화 정책 사례 184

나. 일본의 대학연합ㆍ통합: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199

3. 소결 및 시사점 213

가. 국내 사례 213

나. 국외 사례 217

Ⅴ.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문제 인식 및 요구 분석 222

1. 분석 개요 223

가. 조사 대상 223

나. 조사 내용 및 분석 방법 226

2.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228

가. 빈도 분석(word frequency) 결과 228

나. 역빈도(tf-idf) 분석 결과 231

다.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분석 결과 234

라. 엔그램(n-gram) 분석 237

마. 네트워크 분석 241

바.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 분석 243

3.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문제 인식 및 요구 분석 결과 245

가. 목적 및 목표 설정 245

나. 의사결정 구조 및 역할ㆍ책임 배분 259

다. 재정 및 자원 확보와 운용 267

라. 법ㆍ제도 및 정책 271

4. 소결 273

가. 목적 및 목표 설정 275

나. 의사결정구조 및 역할ㆍ책임 설정 278

다. 재정 및 자원 확보와 운용 282

라. 법ㆍ제도 및 정책 283

Ⅵ. 결론 및 제언 284

1. 대학 간 공유ㆍ협력 체제 구축 방안 285

가. 이질적 이해관계 집단들의 원활한 공유ㆍ협력 거버넌스 구축 286

나. 공유ㆍ협력 촉진 및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재정ㆍ자원 지원 291

다. 실효성 제고를 위한 성과 및 질 관리 기제 도입 297

라. 대학의 자율성과 특성에 기초한 공유ㆍ협력 설계 302

마. 공유ㆍ협력 촉진 및 규제 완화를 위한 법ㆍ제도 정비 307

2. 종합 및 제언 318

참고문헌 322

Abstract 334

[부록] '대학 간 공유ㆍ협력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공유ㆍ협력체 담당자 및 관계자 FGI 339

판권기 342

〈표 Ⅰ-1〉 연구 내용별 연구 방법 29

〈표 Ⅱ-1〉 기타 선행연구에서의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목적(필요성, 기대효과) 37

〈표 Ⅱ-2〉 기타 선행연구에서의 대학 간 공유ㆍ협력의 유형과 범위 39

〈표 Ⅱ-3〉 OECD 회원국에서 활용한 대학 간 공유ㆍ협력 촉진을 위한 정책 방안 사례 45

〈표 Ⅱ-4〉 「고등교육법」외의 법률에 근거하여 설립된 고등교육기관 50

〈표 Ⅱ-5〉 설립별 학교 종류별 학교 수 52

〈표 Ⅱ-6〉 2021년도 대학 충원율 현황 55

〈표 Ⅱ-7〉 선행연구에서의 대학 간 교류협력의 유형 64

〈표 Ⅱ-8〉 공유 수준(밀도)에 따른 유형의 특징 66

〈표 Ⅱ-9〉 대학 네트워크, 연합대학, 통합 모델 비교 67

〈표 Ⅲ-1〉 정책 분석 대상 및 내용 70

〈표 Ⅲ-2〉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대상 및 선정 결과 72

〈표 Ⅲ-3〉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범위 73

〈표 Ⅲ-4〉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예산 및 교부ㆍ관리 78

〈표 Ⅲ-5〉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대상 및 선정 결과 81

〈표 Ⅲ-6〉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범위 82

〈표 Ⅲ-7〉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예산 및 교부관리 85

〈표 Ⅲ-8〉 연합형 대학 간 공유협력 정책 비교 88

〈표 Ⅲ-9〉 가칭 대학 간 공유ㆍ협력 규정의 내용(안) 128

〈표 Ⅳ-1〉 사례 작성의 분석틀 135

〈표 Ⅳ-2〉 충북형 볼로냐 프로세스 수립을 위한 단계별 추진 내용 137

〈표 Ⅳ-3〉 오송 바이오텍 설립을 위한 단계별 추진 내용 138

〈표 Ⅳ-4〉 과정별 이수학점 구성 144

〈표 Ⅳ-5〉 참여대학별 다중전공 이수에 따른 요구학점 146

〈표 Ⅳ-6〉 충북바이오헬스산업 혁신센터 내 대학교육혁신본부의 역할 154

〈표 Ⅳ-7〉 공유대학 운영을 위해 유예되어야 할「고등교육법」및 시행령 162

〈표 Ⅳ-8〉 USG공유대학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내용 추가 방안 165

〈표 Ⅳ-9〉 2019~2020년 연합대학 지원 사업 예산 180

〈표 Ⅳ-10〉 2021~2022년 대학구조개혁 지원 필요 예산 182

〈표 Ⅳ-11〉 대학 군집화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187

〈표 Ⅳ-12〉 군집화 기관 유형별 목록 189

〈표 Ⅳ-13〉 경쟁적 보조금에 의한 연계 추진 203

〈표 Ⅳ-14〉 합병을 통한 장점 212

〈표 Ⅳ-15〉 국내 대학 간 공유협력 사례의 주요 내용 214

〈표 Ⅳ-16〉 프랑스 대학 군집화 정책의 주요 특징 218

〈표 V-1〉 요구 분석 대상자 섭외를 위한 대학 간 공유협력 대표 사례 224

〈표 V-2〉 면담(FGI) 대상자 구성(안) 225

〈표 V-3〉 요구 분석을 위한 면담(FGI) 내용(안) 226

〈표 V-4〉 대학 간 공유ㆍ협력 텍스트 분석 상위 100개 단어빈도 분석 결과 229

〈표 V-5〉 대학 간 공유ㆍ협력 텍스트 분석 상위 100개 TF-IDF 분석 결과 232

〈표 V-6〉 대학 간 공유ㆍ협력 텍스트 분석 상위 100개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 235

〈표 V-7〉 대학 간 공유ㆍ협력 텍스트 분석 상위 100개 n-gram 분석 결과 238

〈표 V-8〉 CONCOR 분석 결과 243

〈표 V-9〉 FGI에 나타난 공유협력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과 요구 내용 분석 결과 274

〈표 Ⅵ-1〉 대학 간 공유ㆍ협력 체제 구축 방안(전략 및 과제) 285

〈표 Ⅵ-2〉 일반재정지원으로서 대학의 공유ㆍ협력 지원사업 개요(안) 292

[그림 Ⅰ-1] 연구의 방향 및 체계 32

[그림 Ⅱ-1] CAM(collaboration-alliance-merger) 스펙트럼에 따른 사례 연구의 유형 42

[그림 Ⅱ-2] 우리나라 고등교육 학제 51

[그림 Ⅱ-3] OECD 기관유형별 고등교육 학생 비율(2017) 53

[그림 Ⅱ-4] 지역별 대학과 전문대학 분포 현황 54

[그림 Ⅱ-5]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인원 추계 현황 54

[그림 Ⅱ-6] 권역별 대학 충원율 현황 56

[그림 Ⅱ-7] 대학의 공유성장 필요성 56

[그림 Ⅱ-8] 타 대학과의 공유(연계ㆍ협력) 여부 및 활성화 정도 57

[그림 Ⅱ-9] 학점교류 참여 대학 수 추이 58

[그림 Ⅱ-10] 학점교류 참여 학생 수 추이 58

[그림 Ⅱ-11] 공유 밀도 수준과 참여 대학 구성 59

[그림 Ⅱ-12] 단계별 대학체제개편(안) 65

[그림 Ⅱ-13] 공유(성장)형 대학체제 유형안 66

[그림 Ⅲ-1]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목표 71

[그림 Ⅲ-2]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플랫폼 운영 체계 76

[그림 Ⅲ-3]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플랫폼 운영 흐름 77

[그림 Ⅲ-4]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목표 80

[그림 Ⅲ-5]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 컨소시엄 간 공유 플랫폼 구축운영(안) 84

[그림 Ⅳ-1]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 지역혁신 플랫폼 체계 136

[그림 Ⅳ-2] 오송 바이오텍 참여 조직 137

[그림 Ⅳ-3] 충북 바이오헬스 공동교육과정 내 정밀의료ㆍ의료기기 분야 운영체계(안) 139

[그림 Ⅳ-4] 공유대학 참여 학생 구성 142

[그림 Ⅳ-5] 공유대학의 특성화 및 수준별 교육과정 143

[그림 Ⅳ-6] Bio-PRIDE 온라인 공동 학습관리 시스템(LMS) 구성도 144

[그림 Ⅳ-7] 경상남도지역혁신플랫폼의 구조 159

[그림 Ⅳ-8] USG공유대학의 6개 융합전공 159

[그림 Ⅳ-9] USG공유대학 운영 체계 161

[그림 Ⅳ-10] USG공유대학 운영을 위한 총괄대학의 교육혁신처 조직도 167

[그림 Ⅳ-11] USG공유대학의 운영 체계도 167

[그림 Ⅳ-12] USG공유대학의 강의 생성 도구 흐름도 169

[그림 Ⅳ-13] 통합 국립대학 비전 및 목표 174

[그림 Ⅳ-14] 대학통합 준비 단계 179

[그림 Ⅳ-15] 18세 인구 추이 200

[그림 Ⅳ-16] 경상수지 적자 사립대학 비율 201

[그림 Ⅳ-17] 입학정원별 정원 충족률 202

[그림 Ⅳ-18] 플랫폼 형성 205

[그림 Ⅳ-19] 사립대학의 학부 양도 제도 207

[그림 Ⅳ-20] 대학 연계 추진법인 제도 개요 208

[그림 Ⅳ-21] 학교법인 합병 현황 210

[그림 Ⅴ-1] 단어빈도 상위 100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231

[그림 Ⅴ-2] 단어의 중요도 상위 100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234

[그림 Ⅴ-3] 단어의 연결 중심성 상위 100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237

[그림 Ⅴ-4] 연쇄 출현 단어 상위 25개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240

[그림 Ⅴ-5] UCINET NetDraw 시각화 242

[그림 Ⅴ-6] CONCOR 분석 이미지 결과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