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3제1장 최초의 한글 지리 교과서 헐버트의 『민필지』 151. 『민필지』 저술의 맥락 182. 『민필지』의 내용과 그 영향 223. 헐버트의 한국관과 항일운동 26제2장 개화기 지리교과서, 오횡묵의 『여재촬요(與載撮要)』 311. 유능한 행정가이자 문필가 오횡묵 352. 오횡묵의 『여재촬요(與載撮要)』 집필동기와 지리학자적 면모 423. 『여재촬요(與載撮要)』 집필과 출판 과정 464. 『여재촬요(與載撮要)』의 서지적 특성 585. 『여재촬요(與載撮要)』 세계지리 부분 구성과 주요 내용 63제3장 개화사상가 유길준의 세계지리 지식에 대한 관심 831. 시대적 배경 862. 유길준의 지리 지식의 형성과정 893. 『서유견문』의 세계지리 내용의 구성과 기존의 논의 1094. 『서유견문』의 세계지리 내용의 구성에 대한 분석 128제4장 개화기 학부의 지리 교과서 발간 1431. 갑오개혁기 학부의 등장과 그 역할 1462. 개화기 학부의 도서 및 교과서의 출판 활동 1483. 개화기 학부의 지리 교과서의 출판 1594. 학부의 지리교과서의 출판 과정의 쟁점들 163제5장 근대 서양 지리 교과서의 문명 사회 발전 단계론의 수용과 변용 1811. 근대 지리학의 형성과 문명사회 발전 단계론 1842. 계몽시대의 문명론과 스코틀랜드의 문명사회 발전단계론 1873. 미국에서의 문명 사회 발전단계론의 도입, 수용과 변용 2044. 일본의 미국에서의 문명발달 단계론의 수용과 변용 2275. 한국에서의 문명사회 발전단계론의 도입과 전개 242제6장 일제 강점기 총독부 발간 지리 교과서로 본 우리나라의 지리교육 2531. 일제 강점기 ‘조선교육령’과 지리 교과서 2562. 가치 있는 대상으로서 국토 이미지의 강조 2703. 태평양 전쟁을 선전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지리 교과서 2804. 맺음말 287제7장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지문학(地文學)의 도입과 변화 2911. 해방 직후 중등 지리과 교수요목과 ‘지문’ 과목의 유사성 2952. ‘지문’의 중등교육 도입과 변화 3043. 맺음말 339참고문헌 345찾아보기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