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5
제1장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6
2.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19
3. 선행연구 검토 23
제2장 KREI-KASMO 운용 현황 27
1. KREI-KASMO 개요 28
2. KREI-KASMO 2022 확정적 모형 주요 개선사항 35
3. KREI-KASMO 2022 주요 활용 43
제3장 KREI-KASMO 이론적 원리와 운용방식 48
1. 수급예측 방법론 49
2. 시장청산 균형가격 51
3. 주요 행태방정식 구조 및 추정 방법 53
4. 시장개방 영향분석 방법 65
5. 연산연도/마케팅연도 적용 73
제4장 KREI-KASMO 2022 확률적 모형 개선 연구 76
1. 확률적 농업 전망모형의 필요성 77
2. 확률적 모형 구축 절차 79
3. KREI-KASMO 확률적(stochastic) 모형 구축 연구 82
4. KREI-KASMO 확률적(stochastic) 모형 활용 예 88
제5장 결론 및 추진계획 101
1. KREI-KASMO 2022 운용 및 개발 연구 102
2. 확률적 모형 개발 연구 104
3. 추진계획 107
[부록] Stata 코드 예문 109
참고문헌 120
판권기 3
〈표 2-1〉 KREI-KASMO 2022 품목범위: 농식품부 생산액 기준 31
〈표 2-2〉 KREI-KASMO 2022 품목범위: 모형 내 실품목 기준 32
〈표 2-3〉 KREI-KASMO에서 활용하는 품목별 HSK 코드 수정 내역 37
〈표 2-4〉 유성분 함량별 가격 41
〈표 2-5〉 위생등급별 가격 42
〈표 3-1〉 수입산 제품에 따른 모형구조비교 64
〈표 4-1〉 KREI-KASMO 2022 확률적 모형의 구축 현황 83
〈표 4-2〉 KREI-KASMO 2022 확률적 모형 시뮬레이션 진행 품목 84
〈그림 2-1〉 KREI-KASMO 2022 모형의 구조 35
〈그림 3-1〉 KREI-KASMO 모형의 균형가격도출 52
〈그림 3-2〉 국내 수입수요에 따른 TRQ 영향 66
〈그림 3-3〉 관세인하 및 TRQ 증량에 따른 FTA 영향평가 분석 방법 69
〈그림 3-4〉 정태분석 및 동태분석의 분석방법론 비교 71
〈그림 4-1〉 KREI-KASMO 확률적 모형 구축 절차 82
〈그림 4-2〉 KREI-KASMO 2022 확률적 모형 거시 확률변수 산점도행렬 85
〈그림 4-3〉 KREI-KASMO 2022 확률적 모형 단수 확률변수 산점도행렬(양념 채소) 87
〈그림 4-4〉 쌀 비용 확률밴드(거시 확률변수) 89
〈그림 4-5〉 쌀 농가 판매가격 확률밴드(거시 확률변수) 90
〈그림 4-6〉 쌀 부가가치 확률밴드(거시 확률변수) 91
〈그림 4-7〉 쌀 재배면적 확률밴드(거시 확률변수) 92
〈그림 4-8〉 쌀 생산량 확률밴드(거시 확률변수) 93
〈그림 4-9〉 유가에 따른 품목별 부가가치 변화율 히트맵 94
〈그림 4-10〉 유가에 따른 재배업 경상비 변화율 96
〈그림 4-11〉 쌀 생산량 확률밴드(단수 확률변수) 97
〈그림 4-12〉 쌀 농가 판매가격 확률밴드(단수 확률변수) 98
〈그림 4-13〉 쌀 부가가치 확률밴드(단수 확률변수) 99
〈그림 4-14〉 모형 기준 결과 & 교역 제한 결과 비교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