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3추천사 6CHAPTER_1 미술과 교육의 환경 11미술 학습 결과물을 활용한 학교 환경 재구성 13김 미 자경북대학교 미술학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 대학원 서양화 실기교육을 중심으로 35조 덕 연공공의 자산으로서 예술의 발견과 예술교육: 대구에서의 몇 가지 실천 61정 종 구경험에 살다: 態度가 形式이 될 때-‘예술가처럼 생각하기’와 ‘악동뮤지엄’을 중심으로- 89정 종 구지역문화활성화를 위한 주민프로그램 운영사례: 경상남도 창녕군 지역을 중심으로 111임 현 숙CHAPTER_2 작가와 교육자 139대구의 미술교육: 박휘락의 실천 이야기에서 미래 미술교육을 전망한다 141신 경 애프랙털 미학을 활용한 박남희의 작품 연구 167조 덕 연류재하의 상상: 미디어아트와 함께한 20년, 다시 출발점에서 199신 경 애제4차 산업혁명에서 예술의 방향 모색: 김미련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237류 시 숙CHAPTER_3 과거와 현재, 미술 실천의 의미 257삶-老莊의 美意識과 도덕적 美의 고찰 259정 자 윤사회참여적 다원예술 283김 미 련조형예술로 표현된 텍스트 미학 305정 효 찬과학으로 읽는 미술사: 다빈치에서 미디어를 넘어 메타버스까지 337이 영 미찾아보기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