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7
제1장 서론 3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4
제2절 연구의 내용 37
제3절 연구의 절차 및 방법 38
1. 문헌연구 39
2. 사례연구 39
3. FGI 39
4. 설문조사 39
5. 델파이조사(2차) 40
6. 전문가협의회 41
7. 정책세미나 개최 41
제4절 연구의 범위 41
제2장 직업교육 거버넌스의 이해 42
제1절 직업교육의 개념 및 범위 43
1. 직업교육의 개념 및 유사 용어 43
2. 직업교육기관의 범위 47
제2절 교육 거버넌스의 개념 및 구조 50
1. 거버넌스의 개념 50
2. 거버넌스의 유형 52
3. 교육 거버넌스의 개념과 의미 54
제3절 직업교육 거버넌스의 개념 및 구조 56
1. 직업교육 거버넌스 관련 선행 연구 분석 56
2. 직업교육 거버넌스 체계 59
제4절 직업교육 거버넌스의 변천 과정 60
1.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의 변화 60
2. 고등직업교육 거버넌스의 변화: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65
3. 직업교육훈련 거버넌스의 변화 68
제3장 직업교육 거버넌스 현황 및 사례 분석 71
제1절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 72
1.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의 수직적 구조 72
2. 중등직업교육의 핵심요소 운영 절차: 사례를 중심으로 75
제2절 고등직업교육 거버넌스: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84
1. 전문대학 교육의 수직적 거버넌스 84
2. 전문대학 교육의 핵심요소별 현황 85
3. 전문대학 내 거버넌스 93
4. 전문대학 거버넌스 사례 분석 97
제3절 직업교육훈련 거버넌스 현황 106
제4절 부처 간 및 부처-지방자치단체 간 직업교육 협업 사례 111
1. 부처 간 직업교육 협업 사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11
2. 부처-지방자치단체 간 직업교육 협업 사례: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117
제4장 주요국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분석 125
제1절 프랑스(중앙집권형) 127
1. 프랑스의 교육행정 구조 127
2. 프랑스의 직업교육체계 128
3. 프랑스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130
제2절 일본(중앙정부-지방정부) 133
1. 일본의 교육행정 구조 133
2. 일본의 직업교육체제 134
3. 일본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135
제3절 뉴질랜드(중앙정부-교육기관) 139
1. 뉴질랜드의 교육행정 구조 139
2. 뉴질랜드의 직업교육체계 141
3. 뉴질랜드의 교육 거버넌스 142
제4절 독일(분권형A) 145
1. 독일의 교육행정 구조 145
2. 독일의 직업교육체계 146
3. 독일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146
제5절 미국(분권형B) 153
1. 미국의 교육행정 구조 153
2. 미국의 직업교육체계 154
3. 미국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156
제6절 주요국 직업교육 거버넌스의 특성과 시사점 160
1. 교육자치를 위한 교육 거버넌스 구성 방향 설정: 학교 자율성 및 책무성 강화 164
2.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분리 대 통합: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165
3. 교육 거버넌스의 기능 배분 및 동등한 위치에서 협력관계 유지 166
제5장 직업교육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167
제1절 직업교육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 조사 및 분석 결과 168
1. 직업교육 거버넌스 인식조사 개요 168
2. 직업교육 거버넌스 인식조사 결과 173
3. 시사점 218
제2절 직업교육 거버넌스 혁신에 대한 요구 분석 226
1. 1차 델파이조사 결과 226
2. 최종(2차) 델파이조사 결과 236
제6장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 245
제1절 국가 차원의 직업교육 거버넌스 체제 구축 247
1. 직업교육 및 직업교육기관의 범위 명확화 247
2. 직업교육 관련 법령 정비 248
3.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 강화 및 명확화 253
4. 중등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의 통합적 접근 필요 259
5. 국가 차원의 직업교육 질 관리 강화 261
6. 직업교육 재정지원의 통합적 관리 264
제2절 중앙-지방-학교 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267
1. 중앙정부의 컨트롤타워 구축 필요 267
2. 지역 수준의 직업교육협의체 활성화 268
3. 지방정부 및 직업교육기관의 권한 강화 268
4.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역할 분담 및 협력체제 강화 269
5. 의사결정 과정에 이해관계자의 참여 확대 273
제3절 직업교육기관 내 거버넌스 구축 275
1.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275
2. 전문대학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280
3. 중등직업교육-고등직업교육의 연계 및 차별화 291
SUMMARY 294
참고문헌 299
[부록 1] 직업교육 거버넌스 현황 및 인식 조사(직업계고용) 314
[부록 2] 직업교육 거버넌스 현황 및 인식 조사(고등직업교육기관용) 324
[부록 3] 직업교육 거버넌스 현황 및 인식 조사(정부부처 관계자용) 334
[부록 4] 직업교육 거버넌스 현황 및 인식 조사(지방자치단체 관계자용) 344
[부록 5] 「교육자치 및 평생교육 확대에 따른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조사(1차) 354
[부록 6] 「교육자치 및 평생교육 확대에 따른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조사(2차) 365
판권기 378
〈표 Ⅰ-1〉 설문조사 대상자 40
〈표 Ⅱ-1〉 직업교육에 대한 학자별 정의 44
〈표 Ⅱ-2〉 직업교육 관련 용어들 간의 특성 비교 45
〈표 Ⅱ-3〉 직업교육의 개념 정의에 포함될 요소(안) 46
〈표 Ⅱ-4〉 직업교육기관의 범위 47
〈표 Ⅱ-5〉 직업교육 관련 기관의 교육목적(정의) 49
〈표 Ⅱ-6〉 거버먼트와 거버넌스의 비교 51
〈표 Ⅱ-7〉 거버넌스에 대한 개념적 접근 방법 52
〈표 Ⅱ-8〉 굿 거버넌스의 구성요소 54
〈표 Ⅱ-9〉 지역인적자원개발 관련 주요 거버넌스들 56
〈표 Ⅱ-10〉 직업교육 거버넌스 체계(안) 59
〈표 Ⅱ-11〉 교육부 중등직업교육 관련 담당 부서의 변화 60
〈표 Ⅱ-12〉 교육과정심의회 등의 변천 연혁 62
〈표 Ⅱ-13〉 시기별 교원정책의 변화 63
〈표 Ⅱ-14〉 교육부 전문대학 관련 부서의 변화 65
〈표 Ⅱ-15〉 노무현 정부의 전문대학 관련 자율화 추진 과제 66
〈표 Ⅱ-16〉 이명박 정부의 전문대학 관련 자율화 추진 과제 67
〈표 Ⅱ-17〉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실무협의회의 구성 69
〈표 Ⅱ-18〉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의 수립 및 점검 관련 법적 근거의 변화 70
〈표 Ⅲ-1〉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의 수직적 구조 73
〈표 Ⅲ-2〉 현재 교육부의 중등직업교육 관련 부서 및 주요 업무 74
〈표 Ⅲ-3〉 직업계고 내 거버넌스 운영 사례 분석 대상 76
〈표 Ⅲ-4〉 직업계고 학교유형별 학교 설립 관련 현황 및 관련 위원회 76
〈표 Ⅲ-5〉 고등학교 교장 및 교원의 임용 80
〈표 Ⅲ-6〉 2020년 시도교육청 평가지표 중 직업계고 관련 지표 83
〈표 Ⅲ-7〉 전문대학 거버넌스 관련 핵심요소별 교육부 담당 부서 85
〈표 Ⅲ-8〉 전문대학의 설립ㆍ폐지 관련 법적 근거 86
〈표 Ⅲ-9〉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관련 법적 근거 87
〈표 Ⅲ-10〉 전문대학의 교원 임용 관련 법적 근거 89
〈표 Ⅲ-11〉 전문대학의 재정 관련 법적 근거 90
〈표 Ⅲ-12〉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에 따른 재정지원 가능 범위 93
〈표 Ⅲ-13〉 사립 전문대학 법인의 이사회 관련 「사립학교법」 조항 95
〈표 Ⅲ-14〉 사립대학의 총장 선출ㆍ임명 방식 96
〈표 Ⅲ-15〉 대학 유형별 전문대학 거버넌스 특성 비교 98
〈표 Ⅲ-16〉 전문대학 대상 재정지원사업의 거버넌스 특성 비교 104
〈표 Ⅲ-17〉 한국폴리텍대학법인 산하 폴리텍대학 거버넌스 구조 105
〈표 Ⅲ-18〉 직업교육훈련정책에서의 거버넌스 구조 107
〈표 Ⅲ-19〉 직업교육 관련 거버넌스 수준별 협의기구 110
〈표 Ⅲ-20〉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기관의 주요 역할 112
〈표 Ⅲ-21〉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절차 114
〈표 Ⅲ-22〉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의 개요 117
〈표 Ⅲ-23〉 항공 분야 직업교육 혁신지구 참여 기관 120
〈표 Ⅲ-24〉 항공 분야 직업교육 혁신지구 참여 기관의 역할 및 혜택 121
〈표 Ⅲ-25〉 직업교육 협력위원회 조직ㆍ구성 123
〈표 Ⅳ-1〉 뉴질랜드 중앙정부의 구성 및 기능 140
〈표 Ⅳ-2〉 주정부 국가직업교육의 평가 절차 159
〈표 Ⅳ-3〉 주요국의 교육 거버넌스 특성 비교 162
〈표 Ⅴ-1〉 직업교육 거버넌스 인식 조사 대상 169
〈표 Ⅴ-2〉 직업교육 거버넌스 인식 조사 내용 및 설문지 구성 170
〈표 Ⅴ-3〉 조사응답자 일반 현황 172
〈표 Ⅴ-4〉 직업계고 교장임용 방식 현황 및 적절한 방식 인식 173
〈표 Ⅴ-5〉 교장공모심사위원회의 구성 174
〈표 Ⅴ-6〉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 현황 175
〈표 Ⅴ-7〉 학교운영위원회의 영향력 및 중요역할 인식 175
〈표 Ⅴ-8〉 교육과정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176
〈표 Ⅴ-9〉 사립 직업계고 이사회의 구성 및 영향력 177
〈표 Ⅴ-10〉 사립 직업계고 개방이사추천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178
〈표 Ⅴ-11〉 직업계고 운영 주체 간 권한 배분 178
〈표 Ⅴ-12〉 직업계고 운영 주체 간 권한 배분 요약 179
〈표 Ⅴ-13〉 직업계고 교육에서 상급기관과 교장의 권한 배분 180
〈표 Ⅴ-14〉 직업계고의 각종 위원회 간 권한 배분 181
〈표 Ⅴ-15〉 중등직업교육 관련 교육부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183
〈표 Ⅴ-16〉 중등직업교육 관련 시도교육청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183
〈표 Ⅴ-17〉 중등직업교육 관련 이사회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185
〈표 Ⅴ-18〉 직업계고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186
〈표 Ⅴ-19〉 직업계고 주요 위원회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186
〈표 Ⅴ-20〉 직업계고 인력양성 사업 추진의 애로사항 187
〈표 Ⅴ-21〉 중등직업교육 관련 교육부의 역할 또는 기능 변화 인식 189
〈표 Ⅴ-22〉 중등직업교육 관련 시도교육청의 역할 또는 기능 변화 인식 189
〈표 Ⅴ-23〉 중등직업교육 관련 시도청 및 시군구청의 역할 또는 기능 변화 인식 191
〈표 Ⅴ-24〉 직업계고 교육 참여 주체의 권한 배분 변화 인식 192
〈표 Ⅴ-25〉 전문대학 총장임용 방식 현황 및 적절한 방식에 대한 인식 194
〈표 Ⅴ-26〉 총장추천위원회의 구성 195
〈표 Ⅴ-27〉 대학평의원회의 구성 현황 195
〈표 Ⅴ-28〉 대학평의원회의 영향력 및 중요역할 인식 196
〈표 Ⅴ-29〉 교수회의 구성 및 영향력 197
〈표 Ⅴ-30〉 교무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198
〈표 Ⅴ-31〉 교육과정심의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199
〈표 Ⅴ-32〉 등록금심의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199
〈표 Ⅴ-33〉 사립 전문대학 이사회의 구성 및 영향력 200
〈표 Ⅴ-34〉 사립 전문대학 개방이사추천위원회의 구성 및 영향력 201
〈표 Ⅴ-35〉 전문대학 운영 주체 간 권한 배분 201
〈표 Ⅴ-36〉 전문대학 운영 주체 간 권한 배분 요약 203
〈표 Ⅴ-37〉 전문대학 교육에서 상급기관과 총장의 권한 배분 204
〈표 Ⅴ-38〉 전문대학의 각종 위원회 간 권한 배분 205
〈표 Ⅴ-39〉 고등직업교육 관련 교육부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206
〈표 Ⅴ-40〉 고등직업교육 관련 시도청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208
〈표 Ⅴ-41〉 고등직업교육 관련 이사회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209
〈표 Ⅴ-42〉 전문대학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211
〈표 Ⅴ-43〉 전문대학 주요 위원회의 거버넌스 강점 및 약점 212
〈표 Ⅴ-44〉 전문대학 인력양성 사업 추진의 애로사항 213
〈표 Ⅴ-45〉 고등직업교육 관련 교육부의 역할 또는 기능 변화 인식 214
〈표 Ⅴ-46〉 고등직업교육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또는 기능 변화 인식 215
〈표 Ⅴ-47〉 고등직업교육 참여 주체의 권한 배분 변화 인식 216
〈표 Ⅴ-48〉 델파이조사 패널 구성(안) 226
〈표 Ⅴ-49〉 직업교육의 개념 명확화에 대한 1차 의견 227
〈표 Ⅴ-50〉 직업교육기관 범위에 대한 1차 의견 228
〈표 Ⅴ-51〉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정비에 대한 1차 의견 228
〈표 Ⅴ-52〉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적용 범위에 대한 1차 의견 229
〈표 Ⅴ-53〉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정비 방식에 대한 1차 의견 229
〈표 Ⅴ-54〉 직업교육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에 대한 1차 의견 230
〈표 Ⅴ-55〉 중등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1차 의견 230
〈표 Ⅴ-56〉 국가 차원의 직업교육 질 관리 강화에 대한 1차 의견 231
〈표 Ⅴ-57〉 직업교육 재정지원의 통합 관리에 대한 1차 의견 231
〈표 Ⅴ-58〉 중앙정부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1차 의견 232
〈표 Ⅴ-59〉 지방자치단체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1차 의견 232
〈표 Ⅴ-60〉 직업교육기관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1차 의견 233
〈표 Ⅴ-61〉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직업교육기관 간 권한 배분에 대한 의견 233
〈표 Ⅴ-62〉 중등직업교육기관 내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1차 의견 234
〈표 Ⅴ-63〉 고등직업교육기관 내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1차 의견 235
〈표 Ⅴ-64〉 중등직업교육기관과 고등직업교육기관 간 관계에 대한 1차 의견 235
〈표 Ⅴ-65〉 직업교육의 정의에 대한 최종 의견 236
〈표 Ⅴ-66〉 직업교육기관 범위에 대한 최종 의견 237
〈표 Ⅴ-67〉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정비에 대한 최종 의견 237
〈표 Ⅴ-68〉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적용 범위에 대한 최종 의견 238
〈표 Ⅴ-69〉 직업교육 진흥을 위한 별도 법령의 정비 방식에 대한 최종 의견 238
〈표 Ⅴ-70〉 (가칭)직업교육진흥법(제정)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의견 239
〈표 Ⅴ-71〉 직업교육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에 대한 최종 의견 240
〈표 Ⅴ-72〉 중등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최종 의견 240
〈표 Ⅴ-73〉 국가 차원의 직업교육 질 관리 강화에 대한 최종 의견 241
〈표 Ⅴ-74〉 직업교육 재정지원의 통합 관리에 대한 최종 의견 241
〈표 Ⅴ-75〉 중앙정부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최종 의견 242
〈표 Ⅴ-76〉 지방자치단체(광역)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최종 의견 242
〈표 Ⅴ-77〉 직업교육기관의 직업교육협의체 구축에 대한 최종 의견 243
〈표 Ⅴ-78〉 중등직업교육기관 내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최종 의견 243
〈표 Ⅴ-79〉 고등직업교육기관 내 거버넌스 개선에 대한 최종 의견 244
〈표 Ⅴ-80〉 중등직업교육기관과 고등직업교육기관 간 관계에 대한 최종 의견 244
〈표 Ⅵ-1〉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안) 246
〈표 Ⅵ-2〉 직업교육기관의 범위(안) 248
〈표 Ⅵ-3〉 직업교육 관련 현행 법령 체계 250
〈표 Ⅵ-4〉 직업교육 관련 법령 체계 개편(안) 252
〈표 Ⅵ-5〉 (가칭)직업교육진흥법의 주요 사항(안) 253
〈표 Ⅵ-6〉 직업교육 관련 법령에서 명시된 국가의 책무성 254
〈표 Ⅵ-7〉 직업교육 관련 법령에서 명시된 기본계획의 주요 사항 256
〈표 Ⅵ-8〉 직업교육 관련 법령에서의 재정지원 주체 258
〈표 Ⅵ-9〉 대학기본역량진단(전문대학)과 전문대학 평가인증 항목 비교 261
〈표 Ⅵ-10〉 전문대학 직업교육 관련 주요 재정지원사업 264
〈표 Ⅵ-11〉 (가칭)국가직업교육정책심의회의 설치ㆍ운영(안) 267
〈표 Ⅵ-12〉 지방정부의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의 연계협력 체제 구축(안) 269
〈표 Ⅵ-13〉 광역지방자치단체(시도) 직업교육 관련 협의체 비교 270
〈표 Ⅵ-14〉 직업교육 활동 영역 및 핵심요소별 중앙정부-지방정부-직업교육기관 간 권한 배분(안) 272
〈표 Ⅵ-15〉 협력적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안) 274
〈표 Ⅵ-16〉 학교운영위원회 소속 소위원회 구성(안) 276
〈표 Ⅵ-17〉 중등직업교육의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사무 범위(안) 278
〈표 Ⅵ-18〉 학교법인 이사회 구성 관련 「사립학교법」(제14조)의 변화 281
〈표 Ⅵ-19〉 학교법인 이사회의 일반이사 선임 자격요건(사립학교법 제21조)의 변화 282
〈표 Ⅵ-20〉 최근 발생한 이사장(이사회)과 총장 간 분쟁 사례 283
〈표 Ⅵ-21〉 사립 전문대학의 교비회계 세입ㆍ세출 항목 284
〈표 Ⅵ-22〉 사립 전문대학의 주요 위원회 기능 비교: D전문대학 286
〈표 Ⅵ-23〉 사립 전문대학의 학칙 제ㆍ개정 절차 287
〈표 Ⅵ-24〉 전문대학에서의 연계교육 관련 법적 근거 291
[그림 Ⅰ-1] 연구의 절차 및 방법 38
[그림 Ⅱ-1] 직업교육 관련 용어들 간의 관계도 45
[그림 Ⅱ-2] 통합적 교육거버넌스 모형 55
[그림 Ⅱ-3] 직업교육훈련 다층적 거버넌스에서의 이해관계자 57
[그림 Ⅱ-4] OECD 국가들의 교육 거버넌스 유형 58
[그림 Ⅱ-5] 직업교육훈련 거버넌스의 변화 68
[그림 Ⅲ-1] 지방교육재정 흐름도 82
[그림 Ⅲ-2] 전문대학 대상 재정지원사업의 거버넌스 구조 103
[그림 Ⅲ-3]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모형 112
[그림 Ⅲ-4] 직업교육 혁신지구 개요도 118
[그림 Ⅲ-5] 직업교육 혁신지구 지원센터 조직 및 구성(안) 122
[그림 Ⅳ-1] 프랑스의 국가 행정단체 및 교육행정 체제의 구성과 교육책임 128
[그림 Ⅳ-2] 프랑스의 기본 학제 129
[그림 Ⅳ-3] 일본의 중학교 졸업 이후의 진학 경로 135
[그림 Ⅳ-4] 독일의 기본 학제 147
[그림 Ⅳ-5] 미국의 교육체계 155
[그림 Ⅳ-6] 미국의 교육 거버넌스 157
[그림 Ⅴ-1] 중등직업교육 관련 교육부의 거버넌스 수준 182
[그림 Ⅴ-2] 중등직업교육 관련 사립 직업계고 이사회의 거버넌스 수준 184
[그림 Ⅴ-3] 직업계고의 거버넌스 수준 185
[그림 Ⅴ-4] 고등직업교육에서 교육부의 거버넌스 수준 206
[그림 Ⅴ-5] 고등직업교육에서 시도청의 거버넌스 수준 207
[그림 Ⅴ-6] 전문대학 이사회의 거버넌스 수준 209
[그림 Ⅴ-7] 전문대학의 거버넌스 수준 210
[그림 Ⅴ-8] 전문대학 주요 위원회의 거버넌스 수준 211
[그림 Ⅵ-1] 교육부의 중등직업교육과 고등직업교육 담당 부서의 통합(안) 260
[그림 Ⅵ-2] 지역의 교육행정과 일반행정 협력체계(안) 260
[그림 Ⅵ-3] (가칭)국가직업교육진흥원 조직구성(안) 264
[그림 Ⅵ-4]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모형(안) 273
[그림 Ⅵ-5] 새로운 중등직업교육 거버넌스 277
[그림 Ⅵ-6] 전문대학 내 위원회 간 관계도 288
[그림 Ⅵ-7] 사립 전문대학의 의사결정 구조(안) 290
[그림 Ⅵ-8] 직업계고-전문대학 간 연계협력 방안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