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6

Ⅰ. 서론 1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0

가. 연구의 필요성 20

나. 연구의 목적 24

2. 연구 내용 28

가.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의 특성 및 교수학습 관련 이슈 분석 28

나.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이론 탐구 29

다.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 30

라.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타당화 및 정책방안 제시 31

3. 연구 방법 32

가. 문헌 분석 32

나. 사례 조사 33

다. 전문가협의회 33

라. 중등 교사 워킹그룹 운영 34

마. 모델 타당화 35

바. 모델 사용성 평가: 글로벌 연구 회의/워크숍 개최 37

Ⅱ.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의 특성 39

1.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의 현황 및 이슈 40

가. 중등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실천의 방식 40

나. 중등 인문교양교육 실행 사례 및 교수학습 특성 47

다. 중등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관련 이슈 51

2. 인문교양교육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구성요소 54

가. 인문교양교육적 교수학습을 위한 사유 54

나. 인문교양교육적 교수학습을 위한 행위 69

3.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의 방향성 86

가.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실태로부터의 시사점 86

나. 인문교양교육적 사유와 행위의 준거틀로서 '보편적 인간 가치'의 활용 89

Ⅲ.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이론 94

1. 교수학습 이론 및 모델 탐색 95

가. 전통적 교수학습 이론 및 모델 95

나. 테크놀로지 활용형 교수학습 모델 100

다. 인문교양교육 실천에 유용한 교수학습 모델 103

2. 인문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델의 특성 114

가. 교수학습 이론 및 모델 탐색으로부터의 시사점 114

나.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을 위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역할 117

Ⅳ.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 123

1. 모델 개발의 과정 124

가. 전체적 모델 개발 절차 124

나. 모델 개발의 주요 과정 및 특징 126

2. 모델의 개념틀: 구성요소 및 작동 원리 140

가. 모델의 개념틀 및 구성요소 140

나. 모델의 작동원리 148

3. 모델의 실행 방식 153

Ⅴ.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타당화 및 최종 모델 160

1. 모델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실시 162

가. 1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2

나. 2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5

다. 3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8

2. 모델에 대한 사용성 평가 171

3. 최종 모델 및 적용 사례 180

Ⅵ.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182

1. 모델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 183

가.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증진을 위한 체계적 연구 지원 184

나. 중등 교원 인문교양교육 역량 강화 연수 개설 및 운영 188

다.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활성화를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 193

2. 연구의 제한점 198

참고문헌 202

ABSTRACT 228

[부록 1] 모델 적용 사례: 국어과 교수학습지도안(영문) 241

[부록 2] 모델 적용 사례: 과학과 교수학습지도안(영문) 255

[부록 3] 모델 적용 사례: 수학과 교수학습지도안(영문) 268

[부록 4]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타당화 조사 설문도구 279

판권기 295

〈표 Ⅰ-1〉 전문가협의회 대상 및 논의 사항(안) 33

〈표 Ⅰ-2〉 중등 교사 워킹그룹 운영 방안 35

〈표 Ⅰ-3〉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전문가 패널 개요 35

〈표 Ⅰ-4〉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타당화 절차 36

〈표 Ⅰ-5〉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사용성 평가를 위한 글로벌 회의/워크숍 실시 계획 38

〈표 Ⅱ-1〉 인문교양교육의 핵심요소와 하위 구성 요소 40

〈표 Ⅱ-2〉 고등학교 '교양 교과'의 과목별 교육 목표 및 교수학습 방법 45

〈표 Ⅱ-3〉 서울시 자유교양과정 교과목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48

〈표 Ⅱ-4〉 비판적 사고의 하위 요소 56

〈표 Ⅱ-5〉 인간의 고차적 사고 기능 58

〈표 Ⅱ-6〉 토의와 토론의 차이 71

〈표 Ⅱ-7〉 인간 삶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10가지의 '보편적 인간 가치' 92

〈표 Ⅲ-1〉 행동주의 주요 이론 96

〈표 Ⅲ-2〉 인지주의 주요 이론 97

〈표 Ⅲ-3〉 구성주의 주요 이론 98

〈표 Ⅲ-4〉 교수학습 이론 비교 99

〈표 Ⅲ-5〉 전통적 교수학습 모델 99

〈표 Ⅲ-6〉 교수매체와 자원 비교 101

〈표 Ⅲ-7〉 테크놀로지 활용형 교수학습 모델 102

〈표 Ⅲ-8〉 프로젝트 학습 절차 104

〈표 Ⅲ-9〉 문제 중심 학습의 절차 106

〈표 Ⅲ-10〉 플립러닝의 절차 108

〈표 Ⅲ-11〉 메타버스의 교육적 시사점 109

〈표 Ⅲ-12〉 아이디오(IDEO)의 5단계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 112

〈표 Ⅲ-13〉 최근 교수학습 모델의 특징 116

〈표 Ⅲ-14〉 학습자의 경험이 형성되는 3가지 방식 120

〈표 Ⅳ-1〉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발을 위해 분석된 문헌 주제 및 사례 126

〈표 Ⅳ-2〉 교사워킹그룹(TWG) 주요 활동 내역 127

〈표 Ⅳ-3〉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145

〈표 Ⅴ-1〉 내적 타당화 과정 요약 162

〈표 Ⅴ-2〉 모델 개발 과정 및 구성요소에 대한 1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2

〈표 Ⅴ-3〉 초기 모델의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개선 사항 165

〈표 Ⅴ-4〉 모델 및 구성요소에 대한 2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6

〈표 Ⅴ-5〉 수정 모델의 방향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168

〈표 Ⅴ-6〉 최종 모델에 대한 3차 전문가 타당화 결과 169

〈표 Ⅴ-7〉 최종 모델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개선사항 170

〈표 Ⅴ-8〉 전문가 타당화에서 제안된 개선사항 종합(1차~3차) 171

〈표 Ⅴ-9〉 최종 모델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172

〈표 Ⅴ-10〉 사용성 평가: 모델에 대한 평가 173

〈표 Ⅴ-11〉 사용성 평가: 구성요소와 상세지침에 대한 평가 175

〈표 Ⅴ-12〉 다양한 교과에서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을 설계하기 어려운 이유 177

〈표 Ⅴ-13〉 글로벌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보완점 178

〈표 Ⅴ-14〉 사용성 평가에서 제안된 주요 개선사항 180

〈표 Ⅵ-1〉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지원 내용 186

〈표 Ⅵ-2〉 중등 인문교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의 예시 187

〈표 Ⅵ-3〉 기존 인문교양교육 교원 연수 과정의 장, 단점 188

〈표 Ⅵ-4〉 교원 연수 주제별 연수과정: 인문교양교육 내용 포함 예시 191

〈표 Ⅵ-5〉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활성화를 위한 UNESCO 유관 글로벌 네트워크 및 교육센터 연계ㆍ활용 방안 예시 196

[그림 Ⅰ-1]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모델 개발 및 확산을 위한 5개년 중장기 연구 계획 23

[그림 Ⅰ-2]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의 작동원리 26

[그림 Ⅰ-3]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모델 개발 및 타당화의 방법 및 절차 38

[그림 Ⅲ-1] STEAM 교수학습 준거 113

[그림 Ⅲ-2] 학습자와 학습에 대한 관점의 변화 116

[그림 Ⅳ-1] 모델 개발 절차별 과업 및 추진 일정 125

[그림 Ⅳ-2]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모델: 보물섬을 찾아가는 항해로의 비유 140

[그림 Ⅳ-3]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개념틀 142

[그림 Ⅳ-4]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학교 교육과정 146

[그림 Ⅳ-5]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학습자의 경험 147

[그림 Ⅳ-6]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보편적 인간 가치 147

[그림 Ⅳ-7]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사유 148

[그림 Ⅳ-8]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요소: 행위 148

[그림 Ⅳ-9]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의 과정 비교 151

[그림 Ⅳ-10]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구성요소 1. 학교 교육과정 154

[그림 Ⅳ-11]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구성요소 2. 학습자의 경험 155

[그림 Ⅳ-12]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구성요소 3. 보편적 인간 가치 155

[그림 Ⅳ-13]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구성요소 4. 사유 156

[그림 Ⅳ-14]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구성요소 5. 행위 157

[그림 Ⅳ-15]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의 구성 체계: 5가지 구성요소 158

[그림 Ⅳ-16]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교수학습 모델: 모듈식 구성 체계의 적용 159

[그림 Ⅵ-1] 중등 글로벌 인문교양교육 중장기 연구 지원 계획(안): 2023~2030 185

[그림 Ⅵ-2] OECD의 '학습 나침반 2030'과 UNESCO의 '함께 그려보는 우리의 미래' 195

[그림 Ⅵ-3] 서전고-이토시마고 온라인협약식(2022. 10. 28.)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