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정책건의 3
01.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의 범위 13
3. 연구의 방법 14
02. 관련 계획 검토 15
1. 제4차 대중교통 기본계획(2022~2026) (국토부, 2022) 16
1) 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18
2) 추진전략별 주요 추진과제 19
2. 경기도 관련 정책 및 사업 추진 현황 23
1) 경기도 관련 정책 23
2) 사업 추진 현황 27
3) 경기도 과별 주요 성과 및 업무 29
03. 대중교통 현안 및 장래전망 32
1. 사회경제지표 현황 33
1) 인구 33
2) 사업체수 36
3) 종사자수 36
4) 자동차 등록대수 39
5) 교통수요 42
2. 대중교통 시설 및 운행 현황 43
1) 철도 시설 및 운행 현황 43
2) 버스 시설 및 운행 현황 45
3) 환승시설 현황 53
3. 대중교통수단 이용 현황 56
1) 수단별 여객수송 실적 56
2) 철도 이용현황 57
3) 버스 이용현황 58
4. 외부환경 변화 및 장래 여건 전망 59
1) 사회적 여건 변화 59
2) 경제적 여건 변화 68
3) 장래 교통수요 변화 전망 70
04. 경기도 지방 대중교통계획의 추진 과제 73
1. 국민의 이동권 보장 74
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112
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 128
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 174
05. 사업 추진 방안 193
1 시군과 역할 분담 194
1) 국민의 이동권 보장 194
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195
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 196
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 197
2. 단계적 추진 방안 198
1) 반영 사항 198
2)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0
3) 별도 연구과제 추진방안 220
06. 결론 및 정책제언 245
1. 결론 246
1) 국민의 이동권 보장 247
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248
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 249
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 250
2. 정책제언 251
1) 시군과 역할 분담 251
2) 단계적 추진 방안 253
참고문헌 255
Abstract 257
[부록] 지방대중교통계획(안)의 항목별 검토 기준 259
판권기 2
[표 2-1] 국민의 이동권 보장의 주요 추진과제 19
[표 2-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의 주요 추진과제 20
[표 2-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의 주요 추진과제 21
[표 2-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의 주요 추진과제 22
[표 2-5] 버스 차고지 및 정류소 조성 등 시설개선 현황 24
[표 2-6] 경기도 비전 및 목표 26
[표 3-1] 수도권 인구 현황 33
[표 3-2]/[표 3-1] 경기도 시군별 인구 현황 34
[표 3-3]/[표 3-2] 수도권 사업체수 현황 36
[표 3-4]/[표 3-3] 수도권 종사자수 현황 37
[표 3-5]/[표 3-4] 경기도 시군별 종사자수 현황 38
[표 3-6]/[표 3-5] 수도권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 39
[표 3-7]/[표 3-6] 경기도 시군별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 40
[표 3-8]/[표 3-7] 시군간 수단별 통행량 42
[표 3-9]/[표 3-8] 도시철도 운행 현황 43
[표 3-10]/[표 3-9] 광역철도 운행 현황 44
[표 3-11]/[표 3-10] 경기도 버스 등록현황 45
[표 3-12]/[표 3-11] 경기도 버스 등록현황 46
[표 3-13]/[표 3-12] 경기도 시군별 시내버스 등록현황 46
[표 3-14]/[표 3-13] 수도권 대비 경기도 시내버스 현황 47
[표 3-15]/[표 3-14] 경기도 버스 유형별 노선 및 등록대수 추이 48
[표 3-16]/[표 3-15] 시도 유출입 버스 노선 현황 48
[표 3-17]/[표 3-16] 도별 시외ㆍ고속 버스업체 및 면허, 차량보유 현황 49
[표 3-18]/[표 3-17] 광역급행형 시내버스 운행현황 49
[표 3-19]/[표 3-18]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운영 현황 51
[표 3-20]/[표 3-19] S-BRT 추진 현황 52
[표 3-21]/[표 3-20] 시도별 버스정류장 및 버스전용차로 현황 53
[표 3-22]/[표 3-21] 대중교통 전용지구 설치 및 계획현황 53
[표 3-23]/[표 3-22] 복합환승센터 지정 및 운영 54
[표 3-24]/[표 3-23] 광역환승센터 운영 현황 54
[표 3-25]/[표 3-24] 수단별 여객 수송실적 56
[표 3-26]/[표 3-25] 철도 노선별 여객 수송실적 변화 57
[표 3-27]/[표 3-26] 버스 유형별 여객 수송실적 변화 58
[표 3-28]/[표 3-27] 인구변화 전망 59
[표 3-29]/[표 3-28] 시도별 장래 인구 추계(중위 추계 시나리오) 60
[표 3-30]/[표 3-29] 가구 구성 변화 전망 61
[표 3-31]/[표 3-30] 2035년 가구 유형별 가구구성비 순위 61
[표 3-32]/[표 3-31] 임금근로자 월간 근로시간 추이 63
[표 3-33]/[표 3-32]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 63
[표 3-34]/[표 3-33] 국민여행 총량 64
[표 3-35]/[표 3-34] 정부 주도 자율주행셔틀 실증사업 64
[표 3-36]/[표 3-35] 노선버스 사고 추이 66
[표 3-37]/[표 3-36] 철도 사고 추이 67
[표 3-38]/[표 3-37] 1인당 GDP 현황 68
[표 3-39]/[표 3-38] 교통 혼잡 비용 추이 68
[표 3-40]/[표 3-39] 자치단체 사회복지 및 SOC 예산 규모 69
[표 3-41]/[표 3-40] 지역 간 장래 수단별 통행량 70
[표 3-42]/[표 3-41] 승용차 이용자와 대중교통 이용자 구분 71
[표 3-43]/[표 3-42] 통행자 특성에 따른 이용 통행수단 71
[표 4-1] 시내버스 서비스표준 항목(안) 78
[표 4-2] 2022년~2026년 철도 개통 계획 86
[표 4-3] 2022년 택시 주요사업별 지원비 117
[표 4-4] 사업개요 131
[표 4-5] BRT 종합계획 내 권역별 사업계획 134
[표 5-1] 국민의 이동권 보장 목표의 시군과 역할분담 194
[표 5-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목표의 시군과 역할분담 195
[표 5-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 목표의 시군과 역할분담 196
[표 5-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 목표의 시군과 역할분담 197
[표 5-5] 국민의 이동권 보장-여객운송사업의 공공성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198
[표 5-6] 국민의 이동권 보장-촘촘한 대중교통망 구축의 사업별 반영 사항 199
[표 5-7] 국민의 이동권 보장-서비스 유연성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0
[표 5-8] 국민의 이동권 보장-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1
[표 5-9]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2
[표 5-10]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대중교통 안전성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3
[표 5-11]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안전관리 제도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3
[표 5-12]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통행시간ㆍ속도 경쟁력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4
[표 5-1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요금 경쟁력 강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5
[표 5-14]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이용자 편의성 향상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6
[표 5-15]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확대 및 인프라 구축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7
[표 5-16]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신기술 활용한 교통서비스 혁신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8
[표 5-17]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대중교통 시스템 고도화의 사업별 반영 사항 209
[표 5-18]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9개 사업) 210
[표 5-19] 광역버스 노선 확충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1
[표 5-20] 교통 소외지역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2
[표 5-21] 시내버스 도민 서비스 평가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3
[표 5-22] 자전거/PM과 연계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4
[표 5-23] 경기도 순환철도망의 준GTX급 완성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5
[표 5-24]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6
[표 5-25] 지하 공영주차장 확대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7
[표 5-26] 도로ㆍ유휴지 주차공간 활용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8
[표 5-27]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확대 사업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추진(안) 219
[표 5-28] 경기도 지방대중교통 외 법정계획 반영 관련 사업 220
[표 5-29] 경기도 지방대중교통 외 별도 연구과제 추진 관련 사업 221
[표 5-30] 경기도 지방대중교통 외 경기도 자체 계획 반영 관련 사업 222
[표 5-31]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223
[표 5-32]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계획(5개년) 224
[표 5-33]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주차난 심각지역 도로ㆍ유휴지 주차공간으로 활용 225
[표 5-34]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2030 경기도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본계획 226
[표 5-35]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시내버스 준공영제 추진방안 연구용역 227
[표 5-36]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철도기본계획 및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 228
[표 5-37]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제2차 택시운송사업 발전 시행계획 수립용역 229
[표 5-38]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전기버스 표준모델 수립 및 적용방안 230
[표 5-39]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GTX 플러스 231
[표 5-40]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트램 활성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방안 232
[표 5-41]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트램 활성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개선 방안 233
[표 5-42]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G-MaaS 234
[표 5-43]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알뜰교통카드 확대로 대중교통비 절감 지원 235
[표 5-44]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환승시설 구축계획 236
[표 5-45]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자율주행 활성화 기반 마련 237
[표 5-46]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대중교통 정보화사업 고도화 238
[표 5-47]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 공공버스 운영 239
[표 5-48]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MaaS Alliance 240
[표 5-49]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저상버스 확대 및 이용 활성화 241
[표 5-50]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버스 인프라 확충 및 시설 개선 242
[표 5-51]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경기도형 친환경 모빌리티 체계 구축 243
[표 5-52] 별도 연구과제 반영 사업-비접촉 요금징수 시스템 도입 244
[표 6-1] 국민의 이동권 보장 목표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 247
[표 6-2]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목표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 248
[표 6-3] 대중교통 경쟁력 강화 목표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 249
[표 6-4] 탄소중립 실현 등 대중교통 혁신 목표의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 250
[표 6-5]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사업별 역할 분담 251
[표 6-6]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사업별 역할 분담(안) 252
[표 6-7]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단계적 추진 방안 253
[표 6-8]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사업별 연차별 계획(안) 254
[그림 1-1] 연구흐름도 14
[그림 2-1] 대중교통 기본계획의 수립 범위 16
[그림 2-2] 제4차 대중교통 기본계획의 비전 및 정책 목표 18
[그림 2-3] 대중교통 방역대책 23
[그림 2-4] 교통 인프라 구축 및 개선 24
[그림 2-5] 도민을 위한 다양한 교통서비스 25
[그림 3-1] 경기도 버스 등록현황 46
[그림 3-2] 경기도 시군별 시내버스 등록현황 47
[그림 3-3] 광역급행버스 운행 현황 51
[그림 3-4] 성남시 S-BRT 추진 현황 52
[그림 3-5] 수도권 환승센터 현황 55
[그림 3-6] 인구 및 자동차등록대수 변화 62
[그림 3-7] 대도시권의 통행량 62
[그림 3-8]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의 운영 사례 65
[그림 3-9]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 규모 추이 65
[그림 3-10] 2021년 대중교통수단별 재정지원 현황 및 회계별 지원비율 69
[그림 3-11] 대중교통 이용자 그룹의 변화 72
[그림 3-12] 대중교통 통행자수 전망 72
[그림 4-1] 측방 감지센서(Sideguard Assist) 예시 119
[그림 4-2] 사각지대 보완장비 예시 121
[그림 4-3] BTX 개념도 135
[그림 4-4] 급행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규 광역버스 유형 예시 135
[그림 4-5]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환경 조성 사례 138
[그림 4-6] GTX 환승 Triangle 163
[그림 4-7] 비수도권 환승센터 사업 대상지점 164
[그림 4-8] 수도권 환승센터 사업 대상지점 165
[그림 4-9]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재정지원 관리시스템 186
[그림 6-1] 정부 및 경기도의 대중교통 정책 기본방향 246
[그림 6-2]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검토 절차 251
[그림 6-3] 경기도 지방대중교통계획 반영 사업 선정 절차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