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01. 연구 개요 11
1. 연구 배경과 목적 12
2. 연구 내용과 방법 13
02. 도시 위기에 따른 '뉴노멀' 논의 15
1. 도시의 변화와 발전 16
1) 도시의 위기와 발전 16
2) 최근 도시에 나타난 새로운 위기 18
2. '뉴노멀'의 의미와 확장 19
1) 기후위기에 의한 뉴노멀 20
2) 감염병에 의한 뉴노멀 22
3) 디지털 전환에 의한 뉴노멀 24
03. 디지털 전환에 따른 뉴노멀 시대, 도시공간의 의미와 변화 28
1. 디지털 전환에 따른 뉴노멀 시대 진입 29
1) 디지털 기반 구축 단계(1980년~1990년대 중반) 30
2) 디지털 비즈니스 추진 단계(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 31
3) 디지털 서비스 일상화 단계(2004년 이후) 32
4) 디지털 전환에 의한 뉴노멀 시대의 진입 33
2. 뉴노멀 시대, 도시공간의 의미 34
1) 뉴노멀 시대의 도시공간 34
2) 디지털 전환에 의한 도시공간 변화 35
04. 뉴노멀 시대, 서울의 변화와 전망 36
1. WORK(일자리, 산업) 37
1) 산업구조의 변화 37
2) 일자리 거점의 변화 38
3) 1인 창업기업과 공유오피스 40
4) 코로나19 이후 통근통행 총량 41
5) 리모트워크의 증가 42
6) 신산업거점의 육성 43
7) 상업공간의 기능 전환 45
2. LIVE(주거) 46
1) 주거문화의 변화 46
2) 주거 수요의 변화 47
3) 주거 선호의 변화 48
4) 주거 기능과 형태의 변화 49
5) 주거 소유방식의 변화 50
6) 소비의 중심축으로 이동한 주거지역 51
3. PLAY(여가문화) 53
1) 여가문화의 변화 53
2) 삶의 중심으로 이동한 여가문화 54
3) 문화시설의 양적 증가와 문화수요의 다양화 55
4) OTT 시장의 성장과 가상 체험 활용한 문화여가생활의 확대 56
5) 도심 문화체육공간의 복합화 57
6) 자연ㆍ녹지ㆍ수변과 연계한 여가활동 증가 58
7) 주거지 주변에서의 여가활동 증가 59
4. MOVE(교통, 이동) 60
1) 교통정책의 변화 60
2) 통행량의 감소와 단거리 중심의 통행패턴 변화 61
3) 지속되는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62
4) 단거리 통행 수단 다변화, 장기적으로 철도 역할 강화 63
5) 광역화에 따른 중심지와 교통체계의 통합개발 필요 64
6) 생활권 내 안전한 이동환경 조성 65
7) 3차원 통합교통체계로 진화 66
5. 분야별 종합 67
05. 서울의 공간 발전 전략 69
1. 서울시 공간계획 방향 70
1) 서울시 공간계획의 변화와 진단 70
2) 서울시 공간계획 방향 72
2. 도시공간 발전전략 74
1) 공간계획 단위 개편 74
2) 토지이용 체계 재편 75
3) 라이프 플랫폼으로의 녹지ㆍ수변 공간 강화 77
4)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3
판권기 86
[표 1-1] 연구내용과 방법 14
[그림 2-1] 도시의 발전(고대, 중세, 산업도시) 16
[그림 2-2] 도시의 발전(근대, 현대도시) 17
[그림 2-3] 새로운 위기 18
[그림 2-4] 뉴노멀의 등장 19
[그림 3-1] 디지털 기반 구축 단계 30
[그림 3-2] 디지털 비즈니스 추진 단계 31
[그림 3-3] 디지털 서비스 일상화 단계 32
[그림 3-4] 디지털 전환에 의한 뉴노멀 시대의 진입 33
[그림 3-5] 디지털 전환에 의한 뉴노멀 시대의 의미 34
[그림 3-6] 디지털 전환에 의한 뉴노멀 시대의 공간적 영향 35
[그림 4-1] 산업구조의 변화 37
[그림 4-2] 일자리 거점의 변화 양상 38
[그림 4-3] 일자리 거점의 분산, 집중 현황 39
[그림 4-4] 1인 창업기업과 공유오피스 40
[그림 4-5] 코로나19 이후 통근통행 총량의 변화 41
[그림 4-6] 리모트워크 형태의 증가 42
[그림 4-7] 지역자원과 연계한 신산업거점의 육성 43
[그림 4-8] 먹거리, 놀거리와 융합된 신산업거점 44
[그림 4-9] 상업공간의 공급 현황과 수요 전망 45
[그림 4-10] 주거문화의 변화 46
[그림 4-11] 가구 구조 변화 47
[그림 4-12] 주거 선호의 변화 48
[그림 4-13] 주거 기능의 변화 49
[그림 4-14] 주거 수요의 변화 50
[그림 4-15] 전문가가 예측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서울의 공간 변화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51
[그림 4-16] 주거지에서의 소비활동 증가 52
[그림 4-17] 여가문화의 변화 53
[그림 4-18] 삶의 중심으로 이동한 여가문화 54
[그림 4-19] 문화시설의 증가 55
[그림 4-20] OTT 시장의 성장과 가상 체험 활용한 문화여가생활 확대 56
[그림 4-21] 도심 문화체육시설의 복합적 활용방안 57
[그림 4-22] 자연ㆍ녹지ㆍ수변과 연계한 여가활동 증가 58
[그림 4-23] 주거지 주변에서의 여가활동 증가 59
[그림 4-24] 교통정책의 변화 60
[그림 4-25] 서울시 통행량 예측 61
[그림 4-26]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수요 62
[그림 4-27] 통행거리별 이동수단 변화 63
[그림 4-28] 광역화 현상에 따른 중심지와 교통체계의 통합개발 필요 64
[그림 4-29] 단거리 이동 위한 정책 확대 65
[그림 4-30] 3차원 통합교통체계 66
[그림 4-31] 분야별 종합 68
[그림 5-1] 서울의 공간구조 변화 71
[그림 5-2] 기술발전 및 생활변화 등 전환시대를 대응하는 서울의 공간구조 방향 72
[그림 5-3] 분야 간 융합 확대 73
[그림 5-4] 공간계획 단위 개편 74
[그림 5-5] 토지이용 체계 재편 76
[그림 5-6] 녹지ㆍ수변 공간 강화 78
[그림 5-7]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