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1장 서론 13
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4
2절. 연구 개요 17
2장 문헌검토 19
1절.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기능 20
1.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설치 및 운영사업 안내(2021) 20
2. 선행연구에서의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기능 25
2절. 장애아동 돌봄의 개념과 범위 30
1. 공적(사회적) 돌봄서비스에서의 장애아동 돌봄 30
2. 선행연구에서의 장애아동 돌봄 53
3절. 소결 60
3장 전문가 심층 면접 조사 64
1절. 조사 개요 65
1. 조사 설계 65
2. 조사 방법 및 대상 66
2절. 조사 결과 68
1. 병원 내 돌봄의 범위 69
2. 돌봄 운영방안 79
3. 돌봄 제공인력 91
4장 결론 및 제언 97
1절. 연구 결과의 요약 99
1. 문헌 검토 99
2. 전문가 심층 면접 조사 101
2절. 정책 제언 103
참고문헌 107
판권기 2
[표 2-1]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사업목적 20
[표 2-2]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기능 21
[표 2-3]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공공재활서비스 영역과 내용 22
[표 2-4]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공공재활서비스 종합 24
[표 2-5]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주요 서비스(장창수 外, 2017) 25
[표 2-6]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주요 기능 및 서비스(이정은 外, 2019) 27
[표 2-7] 장애아동 가족지원사업 개요 32
[표 2-8] 장애아동 돌봄 서비스 제공인력 양성교육과정 33
[표 2-9] 장애인활동보조 급여 36
[표 2-10] 활동지원 급여의 종류별 활동지원 인력 37
[표 2-11] 활동지원 급여의 중단사유 38
[표 2-12] 방과후활동서비스 제외대상 40
[표 2-13] 발달장애인 방과 후 활동서비스 개요 41
[표 2-14] 방과 후 활동서비스 제공인력 43
[표 2-15] 발달장애인 방과 후 활동서비스 제공인력 교육과정 44
[표 2-16] Pathways of Need 47
[표 2-17] 하운슬로 휴식지원(Short break in London Borough of Hounslow) 49
[표 2-18] 브롬리 전문적 휴식지원(Specialist Short Breaks in Bromley) 50
[표 2-19] 돌봄에 대한 정의(김영란 外, 2014) 54
[표 2-20] 장애아동 맞춤 돌봄서비스 내용 구성(안) 55
[표 2-21] 장애아동 맞춤 돌봄서비스 제공인력 기준(안) 56
[표 2-22] 돌봄지원 구성요소 및 범주(김유리ㆍ최복천, 2018) 57
[표 2-23] 돌봄 및 돌봄지원의 범주(최보라 外, 2021) 59
[표 3-1] 전문가 심층면접 조사설계 65
[표 3-2]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특성 67
[표 3-3] 전문가 면접조사 분석 내용 69
[표 3-4] 공적 돌봄 이용이 제한적인 중증 장애아동 70
[표 3-5] 병원 내 돌봄 공백 발생 71
[표 3-6] 상시적인 간병(돌봄) 요구 72
[표 3-7] 갑작스러운 보호 부재에 대한 대응 73
[표 3-8] 보호자의 휴식 지원 74
[표 3-9] 병원에는 부적합한 지역사회 돌봄 개념 75
[표 3-10] 간호ㆍ간병 차원의 지원 76
[표 3-11] 의료와 결합된 돌봄 77
[표 3-12] 중증도에 따라 다른 돌봄 욕구 77
[표 3-13] 1:1 간병이 요구되는 중증 아동 78
[표 3-14] 1:1 정서지원이 요구되는 경증 아동 79
[표 3-15] 단기 보호의 필요성 80
[표 3-16] 단기 보호를 통한 아동 보호와 휴식 지원 81
[표 3-17] 병실을 활용한 단기 보호 81
[표 3-18] 단기 보호의 기간 82
[표 3-19] 단기 보호의 운영 83
[표 3-20] 보호자 역할 대행 84
[표 3-21] 집단활동을 통한 틈새돌봄 85
[표 3-22] 낮병동 병실을 활용한 틈새 돌봄 86
[표 3-23] 외부자원 연결을 통한 시간제 돌봄 86
[표 3-24] 평등한 이용 기회 제공 87
[표 3-25] 돌봄 지원 기준 마련 88
[표 3-26] 다차원적인 장애아동 특성 고려 89
[표 3-27] 긴급상황 발생과 공적 돌봄 이용 89
[표 3-28] 보호자의 돌봄 강도 90
[표 3-29] 보호자의 심리적 상태 91
[표 3-30] 중증 장애아동 돌봄을 위한 최소 자격 : 간호 조무사 92
[표 3-31] 병원에 최적화된 인력 기준 : 입원 병동과 동일한 인력 92
[표 3-32] 특정하기 어려운 제공인력 자격 93
[표 3-33] 병원 교육을 이수한 공적 돌봄 제공자 94
[표 3-34] 개별 아동에 대한 정보 95
[표 3-35] 병원 내 장애아동 돌봄 특성 96
[표 3-36] 병원 내 돌봄에 특화된 전문가 양성 96
[표 4-1]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돌봄 운영방안 103
[그림 1-1] 연구 구성 18
[그림 2-1] 장애아동을 위한 공공재활서비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