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요약 10
제1장 서론 13
제2장 선행연구 18
제3장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이질성 21
제4장 데이터 및 분석방법 28
제1절 데이터 소개 28
제2절 실증분석 모형 소개 32
제5장 분석 결과 34
제1절 취업-비취업 이행확률 34
제2절 취업-실업 이행확률과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 36
제3절 학교 폐쇄와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 40
제4절/제5절 강건성(Robustness) 확인 49
1. 비자발적 비취업과 자발적 비취업 49
2. 교육수준 통제 52
3. 월 더미변수 비포함 54
제5절/제6절 정책적 시사점 55
제6장 맺음말 58
참고문헌 60
[부록] 63
ABSTRACT 80
판권기 83
〈표 3-1〉 산업별 코로나19 고용충격과 취업자 비중 22
〈표 3-2〉 직업별 코로나19 고용충격과 취업자 비중 24
〈표 3-3〉 종사상 지위별 코로나19 고용충격과 취업자 비중 25
〈표 5-1〉 취업-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35
〈표 5-2〉 코로나로 인한 학사일정 변화 37
〈표 5-3〉 취업-실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38
〈표 5-4〉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39
〈표 5-5〉 연령별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42
〈표 5-6〉 자녀 수와 연령에 따른 여성의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 44
〈표 5-7〉 취업-비경제활동(육아, 가사)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46
〈표 5-8〉 연령별 취업-비경제활동(육아, 가사 제외)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47
〈표 5-9〉 취업-비자발적 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50
〈표 5-10〉 취업-자발적 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51
〈표 5-11〉 취업-실업,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교육수준 통제 52
〈표 5-12〉 취업-비경제활동(육아, 가사)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교육수준 통제 53
〈표 5-13〉 교육수준별 취업-비경제활동(육아, 가사)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54
〈표 5-14〉 취업-실업,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월 더미변수 불포함 55
[그림 1-1] 혼인 상태별, 성별 고용률 변동: IMF 외환위기 vs 코로나19 위기 14
[그림 3-1] 산업별 여성 고용과 코로나19 충격 26
[그림 3-2] 직업별 여성 고용과 코로나19 충격 26
[그림 3-3] 종사상 지위별 여성 고용과 코로나19 충격 27
[그림 4-1] 실업자 및 일시휴직자 추이 29
[그림 4-2] 취업 상태로부터의 유출률 변화 추이 31
〈부표 1〉 취업-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미혼 64
〈부표 2〉 취업-실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미혼 64
〈부표 3〉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미혼 65
〈부표 4〉 연령별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미혼 66
〈부표 5〉 취업-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기혼 67
〈부표 6〉 취업-실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기혼 69
〈부표 7〉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기혼 71
〈부표 8〉 취업-비취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미혼 73
〈부표 9〉 취업-실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미혼 75
〈부표 10〉 취업-비경제활동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전체 회귀분석 결과: 미혼 77
〈부표 11〉 일시휴직자를 취업자로 분류했을 때 취업-실업 이행확률의 성별 격차 79
부도목차
[부도 1] 취업 상태로의 유입률 변화 추이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