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개요 20
1. 연구 배경 및 목적 2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6
02. 대내외 환경 분석 27
1. 국내외 환경 및 동향 분석 28
1.1. 법제도 28
1.2. 연구개발사업 48
1.3. 기술 보유 및 활용 81
2. 서울시 환경 및 동향 분석 91
2.1. 법제도 91
2.2. 정책사업 95
2.3. 기술 보유 및 활용 98
03. 서울시 스마트건설 도입 현황 및 분석 100
1. 서울시 건설관리 시스템 현황 101
2. 서울시 및 전문가 수요 조사 105
2.1. 설문조사 개요 105
2.2. 설문조사 결과 106
2.3. 시사점 109
3. 서울시 기술분류체계 조사 112
3.1. 기술분류체계 조사 개요 112
3.2. 기술분류체계 조사ㆍ분석 결과 113
3.3. 기술 도입시기 조사 분석 118
3.4. 시사점 122
04.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활성화 방안 124
1. 목표 및 추진 전략 125
1.1. 연구전략 수립 개요 125
1.2. 중점분야 도출 125
1.3.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도입 전략 127
2. 전략 목표 이행계획 129
2.1. 전략목표 1: 스마트건설 도입 기반 마련 129
2.2. 전략목표 2: 현장중심의 활성화 환경 조성 136
2.3. 전략목표 3: 스마트건설 운영 역량 강화 138
3. 추진 로드맵 제시 144
3.1. 스마트건설기술 도입 및 활성화 로드맵 제시 144
3.2. 기대 효과 144
참고문헌 146
[부록]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테스트베드 운영 매뉴얼(안) 2021 149
Abstract 164
판권기 166
[표 1-1] 직종별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활용도 25
[표 2-1]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중앙정부 법제도 및 기준 현황 28
[표 2-2]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기준 개정 내용(2019.02.25.) 30
[표 2-3] 스마트건설공사의 선정기준과 검토 항목 30
[표 2-4] 스마트건설기술의 주요 대상기술 31
[표 2-5] BIM 설계 의무적용 대상(조달청 시설사업 BIM 적용 기본지침서) 31
[표 2-6] BIM 적용 대상 및 범위 32
[표 2-7] 스마트 안전장비 사례 32
[표 2-8] 스마트 안전장비 사례 33
[표 2-9] 도로설계 단계별 BIM 수준 작성방안 34
[표 2-10] 국가별 BIM 의무화 추진내용 35
[표 2-11] 미 공병단(USACE) BIM Roadmap 35
[표 2-12] Singapore BIM Guide(Version 2) 목차 42
[표 2-13] Singapore BIM Essential Guides 현황 42
[표 2-14] Singapore 수량측량 BIM 속성 요건(QSBAR)요약 43
[표 2-15] 싱가포르 Construction ITM 핵심 영역 및 관련 제도 46
[표 2-16] Singapore VDC Guide Version 1.0 목차 47
[표 2-17]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단계별 목표 48
[표 2-18]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추진과제 현황('20년) 49
[표 2-19] 스마트건설기술 정부 R&D 투자 동향('16~'20년) 50
[표 2-20] 스마트건설기술 R&D 부처별 투자 동향('16~'20년) 50
[표 2-21]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별 정부 R&D 투자 동향('16~'20) 53
[표 2-22]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별 R&D 투자 연평균 증가율('16~'20년) 55
[표 2-23] 드론 기반 지형ㆍ지반 모델링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56
[표 2-24] 드론 기반 지형ㆍ지반 모델링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57
[표 2-25] BIM 적용 표준 국가 R&D 현황 58
[표 2-26] BIM 적용 표준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59
[표 2-27] BIM 설계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0
[표 2-28] BIM 설계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1
[표 2-29]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2
[표 2-30]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3
[표 2-31] 건설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기술 국가 R&D 현황 64
[표 2-32] 건설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5
[표 2-33] 시공 정밀 제어 및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6
[표 2-34] 시공 정밀 제어 및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7
[표 2-35]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국가 R&D 현황 68
[표 2-36]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9
[표 2-37] BIM 기반 공정 및 품질관리 국가 R&D 현황 70
[표 2-38] BIM 기반 공정 및 품질관리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1
[표 2-39]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국가 R&D 현황 72
[표 2-40]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3
[표 2-41] 드론ㆍ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국가 R&D 현황 74
[표 2-42] 드론ㆍ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5
[표 2-43]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국가 R&D 현황 76
[표 2-44]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7
[표 2-45]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국가 R&D 현황 78
[표 2-46]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9
[표 2-47] 건설단계별 스마트건설기술 82
[표 2-48] 스마트건설기술별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 83
[표 2-49]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내 기술분류별 기술수준 85
[표 2-50] 현대건설 스마트건설 수행 실적 87
[표 2-51] 포스코 A&C BIM 국내 수행 적용 사례 88
[표 2-52]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서울시 조례 현황(요약) 91
[표 2-53]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도시기반시설본부(시설국) 2020년 주요 업무 96
[표 2-54]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안전총괄실 2020년 주요 업무 98
[표 2-55]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연계사업 99
[표 3-1] 사용자별 시스템 이용 역할 102
[표 3-2] 1, 2차 설문조사 개요 105
[표 3-3] 조사 진행 세부 일정 105
[표 3-4] 실제 적용 중인 스마트건설기술 106
[표 3-5] 스마트건설기술 활용도 및 생산성 107
[표 3-6] 스마트건설기술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선결 사항 107
[표 3-7] 스마트건설기술 우선순위 108
[표 3-8] 건설기술교육원 BIM 교육프로그램 현황 110
[표 3-9] 건설기술교육원 BIM 전문인력양성과정 세부 내용 111
[표 3-10] 기술분류체계 조사 개요 112
[표 3-11] 건설단계별 분류체계 주요 의견 113
[표 3-12] 기술별 분류체계 주요 의견 114
[표 3-13] 중점 분류체계 기타의견 115
[표 3-14] 서울시 자체 스마트건설기술 중점분류 방안 세부 현황 115
[표 3-15]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재구성 관련 응답 116
[표 3-16]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관련 기타 제언 117
[표 3-17]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핵심후보기술별 단기(1년 이하) 도입 예상기술 118
[표 3-18]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핵심후보기술별 중기(5년 이하) 도입 예상기술 119
[표 3-19]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핵심후보기술별 장기(5년 이상) 도입 예상기술 120
[표 3-20]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핵심후보기술별 기술성숙도 121
[표 4-1] 일본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법ㆍ제도 도입 및 개선 현황 132
[표 4-2] 일본의 스마트건설기술 확산을 위한 현장 의견 검토사항 134
[표 4-3] 일본의 스마트건설기술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제도 134
[표 4-4] 스마트건설기술 관련 기관별 업무 요약 139
[그림 1-1] 스마트건설기술의 개념 23
[그림 1-2] 우리나라 인구구조 및 고령화 비율 변화 24
[그림 2-1] 영국 BIM 성숙도 모델 36
[그림 2-2] BIM Level 0 설계 예시 37
[그림 2-3] BIM Level 1 설계 예시 37
[그림 2-4] BIM Level 2 설계 예시 38
[그림 2-5] BIM Process Timeline 38
[그림 2-6] Level 3 BIM 모델 네트워크 예시 39
[그림 2-7] BIM Level 3 전략 계획 보고서 39
[그림 2-8] 싱가포르 공공전자조달시스템 내 BIM 적용 건축물 발주형식 45
[그림 2-9] 싱가포르 VDC Framework 47
[그림 2-10]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 개념도 48
[그림 2-11] 스마트건설기술 정부 R&D 투자 동향('16~'20) 50
[그림 2-12] 스마트건설기술 R&D 부처별 투자 동향(과제 수) 51
[그림 2-13] 스마트건설기술 R&D 부처별 투자 동향(정부 투자 연구비) 51
[그림 2-14] 스마트건설기술 R&D 부처별 투자 동향(과제 1건당 평균 투자 금액) 52
[그림 2-15] 스마트건설기술 분류 체계별 '20년 R&D 투자 동향(과제 수) 52
[그림 2-16] 스마트건설기술 분류 체계별 '20년 R&D 투자 동향(정부 투자 연구비) 53
[그림 2-17]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별 R&D 투자 연평균 증가율('16~'20) 55
[그림 2-18] '16년, '20년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 비교 56
[그림 2-19] 드론 기반 지형ㆍ지반 모델링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57
[그림 2-20] 드론 기반 지형ㆍ지반 모델링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금액('16~'20년) 58
[그림 2-21] BIM 적용 표준 국가 R&D 현황 59
[그림 2-22] BIM 적용 표준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0
[그림 2-23] BIM 설계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1
[그림 2-24] BIM 설계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2
[그림 2-25]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3
[그림 2-26]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4
[그림 2-27] 건설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기술 국가 R&D 현황 65
[그림 2-28] 건설기계 통합 운영 및 관제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6
[그림 2-29] 시공 정밀 제어 및 자동화 기술 국가 R&D 현황 67
[그림 2-30] 시공 정밀 제어 및 자동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68
[그림 2-31]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국가 R&D 현황 69
[그림 2-32] ICT 기반 현장 안전사고 예방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0
[그림 2-33] BIM 기반 공정 및 품질관리 국가 R&D 현황 71
[그림 2-34] BIM 기반 공정 및 품질관리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2
[그림 2-35]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국가 R&D 현황 73
[그림 2-36] IoT 센서 기반 시설물 모니터링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4
[그림 2-37] 드론ㆍ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국가 R&D 현황 75
[그림 2-38] 드론ㆍ로보틱스 기반 시설물 상태 진단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6
[그림 2-39]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국가 R&D 현황 77
[그림 2-40] 시설물 정보 빅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78
[그림 2-41]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국가 R&D 현황 79
[그림 2-42] AI 기반 유지관리 최적 의사결정 기술 연구단계별 정부 투자 연구비('16~'20년) 80
[그림 2-43] 주요 첨단기술과 건설단계별 업무의 관계 81
[그림 2-44] 스마트건설기술 분류체계 매칭 현황 82
[그림 2-45] 최고 기술국 및 한국의 스마트건설기술 발전단계 분석 결과 84
[그림 2-46] 최고 기술국 및 한국의 스마트건설기술 발전단계 수준 비교 84
[그림 2-47] 건설현장 무인ㆍ자동화 종합관제 솔루션 '컨셉트 엑스' 88
[그림 2-48] 포스코 A&C 스마트건설 수행 현황 89
[그림 2-49] GSIL 스마트 안전기술 적용 현장 사례 90
[그림 2-50] 도시기반시설본부(시설국) 2020년 주요 업무보고 비전 및 전략 체계도 95
[그림 2-51] 안전총괄실 2020년 주요 업무보고 비전 및 전략 체계도 97
[그림 3-1] 서울시 건설관련 플랫폼 현황 101
[그림 3-2] One-PMIS 주요기능 102
[그림 3-3] 건설알림이 서비스 지원 현황 103
[그림 3-4] 서울시 건설관리 시스템 현황 103
[그림 3-5] 대금e바로 시스템 개념도 104
[그림 3-6] 서울시 자체 스마트건설기술 중점분류 선정 현황 116
[그림 3-7] 핵심후보기술 평균 도입기간 121
[그림 3-8]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별 분류체계 조사ㆍ분석요약 123
[그림 4-1] 건설단계별 첨단 ICT 적용 기술과 업무 개선 126
[그림 4-2] 서울시 청렴건설행정시스템 127
[그림 4-3]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도입의 비젼 및 목표 128
[그림 4-4]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도입의 추진 전략 목표 128
[그림 4-5] 서울시 단계별 법제도 도입 방안 제시 129
[그림 4-6] 서울시 건설관리시스템 고도화 방안 제시 136
[그림 4-7] 스마트건설기술 도입을 위한 서울시 테스트베드 운영 방안 제시 137
[그림 4-8] 스마트건설기술 활성화 플랫폼 제시 138
[그림 4-9]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전담부서 업무(안) 도출 방법 140
[그림 4-10] 단계별 구분에 따른 전담부서 업무 분야 141
[그림 4-11] 전담부서의 역할 141
[그림 4-12] 스마트건설역량 강화를 위한 민관 교육 계획 143
[그림 4-13] 스마트건설기술 도입 로드맵 제시 144
[그림 4-14] 서울시의 스마트건설기술 도입 계념도 145
[표 부록-1] 공정 분류 예시 154
[표 부록-2] 세부 기술 분류 예시 155
[표 부록-3] 테스트베드 실증기술 요구수준 155
[표 부록-4] 스마트건설기술 분류 단위기술 161
[표 부록-5] 활용기술 요약표 161
[그림 부록-1] 스마트건설기술의 개념 150
[그림 부록-2] 건설단계별 스마트건설기술의 기능 및 적용 기술 150
[그림 부록-3] 서울시 스마트건설기술 활성화 플랫폼 개념도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