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지] 1

제출문 2

요약본 3

목차 13

제1장 다부처공동R&D 추진 필요성 19

제1절 사업 추진 배경 및 필요성 19

가. 추진 배경 및 필요성 19

나. 전기추진 항공기 산업 동향 26

다. 2인승급 소형항공기 시장 동향 29

라. 전기추진 항공기 기술개발 동향 33

제2절 관련 정책 및 인프라 현황 50

가. 국내 항공 분야 주요 정책 50

나. 국내 항공 인증제도 현황 55

제3절 다부처공동R&D 추진 타당성 59

가. 다부처 추진 필요성 59

나.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검토 61

제2장 사업목표 및 내용 66

제1절 사업목표 66

1. 사업목표 66

2. 사업 지원 범위 72

3. 수혜 대상 및 이해관계자 73

제2절 성과목표 및 지표 74

1. 부처별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 74

제3절 사업내용 78

가. 세부 사업 내용 78

제3장 사업 추진방법 99

제1절 사업 추진전략 99

1. 사업 추진전략 99

2. 법·제도적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104

제2절 사업 추진체계 105

1. 부처 간 역할분담 105

2. 사업 추진 및 관리운영 체계 106

제3절 사업 기간 및 소요예산 108

1. 사업기간 및 추진일정 108

2. 사업규모 및 투자계획 110

제4장 성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12

제1절 사업 성과 활용방안 112

제2절 기대효과 115

[표 1-1] 전기 항공기 장·단점 분석 21

[표 1-2] 부활호 개량복원 사업 개요 24

[표 1-3] 고정익기 설계/제작/인증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25

[표 1-4] MEA 공급망 변화 전망 27

[표 1-5] 전기 추진 항공기 공급망 변화 전망 27

[표 1-6] 항공기 전기화 분야별 연구개발 수행기업 현황 28

[표 1-7] 미국 등록 항공기 수 변화(2013-2022) 29

[표 1-8] 미국 등록 고정익 항공기 수 변화(2013-2022) 29

[표 1-9] 미국 경량항공기 종류 30

[표 1-10] 항공기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엔진기술 35

[표 1-11] 전기항공기 개발 사례 43

[표 1-12] 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전기추진 항공기 실증 경과 44

[표 1-13] 국토부와 산업부의 OPPAV 개발 사업 48

[표 1-14] 항공기 전기화 국가R&D 과제 현황 49

[표 1-15] 4대 추진전략 및 12대 추진과제 50

[표 1-16] 항공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52

[표 1-17]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 목표 및 추진과제 54

[표 1-18] 항공기 등의 안정성 인증 종류 57

[표 1-19] 항공기 등의 감항성 유지 제도 58

[표 1-20] 중복성 검토 사업 및 과제 리스트 61

[표 1-21] 유사 사업 및 과제와의 중복성 검토 62

[표 1-22] 인증기술 개발 분야 유사 사업 및 과제와의 중복성 검토 64

[표 2-1] 전기추진 소형항공기 시스템 개발 As-Is/To-Be 68

[표 2-2] 전기추진 소형항공기 인증체계구축 연구 As-Is/To-Be 71

[표 2-3] 1세부과제 개발 목표 74

[표 2-4] 1세부과제 연구 목표 75

[표 2-5] 1세부과제 성과지표 및 목표 75

[표 2-6] 2세부과제 개발 목표 76

[표 2-7] 2세부과제 성과지표 및 목표 77

[표 2-8] 국내 복합재료 인증소재 예시 83

[표 2-9] 1세부과제 연구내용 종합 92

[표 2-10] 1세부과제 예산 93

[표 2-11] 2세부과제 예산 98

[표 3-1] 중앙부처 별 역할 105

[표 3-2] 1세부과제 세부 예산 110

[표 3-3] 2세부과제 세부 예산-1 111

[표 3-4] 2세부과제 세부 예산-2 111

[표 4-1] 미국 2인승 고정익 항공기 장기 수요 예측 113

[표 4-2] 미국, 한국 LSA급 전기항공기 수요(대체 수요+신규수요) 114

[그림 1-1] 운송수단별 온실가스 배출량 19

[그림 1-2] 세계 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 20

[그림 1-3] Siemens Extra330LE 운항 소음 측정 22

[그림 1-4] 용도별 전기추진 항공기 시장과 개발 현황(2018.05) 26

[그림 1-5] 미국 경량항공기 증가현황 및 용도별 등록 현황 30

[그림 1-6] 미국 경량항공기 종류별 등록 현황(2020) 31

[그림 1-7] 경량항공기 등록 및 조종사 수 32

[그림 1-8] 전기추진 방식 구성 예 34

[그림 1-9] 전기추진 유형 및 항공 분야별 전기항공기 개발 35

[그림 1-10] 항공용 전기추진 전기모터(전기엔진) 사례 36

[그림 1-11] 전기모터 출력 배가 적층 사례 37

[그림 1-12] VELIS Electro 배터리팩 전/후방 동체 탑재 사례 39

[그림 1-13] 40kW, 80kW급 전기충전기 SkyCharger 모델 40

[그림 1-14] Electro Aero 사의 RAPID Charger 41

[그림 1-15] 소형급 eCTOL 상용화 동향 42

[그림 1-16] 한국카본-IAI FE-Panther 무인기 45

[그림 1-17] 창공-91 46

[그림 1-18] 반디호 46

[그림 1-19] KC-100 나라온 47

[그림 1-20] 국토부 개발 경량항공기 47

[그림 1-21] 항공산업 25대 부문 100대 핵심기술 51

[그림 1-22] 국내 항공기 인증제도 구성 55

[그림 1-23] 전기추진 항공기 국내외 산업화를 위한 장애물 59

[그림 2-1] 미국 NREL 연구소 발간 보고서(2021.10.) 67

[그림 2-2] 전기추진시스템 시험시설 예시(NASA 글렌연구센터) 69

[그림 2-3] 2025년 글로벌 CO₂ 저감 예측 70

[그림 2-4] 기존 엔진 시험시설((좌)GE, (우)한화에어로스페이스) 73

[그림 2-5] 전기추진 소형항공기 제품분할구조(PBS) 78

[그림 2-6] 공력해석 예시(좌), 항공기 내부배치 평면도 예시 79

[그림 2-7] 동체구조해석 예시(좌), 항공기 유한요소해석 예시(우) 80

[그림 2-8] 전기추진시스템 인터페이스 80

[그림 2-9] BRS 장착 설계 예시 및 장착된 소형항공기 81

[그림 2-10] BRS(Ballistic Recovery System) Type 82

[그림 2-11] 복합재 동체 구조물 제작 개념 예시 84

[그림 2-12] ATL Process for Wing Skin Panel Fabrication 84

[그림 2-13] 구성품 제작 예시 85

[그림 2-14] 주익 및 동체 조립 치구(예시) 85

[그림 2-15] KC-100 시제기 제작공정 86

[그림 2-16] 빌딩블록접근법의 시험피라미드 예시 87

[그림 2-17] 착륙장치 낙하시험 예시 88

[그림 2-18] 전기체 지상 구조시험 예시 89

[그림 2-19] 비행 시험 수행 과정 89

[그림 2-20] 비행시험 인프라 예시 90

[그림 2-21] 항공기 형식증명 획득 절차 91

[그림 2-22] FAR Part 23 AMoC 문서 95

[그림 2-23] magniX사 특수기술기준(좌) 및 형상(우) 96

[그림 2-24] 전기추진시스템 시험 장비 예시 97

[그림 3-1] 시스템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관리 체계 예시 100

[그림 3-2] 전기추진 소형항공기 개발과 인증체계 구축 연계 방안 102

[그림 3-3] 1세부과제 주요 개발 일정 및 기술검토회의 일정 108

[그림 3-4] 2세부과제 주요 개발 일정 109

[그림 4-1] 미국, 한국 LSA급 항공기 연간 수요 추정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