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건의 4
1장 서론 12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18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1. 연구의 범위 19
2. 연구의 방법 20
3절 선행연구의 고찰 21
1. 기존 선행연구의 동향 21
2. 선행연구과 본 연구의 차별성 23
2장 트라우마의 이해 24
1절 트라우마의 개념 및 특징 25
1. 트라우마의 개념 25
2. 트라우마의 특징 26
2절 국내 트라우마센터 제도 및 정책 29
1.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29
2. 직무별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규정 31
3. 정신관련센터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규정 32
3절 국내 트라우마 및 정신건강 관련 시설 검토 34
1. 국가폭력 및 재난 트라우마센터 36
2. 직무별 트라우마센터 37
3. 성폭력 및 범죄 트라우마센터 41
4. 정신건강 관련 센터 및 시설ㆍ기관 46
3장 국내ㆍ외 트라우마센터 사례분석 48
1절 국내 트라우마센터 사례 49
1. 국가트라우마센터 49
2/3. 제주4.3 트라우마센터 53
3. 대구직업트라우마센터 56
2절 국외 트라우마센터 사례 58
1. 덴마크 고문반대협회 디그니티(DIGNITY) 58
2. 미국 고문피해자 센터(Center for Victims of Torture) 61
3. National Center for Trauma Informed Care(NCTIC) 63
4. Caron Treatment Center 65
5/3. 트라우마 심리치료 방법_미국 68
6/4. 일본 정신보건복지센터 70
7/5. 일본 효고현 마음의 케어센터 78
8/6. 일본 구마모토 마음케어센터 80
3절 대전시 트라우마센터 관련 시설 현황 84
1. 대전시 트라우마 관련 시설 84
2. 대전ㆍ세종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85
3. 대전해바라기센터 87
4. 대전시 정신건강복지센터 89
5. 대전광역자살예방센터 91
6. 정신의료기관 93
7. 대전시 보문산 숲 치유센터 97
4절 설문조사를 통한 시민의식조사 99
1. 조사개요 99
2. 참여자 특성 100
3. 조사결과 101
5절 관련자 인터뷰를 통한 질적조사(FGI) 108
1. 조사개요 108
2. 참여자 특성 109
3. 조사결과 110
6절 소결 121
4장 대전광역시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 기본구상 123
1절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의 추진방향 124
1. 기본방향 124
2. 기본구상 127
2절 트라우마 치유센터 기본조성(안) 128
1.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축기본구상 128
3절 트라우마 치유 프로그램 136
1. 프로그램 기본방향 : 다차원 진단 및 치료 136
2. 복합외상 치유 : 단계-기반 치료 140
3. 트라우마 자가치료 155
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60
1절 결론 161
2절 정책제언 163
참고문헌 165
[부록] 166
판권기 3
[표 1-1] 선행연구 검토 22
[표 1-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23
[표 2-1] 트라우마의 원인이 되는 외상사건 26
[표 2-2] 트라우마 회복 단계 28
[표 2-3] 직무별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규정 31
[표 2-4] 정신관련센터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규정 32
[표 2-5] 국내 트라우마 및 정신건강 관련 시설 현황 34
[표 2-6] 전국 국가폭력 및 재난 트라우마센터 현황 36
[표 2-7] 전국 직업트라우마센터 현황 37
[표 2-8] 전국 경찰트라우마센터 현황 38
[표 2-9] 전국 군공무원 보훈병원 현황 39
[표 2-10]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실 설치현황 40
[표 2-11] 전국 해바라기센터 현황 41
[표 2-12] 전국 스마일센터 현황 43
[표 2-13] 스마일센터 서비스 내용 44
[표 2-14] 전국 정신건강 관련 기관 현황 46
[표 2-15] 특ㆍ광역시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 47
[표 3-1] 국가트라우마센터 운영현황 51
[표 3-2] 국가트라우마센터 프로그램 현황 52
[표 3-3] 제주4.3 트라우마센터 프로그램 현황 55
[표 3-4] 대구직업트라우마센터 현황 57
[표 3-5] 덴마크 디그니티 건물현황 59
[표 3-6] 덴마트 디그니티 프로그램 현황 60
[표 3-7] 미국 고문피해자센터 프로그램 현황 62
[표 3-8] Trauma Informed Care의 5 원칙 64
[표 3-9] Caron Treatement Center 치료프로그램 66
[표 3-10] 주디스 허먼의 단계별 트라우마 심리치료 69
[표 3-11] 일본의 정신보건복지센터 법적근거 71
[표 3-12] 정신보건복지센터 치료지원 프로그램 74
[표 3-13] 정신보건복지센터 운영비 정보 75
[표 3-14]히로시마현 정신보건복지센터 건물현황 77
[표 3-15] 효고현 마음의 케어센터 건물현황 79
[표 3-16] 구마모토 마음케어센터 건물현황 81
[표 3-17] 구마모토 마음케어센터 프로그램 81
[표 3-18] 대전시 트라우마 관련 시설현황 84
[표 3-19] 대전해바라기센터의 주요 프로그램 88
[표 3-20] 대전정신건강복지센터 사업 현황 90
[표 3-21] 대전광역자살예방센터의 주요사업 92
[표 3-22] 생명지킴이 프로그램 현황 92
[표 3-23] 대전시 정신의료기관 현황 93
[표 3-24] 대전광역시 립정신병원의 치료프로그램 95
[표 3-25] 보문산 숲 치유센터 프로그램 98
[표 3-26] 양적조사의 개요 99
[표 3-27] 질적조사 방법 108
[표 3-28] FGI 조사참여자 개요 109
[표 3-29] 대전시 트라우마 치유센터 설립을 위한 전문가 의견종합 122
[표 4-1] 치유환경의 지원적 디자인 가이드라인 129
[표 4-2] 트라우마센터 실 구성 135
[표 4-3] 외상에 따른 치료ㆍ예방ㆍ증진 서비스 구분 136
[표 4-4] 외상 기억 처리를 위한 치료 137
[표 4-5] 1단계(안정화) 프로그램 개요 142
[표 4-6] STAIR 프로그램의 8단계 144
[표 4-7] 안전기반치료 25개 주요 TOPIC 144
[표 4-8] 변증법적 행동치료 구성요소 145
[표 4-9] 기억재처리 단계 프로그램1_지속적 노출치료 146
[표 4-10] 억재처리 단계 프로그램2_EMDR 148
[표 4-11] 기억재처리 단계 프로그램3_인지처리치료 150
[표 4-12] 기억재처리 단계 프로그램4_내러티브 노출치료 151
[표 4-13] 기억재처리 단계 프로그램5_Somatic Experiencing 151
[표 4-14] 자가치료의 3가지 유형 156
[표 4-15] PTSD 적용 프로그램 158
[그림 1-1] 코로나19로 인한 유가족이 겪는 트라우마 14
[그림 1-2] 소방ㆍ경찰공무원의 트라우마 관련 기사 15
[그림 1-3] 연구의 진행 흐름도 20
[그림 2-1] 국내 트라우마 관련 센터의 현황 35
[그림 2-2] 경찰청 마음동행센터의 이용절차 38
[그림 2-3] 소방서 심신안정실 40
[그림 3-1] 국가트라우마센터의 비전과 목표 50
[그림 3-2] 제주4.3 트라우마센터 미션 및 비전 54
[그림 3-3] 제주4.3 트라우마센터 건축물 현황 54
[그림 3-4] 제주4.3 트라우마센터 서비스 현황 55
[그림 3-5] 대구 근로자건강센터 비전과 목표 56
[그림 3-6] 덴마크 디그니티센터 비젼과 목표 59
[그림 3-7] 미국고문피해자센터 로고 61
[그림 3-8] Trauma Informed Care의 주요 구성요소 65
[그림 3-9] Caron Treatement Center 시설사진 67
[그림 3-10] 미국 심리치료 사이트 68
[그림 3-11] 일본 정신보건복지센터 지역연계시스템 구축 및 운영연계 73
[그림 3-12] 기본조직체계 및 담당업무 75
[그림 3-13] 구마모토 마음케어센터 조직 및 업무구성 80
[그림 3-14]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운영구조 85
[그림 3-15] 대전ㆍ세종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의 활동 86
[그림 3-16] 대전해바라기센터 내부모습 88
[그림 3-17] 대전광역자살센터 자살예방의 홍보모습 91
[그림 3-18] 대전광역시시립정신병원의 비전과 미션 94
[그림 3-19] 대전광역시립정신병원의 세부 치료프로그램 96
[그림 3-20] 보문산 숲 치유센터의 모습 97
[그림 4-1] (가칭)대전트라우마 치유센터의 목표 127
[그림 4-2] 트라우마 치유센터 수평조닝 132
[그림 4-3] 트라우마 치유센터 수직조닝 133
[그림 4-4] 트라우마 치유센터 공간구성 134
[그림 4-5] 국내ㆍ외 트라우마 자가치유 프로그램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