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에듀테크의 개념과 활용 6
01. 에듀테크의 개념과 특징 7
02. 에듀테크 활용의 효과성 분석 15
Ⅱ. 환경 및 현황 분석 24
01. 에듀테크 시장 및 동향 분석 25
02. 에듀테크 활용 환경 분석 41
03. 교육 현장 및 기업의 요구분석 52
Ⅲ.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 방안 67
01. 에듀테크 생태계의 개념 및 특징 68
02. 에듀테크 생태계의 미래 모형과 성공요인 79
Ⅳ. 정책과제별 추진 방안 87
01. 정책과제 도출 과정 및 개선 방향 88
분야 01. 에듀테크 활용도 제고 97
분야 02. 에듀테크 산업 육성 117
분야 03. 에듀테크 지원체계 정립 141
분야 04. K-에듀테크 글로벌 협력 확산 161
Ⅴ. 정책 집행과 후속 과제 175
[부록]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연구 개요 182
참고문헌 185
판권기 196
표 2-1. 2022년 초중등 분야 에듀테크 분야별 제품 39
표 2-2. 제1~6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의 특징 42
표 2-3.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주요과제 45
표 2-4. 교육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현황 설문문항 구성 53
표 2-5. 교육현장 대상 설문 응답자 특성 53
표 2-6. 교육현장의 에듀테크 활용 경험 여부 54
표 2-7. 에듀테크 활용 유형 및 정도(교과수업) 55
표 2-8. 에듀테크 활용 유형 및 정도(학급ㆍ학생관리/행정업무지원) 56
표 2-9. 에듀테크 활용 과정에서 느낀 좋은 점 57
표 2-10. 에듀테크 활용 과정에서 느낀 어려운 점 58
표 2-11. 에듀테크 활용이 어려웠던 주요 이유 59
표 2-12. 에듀테크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60
표 2-13. 에듀테크 활용을 위해 지원되어야 할 사항 61
표 2-14. 에듀테크 기업의 요구 분석 설문문항 구성 62
표 2-15. 에듀테크 기업 대상 설문 응답자 특성 63
표 2-16. 에듀테크 산업진흥 정부정책 종합 만족도 64
표 2-17. 에듀테크 산업진흥 법률 제정 및 진흥원 신설 필요성 66
표 3-1. CPNDS에 의한 에듀테크 산업 분류 72
표 4-1. 문제 분석을 통한 주요 과제 도출 및 개선 방향 89
표 4-2. 에듀테크 활성화 세부 과제 및 주요 내용 92
표 4-3. 에듀테크 전문인력의 역할 관련 연구 동향 103
표 4-4. 바우처 금액 산정 방안 108
표 4-5. 에듀테크 소프트랩 실증 프로그램 유형 확대 방안 120
표 4-6. 한국형 에듀테크 증거 기준(안)(K-Edtech evidence Framework) 121
표 4-7. NESTA의 에듀테크 혁신 테스트베드 4단계 123
표 4-8. NESTA의 에듀테크 실증 모델 123
표 4-9. 영국 NESTA 증거 기준 프레임워크 125
표 4-10. 교육 현안 해결형 에듀테크 개발 참여 주체(학교ㆍ기업)별 역할 예시 126
표 4-11. 페다고지 교육훈련 구성(안) 136
표 4-12. 신규 에듀테크 전문인력 양성교육 구성(안) 137
표 4-13. 재직자 역량 향상교육 구성(안) 137
표 4-14. 에듀테크 활용 지원인력 양성교육 구성(안) 138
표 4-15. 1EdTech의 Student Learning Data Model 구성 내용 150
표 4-16. 국가별 에듀테크 정책/계획 시행 책임 조직 158
표 4-17. 해외 주요 박람회 170
표 5-1. 과제별 추진일정 177
그림 1-1. 에듀테크의 정의 9
그림 2-1. 14개국 국가별 디지털 교육정책 현황 26
그림 2-2. 국내 에듀테크 시장 규모 및 전망 27
그림 2-3. 세계 에듀테크 산업 지출 추이 전망 28
그림 2-4. 에듀테크 주요 기술들의 지출 추이 및 전망 29
그림 2-5. Holon IQ의 에듀테크 산업 분류체계 32
그림 2-6. NAVITAS의 에듀테크 생태계 분류체계 33
그림 2-7.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분포 34
그림 2-8. 국내ㆍ외 학습콘텐츠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35
그림 2-9. 국내ㆍ외 기술 플랫폼 영역 비즈니스 분야 비교 36
그림 2-10. 국내ㆍ외 네트워크 기반 부문 비즈니스 분야 비교 37
그림 2-11. 국내ㆍ외 에듀테크 기업 디바이스 부분 비즈니스 분야 37
그림 2-12. 2022년 대한민국 에듀테크 마켓맵 38
그림 2-13. 6단계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비전 및 전략 44
그림 2-14. 디지털 시대 교육의 대전환 방향 47
그림 2-15/그림 2-17. 에듀테크 공급자 애로사항 65
그림 3-1.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의 구성 69
그림 3-2. 현(As-Is)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의 문제점 74
그림 3-3. CPS(Cyber-Physical System) 기반의 에듀테크 활용 모델 79
그림 3-4. 교육 전환에 따른 교수자의 역할 변화 82
그림 3-5. 에듀테크 활용 교육 생태계 미래(To-Be) 모델 83
그림 4-1. 에듀테크 활성화의 문제점 및 해결을 위한 추진과제 연계도(안) 90
그림 4-2. 에듀테크 활성화 비전, 추진 전략 및 과제 91
그림 4-3. 중앙 및 권역(거점)별 에듀테크 지원센터의 역할도 102
그림 4-4. 학교의 구매 절차 간소화를 위한 K-에듀파인과 S2B 간 연계 방안 106
그림 4-5. 에듀테크 소프트랩 운영 모델 확대(안) 118
그림 4-6. 에듀테크 소프트랩 실증 절차 119
그림 4-7. Competencies and Academic Standards Exchange Frameworks 134
그림 4-8. 1EdTech가 정의한 디지털 전환 147
그림 4-9. 1EdTech가 정의한 Student Learning Data Model (예시) 150
그림 4-10.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단계별 1EdTech의 에듀테크 표준 목록 152
그림 4-11. 미국, Greenville County Schools의 디지털 학습 생태계 구성 153
그림 4-12. 미국의 에듀테크 제품에 대한 EdSurge Index 페이지 154
그림 4-13. 1EdTech에서 제공하는 Student Learning Data Model 중 미디어 객체 데이터 사전 155
그림 4-14. 해외진출 전략 수립 절차도 163
그림 4-15. 싱가포르 Smart Nation Initiative 166
그림 4-16. Singapore : State of Edtech Report 2022 (Skills Nation) 166
그림 4-17. Bett Show 인사이트 공유 사례 172
그림 5-1.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연구 절차 183
그림 5-2. 전문가 작업반 구성도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