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서론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9
3. 연구 방법 10
4. 연구 추진 전략 12
Ⅱ. 이론적 배경 13
1. 국제교육과 글로벌교육의 발달 배경과 역사 14
2. 글로벌교육의 관련 개념 17
3. 세계시민역량, 외국어 의사소통 역량 23
4. 조직 구성 원리 35
Ⅲ. 연구방법: 설문조사 문항 개발 및 자료수집 40
1. 설문조사 진행 과정 41
2. 설문 문항의 구성 및 자료 분석 방법 43
3. 설문 참여 학교 및 대상의 기본 정보 46
Ⅳ.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학교 및 교육공동체의 국제교육 인식 및 요구분석 48
1. 학교에서 국제교육 실시 현황 분석 49
2. 교사, 학생, 학부모의 국제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56
Ⅴ. 시도교육청별 국제교육원(교육교류센터) 운영 현황 분석 61
1. 시ㆍ도 교육청별 국제교육원(교육교류 센터) 운영 현황 분석: 명칭 및 성격 62
2. 시ㆍ도 교육청별 국제교육원(교육교류 센터) 운영 현황 분석: 업무, 프로그램, 조직 64
3. 교육청의 국제교육원(교육교류센터) 사례 분석 81
Ⅵ. 교육청의 국제교육 업무 조직 현황 분석 86
1. 국제교육 주관 부서 및 업무 분장 87
2. 국제교육 업무 및 조직 분석 90
Ⅶ.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의 국제교육 업무 분석 99
1. 센터 운영의 비전 및 목표 100
2. 센터의 조직 및 운영 101
3.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의 국제교육교류 관련 업무조직 분석 101
4. 세종시 교육청 업무조직의 쟁점과 과제 102
Ⅷ.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 활성화 필요성 및 제안 104
1.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 활성화 필요성 105
2.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 활성화 방안 제안 111
Ⅸ. 결론 및 제언 117
1. 본 연구의 핵심 결과 119
2. 향후 정책과제 및 후속 연구 제안 124
참고문헌 및 자료 128
[부록] 134
1. 학교에서 국제교육 현황 설문지 135
2. 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 국제교육 인식 설문지 138
3. 설문결과 158
판권기 165
〈표 Ⅱ-1〉 국제교육 관련 유사 개념 이해 24
〈표 Ⅱ-2〉 Oxfam에서 제시한 세계시민교육 내용 25
〈표 Ⅱ-3〉 OECD 에서 제시한 글로벌 역량 교육 내용 27
〈표 Ⅱ-4〉 유럽의회 North-South Centre에서 제시한 글로벌 교육 내용 28
〈표 Ⅱ-5〉 UNESCO 에서 제시한 세계시민의 특성 29
〈표 Ⅱ-6〉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종합) 30
〈표 Ⅱ-7〉 Bolman & Deal의 조직의 네 가지 특성 38
〈표 Ⅲ-1〉 설문지에 제공한 국제교육의 개념 43
〈표 Ⅲ-2〉 설문조사 참여 학교 및 대상 47
〈표 Ⅳ-1〉 설문 대상 학교 및 응답 현황 49
〈표 Ⅳ-2〉 학교 전체의 교육과정에 반영 정도 50
〈표 Ⅳ-3〉 학교에서 실행하는 국제교육의 목표 50
〈표 Ⅳ-4〉 학교에서 실행하는 국제교육의 실행 방법 51
〈표 Ⅳ-5〉 학교에서 실행하는 국제교육의 주요 주제 및 실행 시간 52
〈표 Ⅳ-6〉 학교에서 국제교육 실행의 저해 요인 53
〈표 Ⅳ-7〉 학교에서 국제교육 관련 교사의 연수 이수 현황 54
〈표 Ⅳ-8〉 학교에서 국제교육 실행의 필요성과 의지 54
〈표 Ⅳ-9〉 학교에서 국제교육 실행을 위한 조건 55
〈표 Ⅳ-10〉 학교에서 국제교육 진행 방법 60
〈표 Ⅴ-1〉 시ㆍ도 교육청별 국제교육원(교육교류센터)의 성격과 명칭 63
〈표 Ⅴ-2〉 국제교육원(교육교류센터)의 업무 성격 분류 65
〈표 Ⅴ-3〉 시ㆍ도 교육청의 국제교육원 주요 업무 66
〈표 Ⅴ-4〉 외국어 교육(다국어 포함)의 주요 프로그램 71
〈표 Ⅴ-5〉 영어교육 주요 프로그램 72
〈표 Ⅴ-6〉 다문화교육 주요 프로그램 73
〈표 Ⅴ-7〉 세계시민교육 주요 프로그램 75
〈표 Ⅴ-8〉 문화체험의 주요 프로그램 76
〈표 Ⅴ-9〉 국제교류의 주요 프로그램 77
〈표 Ⅴ-10〉 시도 교육청의 국제교육원(교육교류센터) 조직 구성 78
〈표 Ⅴ-11〉 국제교육원(교육교류 센터)의 교직원 구성 79
〈표 Ⅴ-12〉 인천, 충북, 전남교육청의 국제교육원의 조직도 80
〈표 Ⅴ-13〉 충북, 충남, 전남 국제교육원의 비전, 목표, 세부과제 83
〈표 Ⅴ-14〉 충북, 충남, 전남 국제교육원의 조직 84
〈표 Ⅵ-1〉 교육청별 국제교육 업무 담담 부서 현황 88
〈표 Ⅵ-2〉 교육청별 국제교육 업무 담당 현황 89
〈표 Ⅵ-3〉 시도교육청의 국제교육 관련 업무 및 조직 현황 91
〈표 Ⅶ-1〉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교류센터 비전, 목표, 과제 100
〈표 Ⅶ-2〉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교류센터 조직 및 구성 101
〈표 Ⅶ-3〉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국제교육교류 관련 업무 102
〈표 Ⅷ-1〉 국제교육원 조직도 안 115
〈그림 Ⅱ-1〉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34
〈그림 Ⅲ-1〉 온라인 설문조사 초기 화면 41
〈그림 Ⅲ-2〉 설문 문항 개발 과정 42
〈그림 Ⅳ-1〉 국제교육 역량의 중요성 인식 56
〈그림 Ⅳ-2〉 국제교육의 주제 57
〈그림 Ⅳ-3〉 국제교육의 세부 목표 58
〈그림 Ⅳ-4〉 국제교육에서 외국어 교육의 목표 58
〈그림 Ⅳ-5〉 국제교육 진행 방법 59
〈그림 Ⅴ-1〉 국제교육 분야별 사업수행 교육청 수 65
〈그림 Ⅴ-2〉 국제교육 주요 업무 분야 분류 69
〈그림 Ⅷ-1〉 세종시교육청 국제교육 조직 구성 안(국제교육교류센터 기능 확대 안) 112
〈그림 Ⅷ-2〉 세종시교육청 국제교육 조직 구성 안(국제교육원 설립 시 조직구성 안)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