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3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2

가. 연구의 필요성 32

나. 연구의 목적 37

2. 연구 내용 39

가. 문해 관련 국제 동향 및 쟁점 분석 39

나. 개발도상국의 문해 현황 및 쟁점 분석 39

다. 문해 관련 한국의 교육개발협력사업 분석 40

라. 문해 관련 해외 교육개발협력사업 분석 41

마. 문해교육 지원을 위한 개발협력 실천 전략 도출 41

3. 연구 방법 42

가. 문헌 분석 42

나. 통계자료 수집 및 분석 42

다. 사업 사례 분석 43

라. 면담조사 분석 43

마. 기타 연구 활동 44

Ⅱ. 문해의 동향 및 쟁점 47

1. 문해(literacy)의 관점과 개념 48

가. 문해를 바라보는 관점 48

나. 문해의 개념 49

2. 문해의 동향 57

가. 문해교육 국제 동향 57

나. 유네스코 청소년 및 성인 문해 전략(2020~2025) 64

다. 디지털 문해 관련 최근 동향 68

3. 문해의 쟁점 70

가. 문해 격차 71

나. 문해 측정 방법의 문제 77

다. 낮은 여성의 문해율 83

4. 문해교육의 방향 89

가. 소결 89

나. 문해교육의 방향 90

Ⅲ. 개발도상국의 문해 현황과 과제 92

1. 문해수준에 따른 개발도상국 유형화 분석 93

가. 지표 선별과 정의 93

나. 문해 수준에 따른 국가유형 분석 96

다. 소결 및 시사점 111

2. 주요 중점협력국의 문해 현황 및 문해교육 사례 분석 113

가. 세네갈 115

나. 에티오피아 126

다. 방글라데시(Bangladesh) 140

라. 캄보디아 158

마. 파키스탄 178

바. 소결 및 시사점 188

Ⅳ. 한국의 문해교육 관련 개발협력사업 191

1. 문해교육 관련 ODA 사업 통계 분석 192

가. 기본 현황(2015-2020) 192

나. 지역 및 수원국 194

다. 사업 실시 기관 197

라. 소결 및 시사점 199

2. 한국의 문해교육 개발협력사업 분석 200

가. 면담 조사 개요 200

나. 형태소 분석 202

다. 한국의 문해교육 개발협력사업 현황과 과제 212

라. 소결 및 시사점 236

Ⅴ. 해외 문해교육 관련 개발협력사업 238

1. 국제기구의 문해교육사업 현황과 쟁점 239

가. 유네스코 239

나. 유니세프 243

다. 소결 및 시사점 247

2. 지역학습센터(CLC) 사업 성과와 과제 248

가. 지역학습센터와 문해교육 249

나. 유네스코 방콕 251

다. 유네스코 254

라. DVV International 257

마. 소결 및 시사점 260

3. 선진공여국 및 국제 NGO의 문해교육사업 현황과 쟁점 262

가. 선진공여국의 문해교육 추진 배경과 변화 262

나. 선진공여국의 문해교육 지원사업 특성 265

다. 국제 NGO의 문해교육 개발협력 특징 276

라. 소결 및 시사점 281

Ⅵ. 문해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283

1. 연구 결과 284

가. 연구 요약 284

나. 문해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도출 288

2. 문해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290

가. 비전 290

나. 전략목표 및 추진과제 291

다. 고려 사항 302

참고문헌 308

Abstract 328

[부록 1] 기능문해력ㆍ기능수리문해력 수준에 따른 협력국가 유형화 분석 344

[부록 2] 문해교육 관련 ODA 사업 리스트(2015~2020) 358

[부록 3] 면담조사 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 면담조사 질문지 361

[부록 4]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육협력개발 연구(Ⅴ)」 국제포럼 프로그램(안) 367

판권기 368

〈표 Ⅰ-1〉 1~4차년도 연구 주요 성과 35

〈표 Ⅰ-2〉 SDG 문해교육 목표(SDG 4.6) 및 관련 지표 39

〈표 Ⅰ-3〉 전문가 협의회 논의 사항 44

〈표 Ⅰ-4〉 '주요 중점협력국의 문해 현황 및 문해교육 정책' 원고 목차(안) 예시(방글라데시) 44

〈표 Ⅰ-5〉 연구 세미나 개요 45

〈표 Ⅱ-1〉 문해의 개념 50

〈표 Ⅱ-2〉 수리문해의 개념 52

〈표 Ⅱ-3〉 리터러시 종류와 개념 53

〈표 Ⅱ-4〉 디지털 문해의 정의 54

〈표 Ⅱ-5〉 디지털 문해의 영역 55

〈표 Ⅱ-6〉 문해의 개념 57

〈표 Ⅱ-7〉 문해교육 국제 동향 58

〈표 Ⅱ-8〉 유네스코 청소년 및 성인 문해 전략(2020~2025) 65

〈표 Ⅱ-9〉 국제협력기구의 디지털 문해 활동 69

〈표 Ⅱ-10〉 청년 및 성인의 문해율 72

〈표 Ⅱ-11〉 활용 빈도에 따른 디지털 문해 77

〈표 Ⅱ-12〉 문해력 측정 방식의 발전 개요 79

〈표 Ⅱ-13〉 디지털 문해 관련 글로벌 지표 82

〈표 Ⅲ-1〉 분석에 사용된 문해 관련 국가지표의 정의 94

〈표 Ⅲ-2〉 문해력 유형화 지표 기술통계량 98

〈표 Ⅲ-3〉 기초문해력: K-Means 군집분석에 따른 국가유형 분류 100

〈표 Ⅲ-4〉 국가유형별 특성: 법이 보장하는 무상교육/의무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 연수 101

〈표 Ⅲ-5〉 기초문해력: 국가유형별 특성 102

〈표 Ⅲ-6〉 디지털문해력 유형화 지표 기술통계량 104

〈표 Ⅲ-7〉 디지털문해력: K-Means 군집분석에 따른 국가유형 분류 105

〈표 Ⅲ-8〉 국가유형별 특성: 성별에 따른 디지털문해력 및 이수율 106

〈표 Ⅲ-9〉 국가유형별 특성: 기술 유형별 ICT 기능 보유 비율 107

〈표 Ⅲ-10〉 국가유형별 특성: 성별에 따른 ICT 기술 유형별 기능 보유 비율 108

〈표 Ⅲ-11〉 국가유형별 특성: 기초문해율 도달 비율 109

〈표 Ⅲ-12〉 국가유형별 특성: 법이 보장하는 무상교육/의무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 연수 110

〈표 Ⅲ-13〉 디지털 문해력: 국가유형별 특성 111

〈표 Ⅲ-14〉 제 3기 중점협력국가 문해율 현황 114

〈표 Ⅲ-15〉 세네갈 국민의 거주지역에 따른 연령대별 문해 수준 115

〈표 Ⅲ-16〉 세네갈 비문해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연계형 국가교육프로그램 개요 121

〈표 Ⅲ-17〉 에티오피아의 전반적인 문해율 변화 127

〈표 Ⅲ-18〉 2010/11~2019/20 성인 교육 등록률 양상 131

〈표 Ⅲ-19〉 2019/2020년 레벨과 성별로 보는 성인 등록률 및 성별 졸업률 132

〈표 Ⅲ-20〉 2019/20년 성별 IFAE 강사 수 132

〈표 Ⅲ-21〉 에티오피아 전자책을 활용한 가족문해 프로그램 개요 135

〈표 Ⅲ-22〉 방글라데시의 기능문해력 조사에서 활용하는 4가지 단계의 기능문해 수준 145

〈표 Ⅲ-23〉 방글라데시 기능문해 조사를 위한 영역 및 내용 145

〈표 Ⅲ-24〉 영역별 문해수준별 조사결과(11~45세 사이) 146

〈표 Ⅲ-25〉 방글라데시 지역별, 성별 기능문해 조사결과(11~45세 사이) 147

〈표 Ⅲ-26〉 방글라데시 비형식 교육 유형별 주요 내용 152

〈표 Ⅲ-27〉 방글라데시 가노켄드라(지역학습센터) 프로그램 개요 155

〈표 Ⅲ-28〉 언어, 성별 및 거주지별 7세 이상 인구의 문해율, 캄보디아, 2008~2019 159

〈표 Ⅲ-29〉 도서관과 도서관 이용자 통계 163

〈표 Ⅲ-30〉 지역학습센터, 학급, 직업기술교육 강사와 교육생 통계 165

〈표 Ⅲ-31〉 하위 부문별 자금 조달 171

〈표 Ⅲ-32〉 캄보디아 독서공간: 지역 언어출판 프로그램 개요 173

〈표 Ⅲ-33〉 15세 이상 문해율 (파키스탄과 주) 180

〈표 Ⅲ-34〉 문해율 (농촌과 도시) 180

〈표 Ⅲ-35〉 파키스탄 아가히 성인 문해 프로그램 개요 185

〈표 Ⅲ-36〉 5개 중점협력국가의 문해교육 정책 현황 및 사례 189

〈표 Ⅳ-1〉 취약계층 대상 교육 분야 ODA 사업 현황: 지역 195

〈표 Ⅳ-2〉 문해교육 ODA 사업 현황: 사업 실시 기관 198

〈표 Ⅳ-3〉 면담 조사 개요 201

〈표 Ⅳ-4〉 전체 면담: 상위 30위 단어 등장 빈도 204

〈표 Ⅳ-5〉 개도국 문해교육사업 현황 관련 상위 30위 단어 등장 빈도 206

〈표 Ⅳ-6〉 개도국 문해교육사업의 특성 관련 상위 30위 단어 등장 빈도 209

〈표 Ⅳ-7〉 개도국 문해력 재고 방안 문항 관련 상위 30위 단어 등장 빈도 212

〈표 Ⅴ-1〉 유네스코 국제 문해상 개요 240

〈표 Ⅴ-2〉 2019년 기준 주요 DAC 공여국의 양자무상협력 분야별 비중 264

〈표 Ⅴ-3〉 주요 DAC 공여국의 문해교육 개발협력 비교 274

〈표 Ⅵ-1〉 연구 요약: 장별 분석 결과 및 시사점 285

〈표 Ⅵ-2〉 전략목표별 추진과제 개요 301

〈표 Ⅵ-3〉 중점협력국의 문해력 수준에 따른 지원 유형 307

[그림 Ⅰ-1] 6개년 연구 개요(2017~2022) 34

[그림 Ⅰ-2] 5차년도 연구의 협력기관 개요 38

[그림 Ⅰ-3] 5차년도 연구 추진 계획 46

[그림 Ⅱ-1] 지역별 청년 및 성인 여성의 비문해율 변화(1990~2018) 73

[그림 Ⅱ-2] 성인의 출생과 언어에 따른 문해 및 수리문해 숙련도(PIAAC 2011~2014) 73

[그림 Ⅱ-3]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의 ICT 활용 기술 75

[그림 Ⅱ-4] 소득에 따른 국가 간 ICT 활용 기술 76

[그림 Ⅱ-5] 가나와 케냐의 성인 문해 지표에 따른 문해율(2012~2014) 80

[그림 Ⅱ-6] 글로벌 문해율 성격차[1990, 2000, 2010, 2015(예측치)] 84

[그림 Ⅱ-7] 지역별 남녀 문해율(2016) 85

[그림 Ⅱ-8] ICT 활용 기술의 성 격차 87

[그림 Ⅲ-1] 교수법적 시퀀스 및 제도적 진단에 기반을 둔 수업 진행 119

[그림 Ⅲ-2] 방글라데시 청소년 및 성인 문해율 추이 (1981~2019) 141

[그림 Ⅲ-3] 방글라데시 청소년(15~24세) 문해율 추이(1981~2019) 142

[그림 Ⅲ-4] 방글라데시 성인(15세 이상) 문해율 추이(1981~2019) 143

[그림 Ⅲ-5] 방글라데시 인터넷 및 모바일 사용자 추이(2000~2018) 148

[그림 Ⅲ-6] 디지털 기술: 주요 지표의 빈도 분포 149

[그림 Ⅲ-7] ICT 역량 보유 청소년 비율 (15세~24세 여성) 150

[그림 Ⅲ-8]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 비교 162

[그림 Ⅲ-9] 2015 국가교육과정 체계의 핵심 역량 167

[그림 Ⅲ-10] 파키스탄 문해율(2010~2017) 179

[그림 Ⅲ-11] 지역별 청소년 문해율(2010~2017) 180

[그림 Ⅳ-1] 연도별 문해교육 사업 빈도 및 순 지출액(2015~2020) 193

[그림 Ⅳ-2] 전체 교육 분야 ODA 사업 순 지출액 대비 문해교육 사업 비율(2015~2020) 194

[그림 Ⅳ-3] 아프리카 수원국별 문해교육 ODA 사업 순 지출액(2015~2020) 196

[그림 Ⅳ-4] 아시아 및 아메리카 수원국별 문해교육 ODA 사업 순 지출액(2015~2020) 197

[그림 Ⅳ-5] 전체 면담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상위 연결 30개) 205

[그림 Ⅳ-6] 개도국 문해교육 사업 현황 관련 워드클라우드(상위 연결 100개) 206

[그림 Ⅳ-7] 개도국 문해교육 사업 현황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상위 연결 30개) 207

[그림 Ⅳ-8] 개도국 문해교육 사업의 특성 관련 워드클라우드(상위 연결 100개) 208

[그림 Ⅳ-9] 개도국 문해교육사업의 특성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상위 연결 30개) 210

[그림 Ⅳ-10] 개도국 문해력 재고 방안 관련 워드클라우드(상위 연결 100개) 210

[그림 Ⅳ-11] 개도국 문해력 재고 방안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상위 연결 30개) 211

[그림 Ⅴ-1] '교육 재구상하기(Reimagine Education)' 프로젝트 성과지표 247

[그림 Ⅴ-2]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청소년, 성인, 고령자 문해율(2006~2016년) 251

[그림 Ⅴ-3] DVV International의 프로젝트 예산의 출처 및 지역별 편성 비율 258

[그림 Ⅵ-1] 문해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도출 289

[그림 Ⅵ-2] 개발도상국 문해력 증진을 위한 교육개발협력 실천 전략 290

〈부록 표-1〉 기능문해력 유형화 지표 기술통계량 344

〈부록 표-2〉 기능문해력: K-Means 군집분석에 따른 국가유형 분류 345

〈부록 표-3〉 국가유형별 특성: 성별에 따른 기능문해력 및 교육수준별 이수율 346

〈부록 표-4〉 국가유형별 특성: 기초문해력 및 기능수리문해력 348

〈부록 표-5〉 국가유형별 특성: 법이 보장하는 무상교육/의무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 연수 349

〈부록 표-6〉 국가유형별 특성: 교육수준별 학생 1인당 공교육비 349

〈부록 표-7〉 기능문해력: 국가유형별 특성 351

〈부록 표-8〉 기능수리문해력 유형화 지표 기술통계량 352

〈부록 표-9〉 기능수리문해력: K-Medians 군집분석에 따른 국가유형 분류 352

〈부록 표-10〉 국가유형별 특성: 성별에 따른 기능수리문해력 및 교육수준별 이수율 353

〈부록 표-11〉 국가유형별 특성: 기초문해력 및 기능문해력 354

〈부록 표-12〉 국가유형별 특성: 법이 보장하는 무상교육/의무 초등교육 및 중등교육 연수 355

〈부록 표-13〉 국가유형별 특성: 교육수준별 학생 1인당 공교육비 356

〈부록 표-14〉 기능수리문해력: 국가유형별 특성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