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서론 7
1. 연구배경 및 목적 7
2. 연구방법 9
Ⅱ.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10
1.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의 개념 10
2.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 관련 정책 11
3.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의 변화 요인 23
4. 연구 수명주기와 연구지원서비스 34
Ⅲ.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분석 45
1. 연구지원서비스 내용 분석 45
2. 연구지원서비스 현황 분석 56
3. 연구지원서비스 사례 분석 65
Ⅳ. 결론 76
1. 국내외 대학도서관 연구지원서비스 분석에 따른 시사점 76
2. 연구지원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77
참고문헌 80
판권기 86
〈표 Ⅱ-1〉 제1차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2016-2018) 12
〈표 Ⅱ-2〉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2019-2023) 13
〈표 Ⅱ-3〉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 종합계획(2019-2023)의 연구지원서비스 관련 내용 15
〈표 Ⅱ-4〉 2016-2018년 대학도서관 시범평가 항목 16
〈표 Ⅱ-5〉 대학도서관 시범평가의 연구지원서비스 관련 지표 17
〈표 Ⅱ-6〉 2020년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 17
〈표 Ⅱ-7〉 대학도서관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현황 19
〈표 Ⅱ-8〉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연구지원서비스 관련 세부과제 현황 20
〈표 Ⅲ-1〉 국외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지원서비스의 내용 47
〈표 Ⅲ-2〉 국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지원서비스의 내용 53
〈표 Ⅲ-3〉 분석대상 대학 56
〈표 Ⅲ-4〉 분석 내용 57
〈표 Ⅲ-5〉 국외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지원 현황(2022년 3월 기준) 59
〈표 Ⅲ-6〉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지원 현황(2022년 3월 기준) 61
〈표 Ⅲ-7〉 연구 수명주기 단계별 국내외 연구지원서비스 현황 비교 63
〈그림 Ⅱ-1〉 ACRL이 제시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24
〈그림 Ⅱ-2〉 오픈사이언스의 범주 26
〈그림 Ⅱ-3〉 Vaughan et al.의 연구 수명주기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36
〈그림 Ⅱ-4〉 OWW(OpenWetWare)의 Research cycle 38
〈그림 Ⅱ-5〉 UFC Library의 연구 수명주기 39
〈그림 Ⅱ-6〉 UFC Library의 연구 수명주기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41
〈그림 Ⅱ-7〉 Maxwell의 연구 수명주기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42
〈그림 Ⅱ-8〉 오선혜, 곽승진(2020)의 연구 수명주기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43
〈그림 Ⅱ-9〉 오선혜, 곽승진(2021)의 연구수명주기에 따른 연구지원서비스 44
〈그림 Ⅲ-1〉 국외와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지원서비스 비교 그래프 64
〈그림 Ⅲ-2〉 옥스퍼드 대학도서관의 Bodleian Data Library 66
〈그림 Ⅲ-3〉 메사추세츠 공과대학도서관의 DMP 지원 67
〈그림 Ⅲ-4〉 취리히 공과대학도서관의 DMP 서비스 67
〈그림 Ⅲ-5〉 예일대학도서관의 메타데이터 지원 68
〈그림 Ⅲ-6〉 스탠퍼드 대학도서관의 데이터 관리 모범사례 서비스 69
〈그림 Ⅲ-7〉 한국과학기술원 도서관의 DMP 작성지원 서비스 70
〈그림 Ⅲ-8〉 케임브리지 대학도서관의 데이터 리포지터리 71
〈그림 Ⅲ-9〉 프린스턴 대학도서관의 Scholarly communication office 72
〈그림 Ⅲ-10〉 UC버클리 도서관의 학술출판 지원 서비스 73
〈그림 Ⅲ-11〉 컬럼비아 대학도서관의 지적재산권 자문 서비스 74
〈그림 Ⅲ-12〉 포항공과대학교 도서관의 오픈액세스 서비스 75
〈그림 Ⅳ-1〉 연구지원서비스 운영 체계 모형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