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장 인간과 해양, 그리고 해양학1 해양학은 바다와 대양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2 대양은 얼마나 넓고 깊을까? 3 해양 과학 탐사는 언제 시작되었나? 4 바다로 먼저 나간 국가가 패권을 차지했다고? 5 기후 위기 시대, 해양 과학이 중요한 이유는? 해양 탐구의 역사 2장 바다와 대양 탐사6 해양을 탐사하려면 꼭 바다로 가야 할까? 7 심해를 탐사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8 심해에도 생물이 살고 있을까? 9 물속에서는 음파를 이용한 탐사를 한다고? 심해의 진짜 주인들 3장 해양을 채우는 물, 해수10 다 똑같은 바닷물이 아니라고? 11 대서양 바닷물보다 태평양 바닷물이 덜 짤까? 12 어떤 해수가 무겁고, 어떤 해수가 가벼울까? 13 바닷물의 수온이나 염분이 달라지는 이유는? 14 빙하가 만들어지면 왜 심층 해수가 만들어질까? 15 깊은 곳의 해수가 표면으로 솟구치는 이유는? 4장 해수의 움직임, 해류와 순환16 오리 인형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된 이유는? 17 해류를 만드는 원동력은? 18 해수에는 어떤 힘들이 작용하나? 19 바닷물도 나이가 있다고? 20 동해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할까? 21 동해 심해 바닷물의 나이는? 5장 해양의 리듬, 조석과 파랑22 바다에도 규칙적인 맥박이 있다고? 23 바닷물 수위는 얼마나 오르내릴까? 24 이순신 장군이 명량 해전에서 승리한 까닭은? 25 비바람 없는 날에도 거친 바다를 볼 수 있을까? 26 깊은 바닷속에는 파도가 없을까? 27 쓰나미가 오면 먼바다로 도망가라고? 명량 해전 속 해양학 6장 해양 오염과 해양 자원28 시추 파이프에서 기름이 새어 나왔다고? 29 태평양 거대 쓰레기 섬을 어떻게 없앨까? 30 바닷속에는 어떤 자원이 있을까? 31 심해저 광물 자원을 개발한다고? 딥워터 호라이즌호 사고 7장 해양과 기후32 지구 온난화로 해수의 수온도 오르고 있을까? 33 기후 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는 이유는? 34 바닷물은 산성일까, 염기성일까? 35 해양 생물은 기후가 바뀌어도 괜찮을까? 36 바닷속 미세한 움직임이 거대한 순환을 좌우한다고? 37 해양이 기후 조절자로 불리게 된 이유는? 38 바다는 어떻게 태풍을 조절할까? 39 극심한 한파도 결국 바다 때문이라고? 40 남극에 ‘운명의 날 빙하’가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