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주 섬’의 역사로 다가가기 위한 이론의 우회7다원화된 개인들의 이질적 공존 ▣ 김진선17Ⅰ. 머리말17Ⅱ. 타자 인정과 공동체적 인식20Ⅲ. 다원화 사회의 차이 인식24Ⅳ. 이질적 관계-공존의 공간 인식 28Ⅴ. 맺음말32동질성의 신화와 이질성의 현실에서 함께 산다는 것은 ▣ 김준표37Ⅰ. 머리말: 경계와 이동37Ⅱ. 동질과 이질, 전통문화의 이질성과 다문화 현상42Ⅲ. 이질성의 만남과 함께 산다는 것48Ⅳ. 한국사회 종교전통들과 이질성의 만남 그리고 초월의 문제53Ⅴ. 맺음말: 함께 산다는 것, 이질 구성들의 수행성62장소와 공간을 따라 읽는 고려인의 삶과 문학 ▣ 임형모65Ⅰ. 머리말: ‘관심의 장’의 전이와 고향 공간65Ⅱ. 집단이주와 낯선 장소와의 대면69Ⅲ. 카자흐스탄의 고향 공간74Ⅳ. 우즈베키스탄의 고향 공간83Ⅴ. 맺음말: 돌아오지 않을 권리87독일 다문화 사회의 터키인 이주와 커뮤니티의 형성 ▣ 박재영91Ⅰ. 머리말91Ⅱ. 터키인의 독일 이주94Ⅲ. 독일 사회에서 터키인 공동체103Ⅳ. 맺음말109아프리카의 정치적 위기와 강제이주민 ▣ 김동석111Ⅰ. 머리말111Ⅱ. 강제이주민 개념 정의112Ⅲ. 아프리카 강제이주민 현황112Ⅳ. 아프리카 정치적 위기116Ⅴ. 맺음말: 한국에의 함의125‘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타자의 이름, ‘난민’ ▣ 서영표127Ⅰ. 머리말: 난민, 이주와 이동에 부여된 ‘낯선’ 이름127Ⅱ. 난민을 만드는 세상, 난민을 적으로 규정하는 세계130Ⅲ. 우리 모두가 난민이다!133Ⅳ. 난민 ‘문제’와 마주한 한국135Ⅴ. 유적 존재, 인권, 그리고 난민142Ⅵ. 맺음말: 근대성 넘어 새로운 합리성145혐오를 중심으로 본 유가 도덕 감정론 ▣ 김치완149Ⅰ. 머리말: 혐오의 일상화와 도덕 감정론149Ⅱ. 난민혐오로 보는 혐오의 양상151Ⅲ. 인지주의 감정론과 맹자 심설157Ⅳ. 사칠논쟁과 감정의 공적 전환163Ⅴ. 맺음말: 혐오에 대한 유가적 해결 방안168주 석172초출일람198참고문헌199찾아보기212필자소개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