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8
제1장 서론 14
제2장 한국 여성 노동시장의 특징 17
제1절 정태적 특징 17
1. 낮은 수준의 M자형 여성 참가율 17
2. 취업과 비경제활동상태 간의 밀접한 관계 20
3. 매우 큰 성별 임금격차 20
제2절 동태적 특징 25
1. Markov 이행확률 분석 25
2. 밝혀진 사실들(facts) 26
3. 분석결과:새로운 사실들 27
제3절 소결 36
제3장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 추정 38
제1절 들어가며 38
제2절 기존 연구 40
제3절 성별 임금격차와 연령 및 근속 특성 43
1. 연령-임금 곡선의 성별 특성 43
2. 연령-근속 곡선의 성별 특성 49
제4절 성별 임금격차의 주요 특성들: 단순회귀를 통한 분석 52
1. 주요 특징들 53
2. 성별 임금격차가 큰 집단들의 학력 및 직종 구성 60
3. 유자녀 여성 여부에 따른 임금격차 64
제5절 임금방정식 추정 결과 66
1. 기초통계 66
2. 추정결과 67
3. 주요 집단별 추정 결과 73
제6절 소결 80
제4장 한국 여성임금 분포의 변화 : 분위별 내생적 선택 조정을 통한 접근(Changes in female wage distributions in South Korea: A quantile selection-correction approach) 82
Section 1. Introduction 82
Section 2.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 88
Section 3. Econometric method 93
1. Underlying logic 93
2. Estimation 99
3. Statistical inference and testing 101
4. Constructing counterfactuals 101
Section 4. Data 102
Section 5. Estimation results 105
1. Changes in full-time employment rates 105
2. Potential wage and employment rate 106
3. Females' selection into employment 107
4. Changes in female wage distributions 109
Section 6. Conclusion 117
제5장 결론 120
참고문헌 126
판권기 133
〈표 2-1〉 성별 참가율과 고용률 18
〈표 2-2〉 경제활동상태별 변화 간의 관계 20
〈표 2-3〉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의 변화 30
〈표 2-4〉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의 변화 : 5년 평균 30
〈표 2-5〉 취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5년 평균 33
〈표 2-6〉 실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5년 평균 35
〈표 3-1〉 최근의 대표적인 성별 임금격차 연구 42
〈표 3-2〉 300인 이상 정규직 40~60대 학력 구성 61
〈표 3-3〉 300인 이상 정규직 40~60대 직종 구성 62
〈표 3-4〉 100인 이상 비정규직 40~60대 학력 구성 63
〈표 3-5〉 100인 이상 비정규직 40~60대 직종 구성 63
〈표 3-6〉 14세 이하 유자녀 여성 비율 : 20~69세 64
〈표 3-7〉 기초통계 66
〈표 3-8〉 DKS(2022)와 본 연구의 추정결과 비교 72
〈표 4-1〉 Employment rate - By potential wage category 111
〈표 4-2〉 Employment rate(2016 value = 1) - By potential wage category 112
[그림 2-1] 여성의 연령별 참가율 19
[그림 2-2] 남성의 연령별 참가율 19
[그림 2-3] 성별 임금격차 :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2015년) 21
[그림 2-4] 성별 임금격차(평균) : KLIPS 22
[그림 2-5] 성별 임금격차(중간값) : KLIPS 23
[그림 2-6] 성별 임금격차 국제비교(OECD, 2019) 24
[그림 2-7] 성별 임금격차 국제비교(OECD, 2016) 24
[그림 2-8] Markov 이행확률 행렬 26
[그림 2-9] 취업자의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29
[그림 2-10] 실업자의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실망실업효과) 29
[그림 2-11] 취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1980년대와 1990년대 32
[그림 2-12] 취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2000년대와 2010년대 32
[그림 2-13] 실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1980년대와 1990년대 34
[그림 2-14] 실업자의 성별, 연령계층별 비경제활동인구화 경향 : 2000년대와 2010년대 35
[그림 3-1] 연령-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비교 : 2015년 45
[그림 3-2] 연령별 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차이 : 2015년 45
[그림 3-3] 연령-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비교 : 2019년 46
[그림 3-4] 연령별 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차이 : 2019년 46
[그림 3-5] 연령-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비교 : 2015년 사업체 자료 48
[그림 3-6] 연령별 로그임금(시간당)의 성별 차이 : 2015년 사업체 자료 48
[그림 3-7] 연령별 근속기간의 성별 분포 : 2015년 50
[그림 3-8] 연령별 근속기간의 성별 차이 : 2015년 50
[그림 3-9] 연령별 근속기간의 성별 분포 : 2019년 51
[그림 3-10] 연령별 근속기간의 성별 차이 : 2019년 52
[그림 3-11]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연도별 및 2010~21년 평균 54
[그림 3-12]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학력별(2010~21년 평균) 55
[그림 3-13]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규모별(2010~21년 평균) 55
[그림 3-14]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근로형태별(2010~21년 평균) 56
[그림 3-15]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정규직 규모별(2010~21년 평균) 57
[그림 3-16] 성별 임금격차의 계수 추정치 : 비정규직 규모별(2010~21년 평균) 57
[그림 3-17] 근속기간별(2010~21년 평균) 59
[그림 3-18] 규모별, 근속기간별(2010~21년 평균) 59
[그림 3-19] 규모별, 근로형태별, 근속기간별(2010~21년 평균) 60
[그림 3-20] 자녀(14세 이하) 유무별(2010~21년 평균) 65
[그림 3-21] 추정결과 : 20~4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69
[그림 3-22] 추정결과 : 20~5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0
[그림 3-23] 추정결과 : 20~5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0
[그림 3-24] 추정결과 : 20~6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1
[그림 3-25] 추정결과 : 20~6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1
[그림 3-26] 추정결과 : 단순회귀분석 74
[그림 3-27] 추정결과 : 통제모형 74
[그림 3-28] 추정결과: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35~4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5
[그림 3-29] 추정결과: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35~5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6
[그림 3-30] 추정결과: 300인 이상 사업체 정규직 35~5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6
[그림 3-31] 추정결과 : 고졸 이하 20~5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7
[그림 3-32] 추정결과 : 고졸 이하 20~59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8
[그림 3-33] 추정결과 : 고졸 이하 20~6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8
[그림 3-34] 추정결과: 30인 미만 사업체 15년 이상 근속 20~64세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79
[그림 4-1] Gender wage gap - OECD Countries 83
[그림 4-2] Gender wage gap - By year, South Korea vs. OECD Average 85
[그림 4-3] Full-time employment rate - By year, South Korea 104
[그림 4-4] Wage distribution prediction - Year 2021 113
[그림 4-5] Wage distribution prediction - By year 114
[그림 4-6] Changes in female wages - By percentile level 115
[그림 4-7] Changes in female wages - By percentile level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