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1
제출문 2
연구진 3
목차 4
제I부 연구개요 11
1. 연구 목적 및 배경 13
1) 제안 배경 13
2) 제안 목적 15
3) 연구 대상 16
2. 연구 범위 19
1) 연구 개요 19
2) 대상지 개요 19
3. 연구 방법 20
1) 조사 대상 지역 환경 정보 구축 20
2) 고산생태원 조성에 필요한 산지별 식물상 및 식생 유형 현장 조사 20
3) 식생 모식도, 종 조성 등 생태조사 기법에 의한 정밀 식생조사 21
4) 토양 조사 22
5) 식물 종자 채집 22
6) 식물 생태 및 생물지리 정보 구축 23
7) 고산생태원 식재종 목록 제안 23
8) 고산생태원 주요 조성 기술과 공법 23
4. 연구의 진행 상황 24
1) 과업 연구 대상 24
2) 연구수행 추진계획 진행상황 25
제II부 문헌조사 27
1. 고산, 아고산 및 고산생태원 관련 용어 29
1) 고도에 따른 경관 변화 29
2) 고산 및 아고산 관련 용어와 개념 30
2. 백두산 식물 문헌 조사 39
3. 조사 대상지 환경 정보 39
1) 설악산 40
2) 지리산 41
3) 한라산 43
제III부 현지조사 45
1. 식물상 47
1) 설악산 47
2) 지리산 51
3) 한라산 56
2. 식물 종자 채집 62
1) 설악산 종자 채집 63
2) 지리산 종자 채집 64
3) 한라산 종자 채집 67
4) 식물 종자 활용 방안 69
3. 식물 생태 정보 구축 70
4. 토양 71
1) 고산생태원 조성 예정 부지 토양 72
2) 설악산 토양 73
3) 지리산 토양 74
4) 한라산 토양 75
5. 식생 77
1) 고산생태원 조성 예정 부지 식생 77
2) 설악산 식생 78
3) 지리산 식생 118
4) 한라산 식생 154
6. 방형구별 고산생태원 재현 공간 220
1) 설악산 220
2) 지리산 220
3) 한라산 221
7. 현지 조사 결과에 따른 고산생태원 식재 종 리스트 223
1) 백두산 223
2) 설악산 223
3) 지리산 224
4) 한라산 225
제IV부 설계 및 조성방안 227
1. 설계 및 조성방안 개요 229
2. 국립생태원 고산생태원 부지에 적합한 고산식생 유형 230
1) 고산식물의 생태 230
2) 고산식물의 특징 232
3) 고산생태원 부지에 적합한 고산식생 유형 233
4) 고산식생 유형별 식재 식물 목록 254
5) 주변 야외공간과의 조화를 감안한 조성 방안 256
6) 탐방객을 위한 전시원 조성방안 (볼거리 차원) 257
3. 선진사례 및 국제 경향을 반영한 조성 방안 259
1) 국제 트렌드를 반영한 조성 후의 활용 방안 261
2) 교육 및 홍보 극대화를 위한 조성 방안 262
3) 연구자 실험장소로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한 조성 방안 262
4) 고산생태원 추진 방안 263
4. 고산식물 생육환경에 맞는 설계 및 조성 방안 266
1) 고산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서식 공간 조성 방안 266
2) 고산생태원에 적용 가능한 공법 278
3) 기존 기반 조성 설계를 검토한 물리, 토목 측면의 방안(도면 참조) 284
5. 도입 가능한 고산식물 종 및 식재·관리·확보 방안 303
1) 현재 기술로 고산생태원에 전시할 수 있는 고산식물 종 확보 및 종류별 생육 환경 303
2) 고산식물의 식재·관리 방안 319
3) 고산식물의 번식(포기나누기, 삽목, 종자번식) 및 재배 등 관리방안 327
제V부 향후 전시·교육과 연계한 활용 방안 331
1. 식물원 333
1) 식물원의 기능 333
2) 식물원의 종류 333
3) 특수식물원의 종류 333
4) 우리나라 식물원의 역사 333
2. 국외 및 국내 식물원 내 고산식물원 또는 암석원 운영 사례 335
1) 국외 식물원 내 고산식물 또는 암석원 운영 사례 335
2) 국내 식물원 내 고산식물원 또는 암석원 운영 사례 341
3. 국립생태원 완공 후 전시와 교육 등 유기적 연계 방안 342
1) 고산생태원 생태학적 자료화 통한 조성 후 교육 연계방안 342
2) 고산생태원 생태학적 자료화 통한 조성 후 전시 연계방안 342
3) 고산생태원 생태학적 자료화 통한 조성 후 연구활동 연계방안 343
제VI부 참고문헌 347
제VII부 부록 355
1. 산지별 식물 목록 357
2. 종자 채집 목록 366
3. 종자 사진 370
4. 식물 생태 정보 구축 결과 392
5. 고산생태원 자문회의 결과 568
표 1. 특정식물 분류 기준 21
표 2. 과업 수행 추진 사항 24
표 3. 북극과 고산대 환경 차이 38
표 4. 환경생태 정보 구축을 위한 자료원 39
표 5. 설악산 방형구별 환경 정보 40
표 6. 지리산 방형구별 환경 정보 41
표 7. 한라산 방형구별 환경 정보 43
표 8. 설악산 관속식물상 47
표 9. 설악산 고유식물 목록 48
표 10. 설악산 희귀식물 목록 49
표 11. 설악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50
표 12. 지리산 관속식물상 52
표 13. 지리산 고유식물 목록 52
표 14. 지리산 희귀식물 목록 54
표 15. 지리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54
표 16. 한라산 관속식물상 56
표 17. 한라산 고유식물 목록 57
표 18. 한라산 희귀식물 목록 59
표 19. 한라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목록 60
표 20. 설악산 종자 채집 목록 63
표 21. 지리산 종자 채집 목록 65
표 22. 한라산 종자 채집 목록 67
표 23. 식물 생태 정보 예시 71
표 24. 고산생태원 조성 예정 부지 토양 조사 결과 72
표 25. 설악산 방형구 토양 조사 결과 73
표 26. 지리산 방형구 토양 조사 결과 74
표 27. 한라산 방형구 토양 조사 결과 75
표 28. 설악산 방형구 조사 결과 79
표 29. 지리산 방형구 조사 결과 119
표 30. 한라산 방형구 조사 결과 155
표 31. 설악산 방형구별 고산생태원 재현 공간 220
표 32. 지리산 방형구별 고산생태원 재현 공간 221
표 33. 한라산 방형구별 고산생태원 재현 공간 222
표 34. 백두산 식재 종 리스트 223
표 35. 설악산 식재 종 리스트 224
표 36. 지리산 식재 종 리스트 224
표 37. 한라산 식재 종 리스트 225
표 38. 고산식생 유형별 식재 식물 목록 254
표 39. 홍천 월귤 자생지 및 인근 무인기상관측소의 월평균기온 268
표 40. 토양 pH에 따른 고산식물 종류 275
표 41. 고산식물의 호습식물 및 수생식물 276
표 42. 도입 가능한 고산식물 종 목록(248속 505종) 303
표 43. 계절별 관리사항 322
표 44. 공종별 관리계획 323
표 45. 식물 관리 작업 시기 324
표 46. 전정 시기 및 내용 325
표 47. 시비 기준량 325
표 48. 식물원의 종류 333
표 49. 특수식물원의 종류 334
표 50. 우리나라 식물원의 역사 334
표 51. 영국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36
표 52. 독일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37
표 53. 스위스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38
표 54. 프랑스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38
표 55. 미국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39
표 56. 캐나다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40
표 57. 우리나라의 주요 식물원 고산생태원 관련 시설과 프로그램 341
그림 1. 고산생태원 관련 개념 모식도 16
그림 2. 연구 대상 지역 위치도 및 위성 영상 18
그림 3. 국립생태원 고산생태원 조성 예정 부지 19
그림 4. 연구의 월별 진행 과정 25
그림 5. 남부지방 산지에서의 수직적 경관 변화 30
그림 6. 산악경관의 수직적 분포 30
그림 7. 설악산 대청봉 교목한계선의 사스래나무 33
그림 8. 한라산의 솜다리 35
그림 9. 한라산 장구목의 구상나무 왜성변형수 36
그림 10. 설악산 분비나무 편형수 유형(좌)과 전경(우) 37
그림 11. 지리산 제석봉의 고사목 38
그림 12. 설악산 조사 대상지 환경 정보 41
그림 13. 지리산 조사 대상지 환경 정보 42
그림 14. 한라산 조사 대상지 환경 정보 44
그림 15. 종자 후숙 처리 과정 62
그림 16. 설악산 종자 후숙 및 건조 후 모습 63
그림 17. 지리산 종자 후숙 및 건조 후 모습 65
그림 18. 한라산 종자 후숙 및 건조 후 모습 67
그림 19. 현지 토양 채취, 실험실 토양 분석 과정 72
그림 20. 서천 토양 조사 결과 분석 73
그림 21. 설악산 토양 조사 결과 분석 74
그림 22. 지리산 토양 조사 결과 분석 75
그림 23. 한라산 토양 조사 결과 분석 76
그림 24. 고산생태원 예정 부지 식생도 77
그림 25. 고산생태원 예정 부지 전경 77
그림 26. 설악산 조사 방형구 위치도 78
그림 27. 설악산 조사 방형구 분석 79
그림 28. 설악산 방형구 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80
그림 29. 설악산 방형구 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82
그림 30. 설악산 방형구 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84
그림 31. 설악산 방형구 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86
그림 32. 설악산 방형구 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88
그림 33. 설악산 방형구 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90
그림 34. 설악산 방형구 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92
그림 35. 설악산 방형구 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94
그림 36. 설악산 방형구 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96
그림 37. 설악산 방형구 10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98
그림 38. 설악산 방형구 1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00
그림 39. 설악산 방형구 1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02
그림 40. 설악산 방형구 1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04
그림 41. 설악산 방형구 1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06
그림 42. 설악산 방형구 1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08
그림 43. 설악산 방형구 1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10
그림 44. 설악산 방형구 1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12
그림 45. 설악산 방형구 1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14
그림 46. 설악산 방형구 1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16
그림 47. 지리산 조사 방형구 위치도 118
그림 48. 지리산 조사 방형구 분석 119
그림 49. 지리산 방형구 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20
그림 50. 지리산 방형구 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22
그림 51. 지리산 방형구 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24
그림 52. 지리산 방형구 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26
그림 53. 지리산 방형구 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28
그림 54. 지리산 방형구 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30
그림 55. 지리산 방형구 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32
그림 56. 지리산 방형구 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34
그림 57. 지리산 방형구 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36
그림 58. 지리산 방형구 10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38
그림 59. 지리산 방형구 1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40
그림 60. 지리산 방형구 1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42
그림 61. 지리산 방형구 1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44
그림 62. 지리산 방형구 1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46
그림 63. 지리산 방형구 1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48
그림 64. 지리산 방형구 1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50
그림 65. 지리산 방형구 1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52
그림 66. 한라산 조사 방형구 위치도 154
그림 67. 한라산 조사 방형구 분석 156
그림 68. 한라산 방형구 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58
그림 69. 한라산 방형구 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60
그림 70. 한라산 방형구 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62
그림 71. 한라산 방형구 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64
그림 72. 한라산 방형구 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66
그림 73. 한라산 방형구 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68
그림 74. 한라산 방형구 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70
그림 75. 한라산 방형구 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72
그림 76. 한라산 방형구 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74
그림 77. 한라산 방형구 10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76
그림 78. 한라산 방형구 1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78
그림 79. 한라산 방형구 1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80
그림 80. 한라산 방형구 1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82
그림 81. 한라산 방형구 1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84
그림 82. 한라산 방형구 1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86
그림 83. 한라산 방형구 1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88
그림 84. 한라산 방형구 1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90
그림 85. 한라산 방형구 1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92
그림 86. 한라산 방형구 1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94
그림 87. 한라산 방형구 20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96
그림 88. 한라산 방형구 2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198
그림 89. 한라산 방형구 22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00
그림 90. 한라산 방형구 23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02
그림 91. 한라산 방형구 24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04
그림 92. 한라산 방형구 25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06
그림 93. 한라산 방형구 26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08
그림 94. 한라산 방형구 27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10
그림 95. 한라산 방형구 28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12
그림 96. 한라산 방형구 29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14
그림 97. 한라산 방형구 30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16
그림 98. 한라산 방형구 31의 수관투영도 및 층위구조도 218
그림 99. 고산식물의 조사·수집 전경 230
그림 100. 백두산 고산지대 전경 고산 초원(좌)와 고산 암석퇴적지(우) 231
그림 101. 촘촘히 붙어난 고산식물의 잎(평강식물원) 232
그림 102. 지면 근처에서 생육하는 고산식물 카페트형(좌) 로제트형(우) 233
그림 103. 고산 암석퇴적지의 털진달래군락(한라산 1,700m) 235
그림 104. 백두산의 하늘매발톱 군락 237
그림 105. 영국 위슬리가든의 고산 초원(Apine Meadow Garden) 239
그림 106. 한라산의 털진달래 군락 241
그림 107. 중간습원의 황새풀 244
그림 108. 고층습원의 물이끼와 끈끈이주걱 245
그림 109. 평강식물원에 조성된 고산습원(Alpine Bog) 246
그림 110. 평강식물원에 조성된 습지림(황철나무, 만주자작, 버드나무류, 오리나무 등) 248
그림 111. 고산성 침엽수림(구상나무림) 249
그림 112. 고산성 산림 하층 식생 250
그림 113. 수직적 식생대 변화 모식도 253
그림 114. 주빙하성 지형 조성 지역 구조토 모식도 253
그림 115. 경기도 포천 평강식물원 전경 259
그림 116. 진귀한 고산성 야생화가 피는 큐 가든(좌, 중), 위슬리 가든(우) 259
그림 117. 영국 큐 가든의 과거 석회암으로 만든 암석원(1930년대에 현재의 사암 암석원으로 재조성 됨) 260
그림 118. 국립수목원의 고산성 희귀 및 특산식물원 조성 사례 267
그림 119. 평강식물원 풍혈 원리 이용 표토 및 전경 269
그림 120. 강원도립화목원 풍혈 원리 적용 사례 270
그림 121. 완도수목원 풍혈 적용 모식도 270
그림 122. 완도수목원 풍혈 원리 적용 사례 271
그림 123. 고산식물 식재 후 마사로 멀칭한 모습 272
그림 124. 인공 안개 발생 장치 모식도 274
그림 125. 차폐(돌담) 통해 건조한 바람과 강한 햇빛 차단 277
그림 126. 큐 가든의 담장 차폐 277
그림 127. 기온 및 습도 모니터링 감지 및 쿨링 파이프 및 관수용 배관 평면도 279
그림 128. 인공풍혈 조성 단면과 관련 시스템 구성 280
그림 129. 냉습풍 공급 장치 평면계획 281
그림 130. 냉습풍 공급 장치 평면계획 282
그림 131. 식생 공간 구성 285
그림 132. 식재기반 조성 계획 287
그림 133. 유공관 매설 계획 289
그림 134. 지형 조성 및 동선 계획 291
그림 135. 관수 계획 293
그림 136. 지중전력망 매설 계획 295
그림 137. 지중냉풍장치 공급 지역 297
그림 138.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I 299
그림 139.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II 299
그림 140.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III 300
그림 141.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IV 300
그림 142.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V 301
그림 143.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VI 301
그림 144.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VII 302
그림 145. 식재기반 조성 단면도 VIII 302
그림 146. 고산식물을 식재하는 모습 322
그림 147. 영국 큐 가든 고산식물 온실 예전시설(좌) 현재시설(우) 336
그림 148. 독일 뮌헨식물원의 고산식물원 337
그림 149. 평강식물원 고산식물 유리온실 344
그림 150. 평강식물원 고산식물 전시포트 344
그림 151. 평강식물원 고산식물원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