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7제1부 신과 인간과 여가 11제1장 신과 인간과 여가 13제2부 교육의 전통과 본질 37제2장 덕성은 시여(施與)인가? 39제3장 덕목교육의 재음미 71제4장 교육의 본래적 모습: ‘학교’라는 아이디어와 그 말살기도 93제5장 사고의 재연(再演)으로서의 교육 111제6장 교사의 미덕으로서의 여가 131제3부 학교와 자유교육을 위한 목소리 167제7장 해방 후 한국교육이념의 변천 169제8장 철학과 교육 209제9장 열린 학교의 의미 탐색 219제10장 교육방법의 철학 231제11장 문제해결 학습의 의미와 중요성 247제12장 교직과 교사의 체벌 257제13장 대학원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269[부록 1] 인류의 대화에서 시의 목소리 283인류의 대화에서 시의 목소리(M. Oakeshott, 1959) 285[부록 2] 故 김안중 교수 저술목록 363찾아보기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