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 제언 4
1장 서론 16
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7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7
2. 연구 목적 및 기대효과 20
2절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 22
1. 연구방법 22
2장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이론적 논의와 추진현황 23
1절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이론적 논의 24
1. 시민문화공간의 개념과 유형 24
2. 전통문화의 가치와 의미 26
2절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추진과정 27
1. 구상 및 타당성 검토 27
2. 지원 및 재정투자 검토 33
3. 건립 및 운영 계획수립 35
3절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시설현황 38
1. 개요 38
2. 시설 현황 41
3. 시설 운영 및 조직 구성 46
4절 시사점과 분석 51
3장 종교와 전통문화공간 사례조사 52
1절 종교문화를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53
1. 성불사 전통문화체험관 54
2. 전주 기독교 근대역사기념관 56
3. 신리성지 58
4. 한국유교문화진흥원 59
5. 원불교 역사박물관 62
6. 동학발상지 성역화 사업 64
2절 전통문화체험관 66
1. 옥천전통문화체험관 66
2. 영동국악체험촌 69
3. 부산전통문화체험관 72
4. 천지인 전통사상체험관 74
5. 전통문화콘텐츠박물관 75
4장 질적ㆍ양적 자료의 수집과 분석 77
1절 질적 연구방법의로서 간담회, FGI 78
1. 지역예술인 간담회 78
2. 전문가 FGI 및 자문위원회 79
2절 양적 연구방법으로서 설문조사 81
1. 연구방법 81
2. 분석결과 84
3. 분석결과에 대한 소결 97
5장 시민문화공간으로서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기본구상 100
1절 비전과 기본방향 101
1. 비전 102
2. 기본방향의 세 가지 조건 103
2절 추진전략 104
3절 콘텐츠 구상 106
1. 명칭 구상 106
2. 추진전략에 따른 콘텐츠 108
4절 장기적 로드맵 117
6장 결론 119
1절 연구결과의 종합 120
1. 제3의 공간이자,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세종전통문화체험관 120
2. 한국의 종교와 전통을 콘텐츠화한 공간 121
3. 전통문화체험관과 관련한 전문가, 예술가들의 견해 121
4. 설문조사를 통해 본 시민들의 인식 122
5.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기본구상 122
2절 정책 건의 124
1. (단기) 자문ㆍ협력기구로서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함 124
2. (단기) 은행나무 역사공원과 연계를 통한 콘텐츠 제안 124
3. (단기) 적극적인 홍보방안 수립이 필요함 125
참고문헌 126
[부록] 설문지 128
판권기 3
[표 1-1] 종교문화시설 건립 현황 및 위치 19
[표 2-1] 복합문화공간의 유형 25
[표 2-2]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사업추진절차 및 계획 28
[표 2-3]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추진 경위 및 지원 검토 배경 34
[표 2-4]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건립사업 추진경과 36
[표 2-5]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시설개요 37
[표 2-6]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주요 공간 운영 및 프로그램(안) 42
[표 2-7]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운영 계획(안) ① 문화 공간 활용 46
[표 2-8]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운영 계획(안) ③ 홍보 및 마케팅 47
[표 2-9]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직 구성(안) 48
[표 3-1] 종교문화를 활용한 체험관 등 콘텐츠 구성 내용 54
[표 3-2] 전통문화를 활용한 체험관 등 콘텐츠 구성 내용 66
[표 4-1] 전문가 FGI 개요 79
[표 4-2]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관련 설문조사 겨요 81
[표 4-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84
[표 4-4] 측정모델에 대한 CFA 및 신뢰도분석 결과 86
[표 4-5] 측정모델에 대한 판별타당성 검증 결과 87
[표 4-6] 측정모델의 구성개념 간 영향관계 검증과 영향령 크기 비교 88
[표 4-7] 중요성과 필요성 간 차이 비교 90
[표 4-8] 체험관 프로그램 구성 시 체험 요소 선호 순위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91
[표 4-9] 기대/예상과 선호도 간 차이 비교 92
[표 4-10]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성 인지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93
[표 4-11] 연령별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성 인지에 대한 응답 분포 결과 93
[표 4-12] 거주지별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성 인지에 대한 응답 분포 결과 94
[표 4-13]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성에 대한 인지별 행동의도 평균 차이 95
[표 4-14]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성 인지별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집단분석 결과 96
[그림 1-1] 자료수집 방안 22
[그림 2-1]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기본개념도 32
[그림 2-2]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운영조직도(안) 32
[그림 2-3]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위치도 38
[그림 2-4]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조감도 및 배치도 39
[그림 2-5]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개관식 현장(2022.08.09) 40
[그림 2-6] 세종전통문화체험관 공간 개요 41
[그림 2-7]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외부 전경 43
[그림 2-8] 세종전통문화체험관 지하 2층 전통예술체험실 49
[그림 2-9] 세종전통문화체험관 1층 로비라운지(좌), 어린이 열람실(우) 49
[그림 2-10] 세종전통문화체험관 1층 다목적실(좌), 전통문화홍보관(우) 49
[그림 2-11] 세종전통문화체험관 1층 상설전시실 50
[그림 2-12] 세종전통문화체험관 2층 사찰음식 체험장 50
[그림 2-13] 세종전통문화체험관 3층 명상체험장(좌), 다도실(우) 50
[그림 3-1] 성불사 전통문화체험관 외부 55
[그림 3-2] 성불사 전통문화체험관 위치도 56
[그림 3-3] 전주기독교역사기념과 전경 57
[그림 3-4] 전주 서문교회(좌), 전주 예수병원(우) 57
[그림 3-5] 신리성지 전경(좌), 버그네 순례길(우) 59
[그림 3-6]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입구 60
[그림 3-7] 계단서가 61
[그림 3-8] 원불교 역사박물관 인근(좌), 역사박물관 내 구조도(우) 63
[그림 3-9] 성역화 사업 종합계획도(좌), 최재우 선생 생가 조감도(우) 64
[그림 3-10] 옥천전통문화체험 조감도 67
[그림 3-11] 정지용문학관(좌), 옥천향교(우) 67
[그림 3-12] 교통생태습지 68
[그림 3-13] 영동국악체험촌 심벌마크 69
[그림 3-14] 영동국악체험촌 조감도 70
[그림 3-15] 난계국악박물과 입구(좌), 난계국악제작촌(우) 71
[그림 3-16] 부산전통문화체험관 조감도 72
[그림 3-17] 구덕문화공권 야외미술관(치유의방-하석원) 73
[그림 3-18] 천지인 전통사상체험관 전경 74
[그림 3-19] 전통문화콘텐츠박물과 전경 76
[그림 4-1] IP Matrix(중요성-필요성) 90
[그림 4-2] IP Matrix(기대/예상-선호도) 92
[그림 5-1] 비전 도출 과정 101
[그림 5-2] 비전 102
[그림 5-3] 명칭 구상 106
[그림 5-4] 한국의 집 내부 107
[그림 5-5] 추진전략에 따른 콘텐츠 108
[그림 5-6] 세종전통문화체험관-지역 내 연계기관 네트워크 110
[그림 5-7] 공론장 사례 110
[그림 5-8] 테마길 사례 111
[그림 5-9] 세종전통문화체험관 테마 둘레길의 제안 112
[그림 5-10] 세종둘레길 종합안내(좌), 은행나무 역사공원(우) 113
[그림 5-11] 전월산 정상부 주변 상여바위(좌), 며느리바위(우) 113
[그림 5-12] 전월산 정상부 주변 용샘과 버드나무(좌), 구전설화 안내판(우) 113
[그림 5-13] 원수산 산신각(좌)/원수산 산신제 제문(우, 연기향토박물관 소장) 114
[그림 5-14] 유교랜드에 구현되어 있는 청년선비 콘텐츠 114
[그림 5-15] 유교랜드 외부 전경(좌), 내부 콘텐츠(우) 115
[그림 5-16] 엘 카페 데 라스 몬하스(좌), 카페 대건을 그리다(우) 118
[그림 5-17] 단계별 로드맵 118
[그림 6-1]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은행나무역사공원간 도보길 조성 제안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