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1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구성진 4
목차 5
I. 연구 개요 18
01. 연구의 배경 18
가. 백두대간의 역사적 고찰 18
나. 국내외 연구동향 20
0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2
가. 백두대간 생태계 관리 22
나. 자원실태변화연구의 표준화 23
다. 국민 관심도를 반영한 미래설계 24
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모니터링 26
마. 국제 산림 협력 강화 27
03. 연구의 범위 27
가. 공간적 범위 27
나. 내용적 범위 29
04. 기대효과 30
가. 산지관리체계 구축 30
나. 사회 및 지역 활성화 30
다. 보전 및 DB구축 30
라. 국제 산림협력 30
마. 후속세대 양성 31
바. 학술 및 대국민 홍보 31
05. 운영체계 31
가. 한국산림과학회 조직 31
나. 연구수행 조직 32
II. 백두대간보호지역 일반현황, 인문·사회현황, 자연현황 34
01. 일반현황 34
가. 백두대간보호지역 관리 34
나.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제2차) 38
다. 백두대간 보호 시행계획 41
라. 산림청 내 백두대간 관련부서 및 담당업무 42
마.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43
바. 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 46
02. 인문·사회환경 48
가. 지자체 현황 48
나. 지자체별 인구변화 현황 50
다. 지자체별 산림면적 현황 53
라. 자연공원 지정현황 54
마. 산업단지 지정 현황 54
바.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 현황 55
사. 역사·문화자원 현황 56
아. 관광특구, 관광지, 관광단지 지정 현황 57
자. 수련시설 및 대형 숙박시설 58
차. 자연휴양림 현황 58
카. 지역축제 현황 59
03. 자연현황 62
가. 지형 62
나. 토양분석 64
III. 백두대간 산림생물자원 실태 및 변화상 조사·분석 72
01. 식물상 72
가. 식물상 조사 방법 72
나. 식물상 조사 결과 73
다. 결론 및 관리 방안 84
02. 식생 108
가. 일반조사구 조사 및 분석방법 108
나. 일반조사구 분포현황 109
다. 식생분석 조사지 개황 111
라. 현존식생 및 생태적 특성 118
마. 결론 및 관리 방안 161
03. 유존종(큰나무) 163
가. 지리적 위치 및 생장 개요 163
나. 생육 모습 165
다. 결론 및 관리 방안 166
04. 산림동물 167
가. 조사개요 167
나. 조사결과 171
다. 관리 및 보전 방안 215
IV. 백두대간 이용 실태 및 변화상 조사·분석 222
01. 토지피복 222
가. 토지피복 분석 222
나. 토지피복 변화지역의 현황 및 관리 방안 226
02.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주요 훼손지 및 관리 방안 228
가. 조사방법 228
나. 훼손지 관리체계 231
다. 훼손지 현황 및 관리 방안 237
03.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조사 및 수용력 249
가. 조사방법 249
나. 조사결과 250
V. 백두대간 산림경관·휴양경관 실태 및 변화상 조사·분석 266
01. 주요 경관자원 및 휴양자원 266
가. 경관 자료 266
나. 휴양자원 274
VI. 백두대간 지역활성화 사업 실태 조사·분석 282
01. 주민지원사업 현황 282
가. 주민지원사업 현황 282
02. 주민지원사업 문제점과 개선방안 286
가. 주민지원사업의 문제점 286
나. 주민지원사업의 개선방안 291
VII. 인용문헌 298
VIII. 부록 302
01. 알프스리조트 복원사업 정책제안 및 제언 302
가. 알프스리조트 복원사업 302
나. 알프스리조트 현황 307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목록 311
판권기 321
뒷표지 323
표 1-1. 백두대간의 공간적 범위 28
표 1-2. 백두대간 자원실태변화 조사 및 관리 방안의 내용적 범위 29
표 2-1. 전략별 방향 설정 40
표 2-2. 추진전략 및 주요 추진과제 42
표 2-3. 백두대간보호지역 확대지정 및 현행화 현황 46
표 2-4.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지자체 행정구역 현황(2020. 12. 31. 기준) 50
표 2-5.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구별 인구변화 현황 51
표 2-6.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구별 65세 이상 인구변화 51
표 2-7.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별 전체 인구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변화 52
표 2-8.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별 산림면적 현황 53
표 2-9.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자연공원 현황 54
표 2-10.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산업단지 지정현황 55
표 2-11.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지역특구 지정 현황 56
표 2-12.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별 문화재 현황(종합) 56
표 2-13.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관광지, 관광단지, 관광특구 지정 현황 57
표 2-14.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자연휴양림 현황 59
표 2-15. 백두대간보호지역 1차 년도 조사구간 내 시·군 지역축제 현황 59
표 2-16. 고도분석 결과 62
표 2-17. 경사분석 결과 62
표 2-18. 경사향분석 결과 63
표 2-19. 모암분석 결과 64
표 2-20. 토양형분석 결과 65
표 2-21. 유효토심분석 결과 66
표 2-22. A층토성 분석 결과 68
표 2-23. B층토성 분석 결과 68
표 3-1.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 설악산권역에 출현한 관속식물의 종조성 74
표 3-2. 조사지역에 출현한 희귀식물 목록 76
표 3-3.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 목록 79
표 3-4. 조사지에서 확인된 귀화식물 목록 81
표 3-5. 조사지에서 확인된 한국특산 기후변화취약식물종 목록 82
표 3-6. 조사지에서 확인된 북방계 기후변화취약식물종 목록 83
표 3-7. 백두대간 설악산 권역의 분류별 식물 종구성 84
표 3-8. 백두대간 설악산 권역의 식물상 목록 86
표 3-9. 백두대간 향로봉~구룡령 구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09
표 3-10. 해발고도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1
표 3-11. 미세지형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2
표 3-12. 사면방위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3
표 3-13. 사면경사도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4
표 3-14. 암석노출도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5
표 3-15. 낙엽층 깊이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6
표 3-16. 식생조사구의 임분 구조 현황 117
표 3-17. 백두대간 향룡봉~구룡령 구간 식생단위 구성 체계와 식생 유형 요약 119
표 3-18. 백두대간 향룡봉-구룡령 구간 현존식생 유형 현황 120
표 3-19. 조사 구간별 상관식생 기준 현존 식생 유형 분포 현황 122
표 3-20. 조사 구간 현존 식생 구성종의 층위별 총피도 경향 125
표 3-21. 현존 식생 유형별 총피도 경향 126
표 3-22. 조사 구간 현존 식생 구성종의 층위별 출현 종수 경향 127
표 3-23. 현존 식생 유형별 총종수 경향 128
표 3-24. 식물의 생활형과 주요 형태 130
표 3-25. 현존 식생 구성종의 층위별 생활형 조성 경향(종구성비 기준) 131
표 3-26. 현존 식생 구성종의 층위별 생활형 조성 경향(중요치 기준) 132
표 3-27. 식생 유형별 구성종의 생활형 중심 유형과 체계(종구성비 기준) 133
표 3-28. 현존식생 유형별 구성종의 생활형 중심 유형과 체계(중요치 기준) 134
표 3-29. 현존식생 유형별 구성종의 생활형 조성 경향(상관 식생 및 종구성비 기준) 135
표 3-30. 조사 구간과 현존식생 구성종의 휴면형 유형별 구성 상태 140
표 3-31. 조사구간 현존식생 구성종의 층위별 출현 종수 경향 141
표 3-32. 현존식생 유형별 종 다양성 경향 142
표 3-33. 북방계 기후변화취약수종의 중요치 변화 143
표 3-34. 현존 식생 구성종의 중요치 경향 145
표 3-35. 현존 식생 유형별 생육환경 특성 153
표 3-36. 조사구간과 현존 식생 유형별(상관식생 기준) 생육환경 특성 154
표 3-37. 조사 구간과 현존 식생 유형별(상관식생 기준) 미세지형 분포 경향 156
표 3-38. 조사 구간과 현존 식생 유형별 사면방위 분포 현황 158
표 3-39. 조사 구간과 현존 식생 유형별(상관식생 기준) 사면방위 분포 경향 159
표 3-40. 백두대간 향로봉~구룡령 구간 산림수목 유존종 지리적 위치 및 생장 개요 163
표 3-41. 백두대간 동물상 조사구간 167
표 3-42. 백두대간 동물상 조사시기 168
표 3-43. 1구간(향로봉~미시령) 포유류 출현 현황 172
표 3-44. 2구간(미시령~단목령) 포유류 출현 현황 173
표 3-45. 3구간(단목령~구룡령) 포유류 출현 현황 174
표 3-46. 포유류 문헌 및 현지 출현 현황(종합) 177
표 3-47. 1구간(향로봉~미시령) 조류 출현 현황 179
표 3-48. 2구간(미시령~단목령) 조류 출현 현황 182
표 3-49. 3구간(단목령~구룡령) 조류 출현 현황 185
표 3-50. 구간별 군집 분석 결과 비교 189
표 3-51. 조류 문헌 및 현지 출현 현황(종합) 190
표 3-52. 1구간(향로봉~미시령)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199
표 3-53. 2구간(미시령~단목령)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200
표 3-54. 3구간(단목령~구룡령)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201
표 3-55. 양서·파충류 문헌 및 현지 출현 현황(종합) 203
표 3-56. 1구간(향로봉~미시령) 나비류 출현 현황 205
표 3-57. 2구간(미시령~단목령) 나비류 출현 현황 206
표 3-58. 3구간(단목령~구룡령) 나비류 출현 현황 208
표 3-59. 나비류 문헌 및 현지 출현 현황(종합) 210
표 3-60. 담수어류 문헌목록 213
표 4-1. 2007년과 2020년 토지피복도 분석 비교 223
표 4-2. 2007년과 2020년 토지피복도 주요 변화지역 분석결과 227
표 4-3. 선행 연구에 의한 조사대상지 내 훼손지 현황(훼손유형) 238
표 4-4. 선행 연구에 의한 조사대상지 내 훼손지 현황(훼손지 복원) 240
표 4-5. 선행 연구에 의한 조사대상지 내 훼손지 현황(관리방향) 242
표 4-6.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훼손실태와 변화상 251
표 4-7.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유형 252
표 4-8. 구간별 안내시설 현황 및 상태 261
표 4-9. 구간별 수용력 현황 263
표 4-10. 국립공원의 시설 수용력 추정방법 264
표 5-1. 주요 경관사진과 설명 267
표 5-2. 과업대상지 내 휴양복지시설 275
표 6-1. 2021년 과업대상지 지자체별 주민지원사업 현황(2016~2020) 285
표 6-2. 현재 주민지원사업 통계 체계 변경(안) 293
부록표목차 12
표 1. 우수 산림생태복원사업 공모전 참여사업의 유형별 현황 305
그림 1-1. 백두대간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 19
그림 1-2. 연구분야 별 국내 학회지 논문발표 건수(학술연구정보서비스) 21
그림 1-3. 단행본 건수(학술연구정보서비스) 21
그림 1-4.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보전 및 이용 22
그림 1-5. 백두대간 자원실태조사와 관리방안 연구의 차기별 사업수행 범위 24
그림 1-6. 백두대간 관련 키워드 변화(30년간)[원문불량;p.9] 25
그림 1-7. 백두대간 관련 기사건수 변화(30년간) 26
그림 1-8. 백두대간의 구역 구분 28
그림 2-1. 백두대간 관련 조직표(2021년 03월 30일 기준) 43
그림 2-2. 백두대간보호지역 지정현황 47
그림 2-3. 백두대간보호지역 4차기 1차 년도 조사대상지 48
그림 2-4. 백두대간보호지역 4차기 1차 년도 대상지 내 시·군 현황 49
그림 2-5. 표고분석 및 경사분석 결과 63
그림 2-6. 경사향분석 결과 63
그림 2-7. 모암 및 토양형분석 결과 66
그림 2-8. 유효토심분석 결과 67
그림 2-9. A층토성 및 B층토성 분석 결과 69
그림 3-1. 4차기 백두대간 설악산권역 자원실태변화 조사구역 73
그림 3-2. 설악산 권역 자생 희귀식물 VU등급 한계령풀 자생지 전경 75
그림 3-3. 설악산 권역 자생 희귀식물 VU등급 한계령풀 76
그림 3-4. 설악산 권역... 78
그림 3-5. 설악산 권역 한국특산식물 만리화 79
그림 3-6. 설악산 권역 귀화식물 돼지풀 81
그림 3-7. 일반조사구 선정 모식도 108
그림 3-8. 백두대간 향로봉~구룡령 구간 식생조사구 분포 현황 110
그림 3-9. 백두대간 향로봉~구룡령 구간 산림수목 유존종 생육 모습 165
그림 3-10. 육상동물 조사위치도 168
그림 3-11. 포유류 출현 종수 및 법정보호종 종수 비교 176
그림 3-12. 구간별 포유류 출현 과수 및 종수 176
그림 3-13. 조류 출현 종수 및 법정보호종 종수 비교 189
그림 3-14. 구간별 조류 출현 과수 및 종수 189
그림 3-15. 구간별 군집분석 결과 189
그림 3-16. 양서·파충류 출현 종수 비교 202
그림 3-17. 구간별 양서·파충류 출현 종수 202
그림 3-18. 나비류 출현 종수 비교 209
그림 3-19. 구간별 나비류 출현 종수 비교 209
그림 3-20. 포유류 출현 종 및 흔적 사진 216
그림 3-21. 조류 출현 종 사진 217
그림 3-22. 양서·파충류 출현 종 사진 218
그림 3-23. 나비류 출현 종 사진 219
그림 4-1. 2007년과 2020년 토지피복도 분석 결과 225
그림 4-2. 2007년과 2020년 토지피복도 변화 분석 226
그림 4-3. 훼손지 조사야장 228
그림 4-4. 백두대간보호지역 GIS DB 구축순서[원문불량;p.214] 230
그림 4-5. 산림복원사업 단계별 추진절차(산림청) 232
그림 4-6. 도로시설 관리 방향 234
그림 4-7. 도로 외 훼손지 관리 방향 235
그림 4-8. 향로봉~구룡령 구간 백두대간보호지역 주요 훼손지 237
그림 4-9. 백두대간 훼손지 위치도 239
그림 4-10. 미시령 복원사업 현황(상) 및 현재 모습(하) 241
그림 4-11. 조침령 구 도로 현황 241
그림 4-12. 구룡령 도로와 백두대간 안내시설 241
그림 4-13. 알프스리조트(스키장) 경관 243
그림 4-14. 알프스리조트 내 숙박시설 등 건축물 244
그림 4-15. 흘리마을의 폐 건축물 245
그림 4-16. 진동호 양수발전댐 246
그림 4-17. 미시령 복원 이전(상, 2007년)과 복원 이후 현재 모습(2021년) 247
그림 4-18. 미시령 지역의 재해 발생으로 인한 복구사업(2021년) 248
그림 4-19. 백두대간 등산로 조사야장 249
그림 4-20. 등산로 훼손 조사 현황 250
그림 4-21. 진부령~대간령 구간의 핵심적 경관 253
그림 4-22. 진부령~대간령 구간의 주요 훼손현황 254
그림 4-23. 단목령~조침령 구간의 주요 훼손현황 256
그림 4-24. 단목령 출입금지 안내시설과 안내센터 257
그림 4-25. 노폭의 감소 258
그림 4-26. 단목령~조침령 구간의 주요 훼손 현황 259
그림 4-27. 백두대간 안내사인 가이드라인에 맞춰 설치된 안내시설 261
그림 4-28. 기능이 상실된 안내시설 262
그림 5-1. 과업대상지 인근 자연휴양림(상; 방태산자연휴양림, 하; 하추자연휴양림) 275
그림 5-2. 과업대상지 내 주요 숲길 현황 276
그림 5-3. 조침령과 구룡령의 옛길 지도와 옛길의 의의 279
그림 5-4. 과업대상지 내 주요 옛길 현황 280
그림 6-1. 2016~2020년까지 백두대간 지역주민사업 지원현황 284
그림 6-2. 농업환경 보전프로그램 가이드라인과 관련 매뉴얼 294
부록그림목차 16
그림 1. 알프스리조트 리프트 시설 철거 303
그림 2. 알프스리조트 슬로프 308
그림 3. 알프스리조트 내 경작지와 폐건축물 308
그림 4. 알프스리조트에서 바라본 흘리마을 전경 309
그림 5. 알프스리조트 내 폐 건축물 309
그림 6. 2007년 진부령 모습(식당 이름; 부흥식당, 도로 끝 GS칼텍스 주유소) 310
그림 7. 2021년 폐주유소 모습(위 사진의 GS칼텍스 주유소)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