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기술이 아니라 감각으로 승부하라

1/7 SENSITIVITY: 차이는 숫자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어떤 달력을 좋아하시나요?
수치를 분석하면 잘할까?
지식이 많으면 잘할까?
트렌드를 알면 잘할까?
금융 지능, 감성 지능, 그리고 이제 감각 지능
당신에게 브랜드란 무엇인가
출신 성분이 중요했던 디자이너의 시대
콘셉트가 중요해진 디렉터의 시대
모두가 각자의 창작물을 생산하는 크리에이터의 시대
온전히 당신의 생각으로, 온전히 당신이 만든 것

2/7 CULTURE: 브랜드로 자신을 설명하는 사람들
나는 내가 소비한 브랜드의 총합이다
대중의 취향을 반영해야 한다는 착각
제3의 선택지를 제안하다
콘텐츠의 홍수 속, 느슨한 연대가 주는 영감
“취향은 레퍼런스가 되고, 결국 문화가 된다”
사람들이 미술관에 줄을 서는 이유
콘텍스트를 소비하는 사람들

3/7 COMMERCE: 100가지 유행이 공존하는 평균 실종의 시대
요즘 핫한 브랜드의 특징 하나, 아티스트 재질
요즘 핫한 브랜드의 특징 둘, ‘찐’ 로컬
당근마켓이 흥하는 이유
모든 소셜미디어는 커머스다
60억 명의 인구, 60억 개의 쇼핑몰
1만 시간의 법칙보다는 1만 명의 팔로어
내 취향의 지형도를 만들어라
유행을 따르는 트렌드세터가 아니라 취향을 만드는 테이스트세터

4/7 DETAIL: 사람들이 모르는 것부터 바꾼다
블루와 튀르쿠아즈, 세룰리안블루의 차이가 가져온 엄청난 결과
샤오미가 3억을 주고 아무도 모르게 로고를 바꾼 이유
버버리, 발망, 발렌시아가의 차이는 로고로부터
애플의 혁신은 산 세리프에서 시작된다
빨주노초파남보 이외의 색깔들
브랜드의 정체성을 알려주는 대리석 마감재

5/7 CLASSIC: 트렌드보다 오래가는 것을 선택한다
패션의 역사는 파격이 보통이 되는 과정
트렌드의 맥락을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트렌디한 것이다
트렌드는 싫지만 트렌디하고 싶어
커피는 언제부터 맛이 되었나
흡연은 언제부터 악이 되었나
하나의 사회문화가 정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마세라티와 마티즈 중 더 아름다운 차

6/7 LOCAL: 지역과의 케미스트리를 활용한다
브랜드는 어디에 자리 잡는가
북촌과 서촌, 전통으로 엮인 곳
전통과 첨단, 최고가 최고를 만났을 때
한남동, 해외 브랜드부터 리움미술관까지
미래 서울의 중심
성수동, 도심재생이라는 코드
카센터 옆의 디올
압구정, 콘텐츠로 상권을 만들다
문화를 선도하는 인프라와 구매력
그동안 한국엔 왜 로컬이 없었을까?
로컬 현재화의 핵심은 노포의 마인드

7/7 ATTITUDE: 안목과 취향을 훈련한다
더 이상 전문가는 없다
감각 지능은 타고나는 것일까?
창의적인 조직은 오래가지 않는다
크리에이터는 직업이 아닌 삶에 대한 태도다
첫 번째, 한 분야를 끝까지 가보기
두 번째, 스스로 평가의 기준이 되기
세 번째, 소비에 실패하기
네 번째,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는 습관 기르기
다섯 번째, 호기심을 가지고 새로운 공부해 보기
여섯 번째, 진짜 좋아하는 분야 찾아보기
잡지는 취향에 대한 라이선스
보통 사람의 패션쇼와 콘셉트카 감상법
하물며 동네 치킨집도, 카페도 저렇게 예쁘고 멋진 시대
지속 가능한 크리에이티브를 위하여

에필로그 감각과 취향은 우리를 좋은 곳으로 데려가준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