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연구의 개요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1) 연구배경 13
2) 연구목적 1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범위 15
2) 연구방법 16
3. 연구의 주요 내용 16
제2장 빅데이터의 개념과 주요 내용 18
1. 빅데이터의 개념 및 특성 18
1) 빅데이터의 개념 18
2) 빅데이터의 특성 19
3) 빅데이터 활용 분야 및 기술의 범위 20
2. 빅데이터 활용의 산업 동향 22
1) 국외 산업 동향 22
2) 국내 산업 동향 24
3. 빅데이터 활용의 정책 동향 25
1) 국외 정책 동향 25
2) 국내 정책 동향 27
3) 국내 공공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28
제3장 대기질 관리의 빅데이터 활용 국내ㆍ외 정책 동향 38
1. 대기질 관리 분야의 빅데이터 기술 38
1) 빅데이터의 생성(데이터 소스) 39
2) 빅데이터 관리와 분석 플랫폼 39
3) 빅데이터 활용 40
2. 국내 대기질 관리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례 41
1) 환경정보 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41
2) 해양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43
3) 스마트 IoT 기술 기반 항만 대기오염물질 관리 44
4) 초대규모(Massive) 실시간 IoT 인프라 및 네트워크 기술 45
5) 드론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대기배출사업장 입체 점검 46
6) 전국 지하역사의 초미세먼지 실시간 제공 사업 47
3. 국외 대기질 관리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사례 48
1) US EPA 대기질 관리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48
2) 유럽의 대기질 관리분야 빅데이터 활용 사례 50
3) 산둥성 지닝시(濟寧市) 대기질 관리 사례 50
4. 시사점 51
제4장 대기질 관리의 부산시 빅데이터 활용 현황 분석 53
1. 부산시 대기질 관련 빅데이터 활용 현황 53
1)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부문 53
2) 부산지역 대기오염물질 관측 자료 부문 57
3)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60
2. 부산시 빅데이터 사업 현황 및 여건 분석 62
1) 2021년도 부산시 정보화 시행계획 62
2) 2021년도 부산시 빅데이터와 대기분야 주요 사업 63
3) 부산시 주요 빅데이터 사업 현황을 통한 시사점 64
3. 빅데이터 활용 방안 도출을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 65
1) 설문조사 개요 65
2) 설문조사 결과 67
3) 설문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85
제5장 대기질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87
1. 정책 추진방향 87
2. 비전 및 추진전략 설정 88
1) 비전 및 목표 88
2) 추진전략 89
3. 추진전략별 빅데이터 활용 방안 90
1) 기반: 빅데이터 기술 수준 제고 90
2) 활용: 빅데이터 서비스 고도화 95
3) 인력: 맞춤형 빅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98
4) 인프라: 공공 지원 인프라 강화 101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04
1. 요약 및 결론 104
2. 정책제언 106
1) 대기관리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은 다(多)부처 협업 반드시 필요 106
2) 활용이 용이하고 접근이 편리하여 시민의 일상으로 스며드는 사업 추진 필요 106
3) 빅데이터 활용의 인프라 구축 필요 107
Abstract 108
참고문헌 110
[부록] 115
1. 설문지 115
2. 전문가 조사: 분석결과 응답자별 특성 122
판권기 165
〈표 2-1〉 빅데이터의 정의 19
〈표 2-2〉 빅데이터의 개념 및 특성 20
〈표 2-3〉 빅데이터 분야의 기술 범위 21
〈표 2-4〉 빅데이터 도입을 주도하는 국가와 주요 사업 내용 24
〈표 2-5〉 공공 빅데이터 활용 우수 사례 29
〈표 4-1〉 부산시 빅데이터 관련 분야 주요 사업 63
〈표 4-2〉 부산시 대기질 관리 분야 주요 사업 64
〈표 4-3〉 전문가 설문 조사 내용 66
〈표 4-4〉 설문참여 전문가의 업무분야별 이용하고 싶은 빅데이터 서비스 분야 81
〈표 4-5〉 설문참여 전문가의 업무분야별 빅데이터 활용 시 기대되는 장점 82
〈그림 1-1〉 연구의 흐름 16
〈그림 1-2〉 연구의 추진 체계 17
〈그림 2-1〉 빅데이터의 특성 - 3Vs 20
〈그림 2-2〉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분 22
〈그림 2-3〉 우리나라 분야별 빅데이터 도입률(2018년 기준) 25
〈그림 3-1〉 대기질 관리분야 빅데이터 생성, 플랫폼 구축과 활용의 구분 38
〈그림 3-2〉 해양교통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개념도 43
〈그림 3-3〉 해양교통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운영에 대한 로드맵 44
〈그림 3-4〉 Massive IoT 인프라 구축 및 네트워크 구축 실증화 사업 개념도 46
〈그림 3-5〉 드론 등 첨단관측장비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사업장 감시 개념도 47
〈그림 3-6〉 실내공기질 관리 종합정보망의 메인화면 48
〈그림 3-7〉 미국 환경보호청의 AirNow와 EnviroAtlas 49
〈그림 3-8〉 산둥성 지닝시 빅데이터 기반 대기질 관리 사례 51
〈그림 4-1〉 부산시 연도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54
〈그림 4-2〉 부산시 선박 세분류별 미세먼지 배출량 비교 55
〈그림 4-3〉 2018년 기준 부산지역 CAPSS 대기오염물질 격자별 배출량 56
〈그림 4-4〉 부산지역 CAPSS 배출량 활용 사례 56
〈그림 4-5〉 대기질 진단 평가를 위한 부산시 대기질 관측소 현황 58
〈그림 4-6〉 부산시 대기질 정밀측정 시스템 사례 59
〈그림 4-7〉 부산지역 KT 대기오염물질 관측소 현황 60
〈그림 4-8〉 빅데이터 개념 이해도 67
〈그림 4-9〉 빅데이터 종류 인지도 68
〈그림 4-10〉 빅데이터 정보 획득 경로 68
〈그림 4-11〉 정책 인지도 69
〈그림 4-12〉 환경정보 융합 플랫폼 구축, 환경행정 서비스 사업 인지도 70
〈그림 4-13〉 업무수행 과정 중 빅데이터 분석의 필요성 71
〈그림 4-14〉 현재 빅데이터 활용ㆍ분석이 필요한 대기관리 분야 71
〈그림 4-15〉 미래 빅데이터 활용ㆍ분석이 필요한 대기관리 분야 72
〈그림 4-16〉 업무수행 과정 중 빅데이터 분석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 73
〈그림 4-17〉 대기관리 분야 빅데이터 활용 경험 유무 73
〈그림 4-18〉 빅데이터 3V 만족도 74
〈그림 4-19〉 빅데이터 활용 만족도 74
〈그림 4-20〉 빅데이터 활용 만족 이유 75
〈그림 4-21〉 빅데이터 활용 불만족 이유 76
〈그림 4-22〉 빅데이터 분석 시 이용한 자료 형태 76
〈그림 4-23〉 빅데이터 분석 시도 경험 77
〈그림 4-24〉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 단계까지 발전시키지 못한 이유 78
〈그림 4-25〉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유형 78
〈그림 4-26〉 공공 데이터 활용 빈도 79
〈그림 4-27〉 공공 데이터 미활용 이유 80
〈그림 4-28〉 유료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 의향 81
〈그림 4-29〉 빅데이터 분석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요인 84
〈그림 4-30〉 빅데이터 분석 제약조건 해결방안 85
〈그림 5-1〉 대기질 관리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책 추진 방향 88
〈그림 5-2〉 부산지역 대기질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정책 방향 90
〈그림 5-3〉 부산지역 대기환경 분야 데이터 허브 구축 및 운영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