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4
01. 연구개요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2
1-1. 연구배경 12
1-2. 연구목적 13
2. 연구내용 및 방향 14
2-1. 연구내용 14
2-2. 연구방향 및 차별성 15
02. 국내ㆍ외 지진재난 대응체계 16
1. 해외 지진재난 대응분석 17
2. 국내 지진재난 대응분석 20
3. 서울시 지진재난 대응분석 23
03. 서울시 지질 및 지진이력 데이터 분석 26
1. 지질 데이터 분석 27
1-1. 암종 27
1-2. 단층 및 활성단층 28
2. 지진이력 데이터 분석 29
2-1. 지진지체구조구 29
2-2. 지진발생 현황 30
2-3. 서울시 미소지진 및 중력이상 30
04. 지진방재 훈련 시나리오 33
1. 지진활동 및 재난 대응 34
1-1. 지진 계열 34
1-2. 재난대응 절차 35
2. 훈련 영역 구분 38
3. 지진대비 훈련 시나리오 39
3-1. 지진 발생 시나리오 39
3-2. 지진대비 훈련 시나리오(세부시나리오 부록 참고) 42
4. 대피 훈련 방안 44
4-1. 서울시 지진대피소 현황 44
4-2. 대피 계획 표준 45
참고문헌 46
[부록] 훈련 시나리오 49
Abstract 51
판권기 54
[표 2-1] 미국과 일본의 지진재난 대응 체계 비교 17
[표 2-2] 해외 재난관련 법령 및 대응체계 비교 18
[표 2-3] 주요 안전방재선진국 훈련 시나리오 분석 비교표 19
[표 2-4]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제작 사례 21
[표 2-5]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제작 사례 21
[표 4-1] 동두천단층 지진 41
[표 4-2] 서울시 지자체별 인구수 대비 지진 옥외대피장소 수용현황 44
[표 4-3] ISO 22315 상의 대피계획 관련 주요내용 45
[그림 2-1] 지진 대비 매뉴얼의 단계별 종류 20
[그림 2-2] 재난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 대응체계 22
[그림 2-3] 재난대비 훈련의 유형(HSEEP) 24
[그림 3-1] 서울의 지질 27
[그림 3-2] 국내의 활성단층(한국지질자원연구원) 28
[그림 3-3] 한반도의 지진지체구조구 29
[그림 3-4] 경주지진 전후의 지진 발생 현황 30
[그림 3-5] 서울시 일원의 미확인 단층(최승찬 외, 2021) 31
[그림 3-6] 수도권 일원 깊이별 전단파속도 모델(Kil et al., 2021) 32
[그림 4-1] 본진 이후 후진의 빈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모양 34
[그림 4-2] 지진 대비 단계 35
[그림 4-3] 지진 대비 단계 36
[그림 4-4] 서울지역 지진대비 훈련을 위한 영역구분 38
[그림 4-5] 진앙 위치 39
[그림 4-6] 진원 위치 40
[그림 4-7] 지진 계열 40
[부록 표 1] 서울시 재대본 지휘부 / 초기 대응부서 / 자치구 재난안전대책본부 지진 대응 임무ㆍ역할 숙달 훈련 시나리오 : 동두천단층대 규모 6.3지진 발생(세부 시나리오는 별첨자료 참고)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