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01글로벌 빈곤, 지속가능성, 국제개발협력 한상일Ⅰ. 빈곤의 개념과 유형 31. 글로벌 빈곤의 중요성과 빈곤의 유형/32. 절대적·상대적·주관적 빈곤/53. 기본적 욕구 결핍으로서의 빈곤/114. 물질적 결핍과 역량의 부족으로서의 빈곤/145. 실업과 열악한 공공서비스 접근성으로서의 빈곤/166. 다차원 빈곤 척도/16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국제개발협력 191. 국제개발협력의 역사적 발전/192.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글로벌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22Chapter02글로벌 빈곤과 불평등의 이해 조인영Ⅰ. 들어가며 27Ⅱ. 빈곤의 현황 28Ⅲ. 불평등의 개념과 측정 301. 소득불평등/312. 불평등의 측정/313. 세전소득불평등과 세후소득불평등 개념의 이해/334. 세계 최빈국의 불평등 현황/34Ⅳ. 불평등과 빈곤의 원인 371. 불평등과 빈곤의 관계/372. 빈곤과 불평등의 원인: 정치와 경제/383. 불평등의 원인과 격차에 대한 선행연구/40Ⅴ.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제도적, 역사적 시사점 441.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제도적 시사점/442. 저개발국가의 불평등과 빈곤 해결을 위한 역사적 시사점: 한국 및 라틴아메리카/47Ⅵ. 결론 49Chapter03글로벌 빈곤과 건강 이서현Ⅰ. 건강과 질병, 그리고 빈곤 551. 건강을 정의하기/552. 국제질병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현황/593. 빈곤의 질병/62Ⅱ. 질병을 이해하는 세 가지 접근법 641. 생의학적(Biomedical) 접근/642. 행동/생활방식(Lifestyle) 접근/66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68Ⅲ. 빈곤국의 건강문제, 그 대안 찾기 721. 모자보건 사례/722. 생의학적 접근에 따른 대안/743. 행동/생활방식 접근에 따른 대안/754.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따른 대안/77Chapter04글로벌 빈곤과 교육 장인철Ⅰ. 글로벌 빈곤과 교육격차의 상관관계 851. 교육을 통한 글로벌 빈곤퇴치/852. 교육격차 측정의 세 가지 유형/86Ⅱ.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 941. 인간의 기본권으로서의 교육/942.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육/973.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103Chapter05글로벌 빈곤과 국제개발협력: 한국과 아프리카 조준화Ⅰ. 글로벌 빈곤과 아프리카 111Ⅱ.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및 개발협력 관계 1131. 2000년대 이전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역사/1132. 2000년대 이후/1183.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체계/122Ⅲ. 한국과 콩고 민주공화국 125Ⅳ. 한국과 르완다 129Ⅴ. 결론 131Chapter06글로벌 빈곤과 사회적 자본 한상일Ⅰ. 사회적 자본의 개념 1371. 사회적 자본이란?/1382. 경제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03. 사회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14. 정치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35. 사회과학에서의 사회적 자본/143Ⅱ.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효과 1441. 사회적 자본의 유형1: 구조적·인지적·관계적 사회적 자본/1442. 사회적 자본의 유형2: 결속형, 교량형, 연계형 사회적 자본/1453. 거시적 수준의 사회적 자본/1474. 사회적 자본의 효과/148Ⅲ. 아프리카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빈곤의 관계 1491. 사회적 자본과 결핍으로서의 빈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1502. 사회적 자본과 자유가 박탈된 정도로서의 빈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1583. 사회적 자본과 재난과 불안/1624. 사회적 자본과 정보접근성/1675. 아프리카의 사회적 자본과 빈곤의 관계 분석 요약/1686. 사회적 자본과 글로벌 빈곤 극복을 위한 순환구조의 중요성/169Chapter07국제개발협력과 사회적 경제 정무권Ⅰ. 서론 175Ⅱ.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 변화와 최근 동향 1761. ‘개발’, ‘발전’ 의미/1772.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의 변화/179Ⅲ. 사회적 경제의 개념화와 글로벌 사회에서의 사회적 경제의 성장 1881. 사회적 경제의 개념화/1882. 글로벌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의 성장 동향/193Ⅳ.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사회적 경제의 새로운 역할 1971. 국제개발협력의 최근 패러다임인 포스트개발주의와 사회적 경제의 가치와 목적의 상호 부합성/1972. UN의 지속가능한발전(SDGs)의 패러다임에 부합/1983. 국제개발협력의 글로컬화 전략으로서 SDGs의 지역화와 사회적 경제의 역할/205Ⅴ. 결론: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 경제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 한국형 국제개발협력 모델의 하나로 2121.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적 경제 접근법의 한계와 극복 방향/2122. 사회적 경제의 한국형 국제개발협력 모델의 하나로서 가능성/214부록찾아보기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