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판 머리말 3머리말 5Chapter_1 미술교육의 목적과 목표 151. 미술교육의 목적 171) 미적 안목 육성·17 / 2) 창의성 계발·183) 시지각의 계발·19 / 4) 시각적 문해력 육성·215) 감성의 함양·222. 미술교육의 목표 231) 미술교육자들의 견해·23 / 2) 구성주의 학자들의 견해·243) 창의·인성과 융합인재 교육적 견해·27 / 4) 미술과 교육 목표·31Chapter_2 미술교육사조의 변천 39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411)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의 미술교육·412) 산업혁명 시기의 미술교육·433) 바우하우스·44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473. 학문 중심 미술교육 494. 시각문화 미술교육 531) 시각문화의 이해·532)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목표와 방법·555. 다문화 미술교육 581) 다문화 교육·58 / 2) 다문화 미술교육·61Chapter_3 어린이 미술의 이해 671. 어린이 미술을 보는 관점 691) 인지발달 관점·70 / 2) 지각발달 관점·733) 정신분석적(psychoanalytic) 관점·78 / 4) 사회문화적 관점·812. 미술표현 발달 단계 861) 로웬펠드의 단계·86 / 2) 허위츠와 데이의 단계·95Chapter_4 미술과 교육과정 1011.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031) 교육과정의 개념·103 / 2) 교육과정의 분류·1053) 교육과정의 유형·1092.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112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113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1233)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129Chapter_5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1351. 미술 교수-학습의 특성 1372. 미술 학습의 원리와 발상 전략 1381) 미술 학습의 원리·138 / 2) 창의적 발상 전략·1443. 미술과 교수-학습의 모형 1491) 귀납적 사고법·149 / 2) 직접 교수법·151 / 3) 창의적 문제 해결법·1524) 반응 중심 학습법·153 / 5) 펠드만의 비평 모형·1556) 앤더슨의 미술 비평 모형·156 / 7) 프로젝트 학습 모형·159Chapter_6 미술과 교수-학습 설계 1671. 학습 목표의 의미 1692. 학습 목표의 진술 1703. 미술과 학습 목표의 설정과 진술 1731) 미술과 행동적 진술 용어·173 / 2) 학습목표와 학습문제의 진술의 예·1754. 학습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1771) 체험·177 / 2) 표현·177 / 3) 감상·1785. 미술과 교수-학습의 설계 1791) 교수-학습 설계의 필요성과 고려 사항·179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180Chapter_7 미적 체험교육 1931. 미학과 미술교육 1951) 미학의 개념과 미술교육에서 의미·195 / 2) 예술론·1982. 미적 체험의 미술교육적 함의 2051) 미적 체험에서 미적 태도·205 / 2) 듀이의 미적 체험·2073.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 2101)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2102) 미적 지각을 통한 사고력 교육·212Chapter_8 회화·조소 교육 2211. 조형 요소와 원리 2231) 조형 요소·223 / 2) 조형 원리·2282. 드로잉 교육 2301) 드로잉 교육의 의의·230 / 2) 드로잉 교육의 종류·2313) 드로잉 교육의 내용·2323. 회화 교육 2331) 회화 교육의 의의·233 / 2) 회화 교육의 종류·2343) 회화 교육의 내용·2374. 한국화 교육 2391) 한국화 교육의 의의·239 / 2) 한국화 교육의 종류·2403) 한국화 교육의 내용·2445. 판화(printmaking) 교육 2491) 판화 교육의 의의·249 / 2) 판화 교육의 종류·2503) 판화 교육의 내용·2526. 조소 교육 2531) 조소 교육의 의의·253 / 2) 조소 교육의 종류·2543) 조소 교육의 내용·255Chapter_9 디자인, 공예, 서예, 영상 미술교육 2631. 디자인 교육 2651) 디자인 교육의 의의·265 / 2) 디자인의 종류·2663) 디자인 교육의 내용·2672. 공예 교육 2691) 공예 교육의 의의·269 / 2) 공예의 종류·2703) 공예 교육의 내용·2723. 서예 교육 2741) 서예 교육의 의의·274 / 2) 서체와 서예도구·2753) 서예 교육의 내용·2764. 영상 미술교육 2771) 영상 미술교육의 의의·277 / 2) 영상 미술의 종류·2783) 영상 미술교육의 지도 내용·279Chapter_10 미술사 교육 2851. 미술사 교육의 의의 2872. 교육과정에서 미술사 교육 2881) 2009 개정 교육과정·288 / 2) 2015 개정 교육과정·2913) 2022 개정 교육과정·2933. 한국 미술사 2951) 선사 시대 미술·295 / 2) 삼국 시대 미술·2963) 통일 신라 시대 미술·2974) 고려 시대 미술·297 / 5) 조선 시대 미술·2986) 근대 미술·299 / 7) 현대 미술·2994. 서양 미술사 3001) 선사 시대 미술·300 / 2) 고대 미술·3003) 중세 미술·301 / 4) 르네상스 미술·3025) 바로크·로코코 미술·303 / 6) 근대 미술(19세기 미술)·3047) 현대 미술·307Chapter_11 미술 감상학습에서 발문 3151. 미술 감상의 관점 3181) 기호학적 측면·318 / 2) 미학적 측면·3213) 사회·문화적 측면·3242. 미술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과 발문 3251) 발문의 목적·325 / 2) 발문의 기술·3263)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327 / 4) 발문의 실례·332Chapter_12 미술관과 교육 3411. 미술관의 역사 3431) 미술관의 의미·343 / 2) 미술관의 역사·3442. 온라인 미술관 3471) 온라인 미술관의 개념·347 / 2) 온라인 미술관의 전시 유형·3493) 온라인 미술관의 특성·349 / 4) 주요 온라인 미술관·3505) 온라인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3533. 미술관 학습 방안 3541) 사전 학습·354 / 2) 현장 학습·3563) 사후 학습·3584. 미술관 교육 방향·362Chapter_13 미술교육의 평가 3691.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개념과 특성 3711) 평가의 개념·371 / 2) 미술과 평가의 특성·3732.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목표와 내용 3761) 평가의 목표·376 / 2) 평가의 내용·3783. 교육과정과 평가 3871) 국가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3872)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3894.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 3921) 과정중심평가의 개념·392 / 2)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394Chapter_14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와 방향 4031.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 4051) 미술과에 대한 편견의 극복·4052) 다양한 미술 교수 방법의 개발·4082.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방향 410부록: 미술과 교육과정일러두기 417미술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4191. 성격 및 목표 421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4233. 교수·학습 및 평가 440찾아보기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