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문 7
Ⅰ. 서론 18
1. 연구 배경 및 목적 19
2. 연구 방법 23
1) 문헌 연구 23
2) 사례 조사 및 면접조사 23
3) 전문가 자문 24
3. 연구 추진 체계 24
Ⅱ. 정책 현황 분석 및 선행 연구 검토 25
1. 사회적 가족과 주거 정책 26
2. 세대교류형 주거 정책 현황 27
1) 서울시 및 자치구 세대교류 주거 정책 27
2) 네트워크 지향형 사회적 가족: 공동체 주택 사례 31
3. 세대교류형 주거 정책 평가 33
1) 용어와 개념: 공동체 주택과 공유형 주택 33
2) 세대교류에 있어 사회적 가족과 유대 형성의 중요성 36
3) 세대별 1인 가구 공유 주택 인지도 및 거주 의향, 공동체 선호 37
Ⅲ. 세대교류 주거 실태 및 정책 수요: 면접조사 41
1. 조사 목적 및 개요 42
2. 면접조사 주요 결과 44
1) 응답자 특성 44
2) 청년 세대의 공유 주택 및 공동체 주택 경험 45
3) 노ㆍ장년 세대의 공유 주택 및 공동체 주택 경험 53
4) 네트워크 지향 사회적 가족 실태: 공동체 주택 61
5) 정책 수요 65
3. 소결 및 시사점 70
Ⅳ. 세대교류 주거 실태 및 정책 수요: 사례 조사 73
1. 조사 개요 및 목적 74
2. 공유 주택: '공터' 75
1) 가치관의 변화, 포용적 가족 제도 필요 75
2) 세대교류 및 공동체 활동 78
3. 공동체 주택: 다인 가구 공동체 주택(협동조합형 공공지원 민간임대) 82
1) 운영 및 입주민 특성 82
2) 세대교류 및 공동체 활동 85
4. 공동체 주택: 1인 가구 공동체 주택(민관협력형 공공임대) 91
1) 운영 및 입주민 특성 91
2) 세대교류 및 공동체 활동 91
5. 소결 및 시사점 97
Ⅴ. 서울시 세대교류 주거 정책 방향 및 과제 99
1. 연구 요약 100
1) 세대별 정책 수요 100
2) 주택 유형별 정책 수요 103
2. 정책 방향 및 과제 105
Abstract 113
참고문헌 115
판권기 118
표 Ⅰ-1. 2021 서울시 1인 가구 함께 살고 싶은 이웃(세대별) 20
표 Ⅰ-2. 연구 대상 및 범위 22
표 Ⅰ-3. 연구의 추진 체계 24
표 Ⅱ-1. 마포구 세대통합형 케어안심주택 '서봄하우스' 개요 28
표 Ⅱ-2. 서울시 공공임대주택(16개)ㆍ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4개) 유형별 현황 30
표 Ⅱ-3. 공동체주택 사례 현황 32
표 Ⅱ-4. 공유형 주택 관련 용어의 제도적 정의 34
표 Ⅱ-5. 「한지붕세대공감」 자치구별 실적 현황('21.12.31. 기준) 35
표 Ⅱ-6. 세대교류형 주거 정책 선행연구(정책과제 중심) 38
표 Ⅲ-1. 면접조사 그룹별 특징 43
표 Ⅲ-2. 면접조사 개요 43
표 Ⅲ-3. 면접조사 응답자 특성(개인별) 44
표 Ⅲ-4. 청년 세대 정책 수요 및 시사점 70
표 Ⅲ-5. 노ㆍ장년 세대 정책 수요 72
표 Ⅳ-1. 대구 협동조합 공터2호(공유 주택) 75
표 Ⅳ-2. 위스테이별내 초기 계약자 특성 83
표 Ⅳ-3. 위스테이별내 개요 83
표 Ⅳ-4. 공급 유형별 공동체 활동 참여 여부 86
표 Ⅳ-5. 신내동 소행주 '달리' 주택 개요 91
표 Ⅳ-6. 신내동 소행주 '달리' 공동체 활동 92
표 Ⅳ-7. 주택 유형별 정책 수요 97
표 Ⅴ-1. 청년 세대 정책 수요 및 시사점 101
표 Ⅴ-2. 노ㆍ장년 세대 정책 수요 103
표 Ⅴ-3. 주택 유형별 정책 수요 103
표 Ⅴ-4. 공동체 존중 선언문 106
표 Ⅴ-5. '한지붕세대공감' 세대교류 및 존중의 약속(제안) 107
표 Ⅴ-6. 공동체주택 아카데미 교육 추가 111
그림 Ⅱ-1. 세대통합형 주거 모델 28
그림 Ⅳ-1. 공유 주택 현황(공터2호) 78
그림 Ⅳ-2. 커뮤니티 시설 전경(위스테이별내) 85
그림 Ⅳ-3. 입주 후 시설별 만족도 88
그림 Ⅳ-4. 신내동 소행주 '달리' 93
그림 Ⅴ-1. LH 테마형 임대주택 예시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