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_ 3

제1장-교육사회학의 기초… …………………………… 13
제1절 교육사회학의 개념 _ 15
제2절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_ 18
가. 역사적 태동과정 _ 18
나. 교육사회학의 주요 학자들 _ 24

제2장-교육사회학 접근 이론… ………………………… 33
제1절 기능이론 _ 35
가. 등장배경 _ 35
나. 기본전제 _ 36
다. 교육을 보는 관점 _ 37
라. 기능이론 관련 주요 학자들 _ 39
마. 기능이론의 범주 _ 48
제2절 사회화와 선발·시험 _ 57
가. 사회화 _ 57
나. 교육선발과 시험 _ 58
제3절 갈등이론 _ 67
가. 등장배경 _ 67
나. 기본전제 _ 67
다. 갈등이론의 범주 _ 69
라. 교육을 보는 관점 _ 90
마. 학교를 보는 관점 _ 90
바. 비판점 _ 93
사. 갈등이론을 대변하는 대표 저서 _ 94
제4절 신교육사회학 _ 98
가. 등장배경 _ 98
나. 주요관점 _ 106
다. 신교육사회학자 _ 114
라. 신교육사회학 이론의 범주 _ 115
마. 교실사회학 _ 131

제3장-교육평등론…………………………………………147
제1절 교육평등관의 발달 _ 149
가. 콜맨의 교육평등관 _ 149
나. 후센의 교육평등관 _ 150
다. 스미스와 오를로스키의 교육평등관 분류 _ 151
라. 존 롤스의 정의론 _ 151
마. 정의를 실현하는 원칙 _ 159
바. 교육평등관 분류 _ 161
사. 국가별 빈곤퇴치 프로그램 _ 164
아. 교육평등과 사회평등과의 관계 _ 168
제2절 교육기회 측정지표 _ 169
가. 취학률 _ 169
나. 진학률 _ 170
다. 교육선발지수 _ 170
라. 탈락률 _ 170
마. 지니계수(Gini Coefficient) _ 171
제3절 교육격차 인과론 _ 173
가. 지능결핍론 _ 173
나. 문화환경결핍론 _ 174
다. 교사결핍론 _ 175
라. 학급문화와 학교풍토 _ 179
제4절 엘리트주의와 평등주의 _ 183
제5절 교육선발과 배치 _ 185

제4장-문화와 사회화… …………………………………193
제1절 문화의 특징 _ 195
제2절 문화기대와 문화변동 _ 200
제3절 문화지체와 문화실조 _ 205
제4절 사회화 _ 207
제5절 사회변화와 사회통제 _ 212
제6절 지위와 역할 및 아노미 _ 218
가. 사회적 지위와 역할 _ 218
나. 아노미(Anomie) _ 220

제5장-사회집단/사회계층/사회자본과 교육… ………229
제1절 동료집단 _ 231
제2절 집단 유형 _ 233
제3절 사회계층 _ 236
제4절 사회계층의 분류 방법 _ 241
제5절 사회계층 이동 _ 254
제6절 사회자본 _ 258
가.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 _ 263
나. 사회자본으로서의 사이버 공간 _ 264
다. 사회자본으로서의 사회관계망 _ 266

제6장-청소년 문화/비행/자살… ………………………277
제1절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_ 279
가. 청소년의 개념 _ 279
나. 청소년의 발달과업 _ 279
다. 청소년의 발달 특성 _ 280
제2절 청소년 문화 _ 281
가. 청소년 문화의 개념 _ 281
나. 문화의 일반적 특징 _ 281
다. 청소년 문화의 유형 _ 282
라. 청소년 문화의 문제점 _ 285
제3절 청소년 비행이론 _ 286
가. 청소년 비행의 개념 _ 286
나. 청소년 비행이론 _ 287
제4절 청소년 자살 _ 302
가. 자살의 동기 _ 303
나. 자살의 유형 _ 305
다. 청소년 자살에 대한 예방대책 _ 308

제7장-학교와 사회… ……………………………………311
제1절 사회체제와 학교의 사회적 기능 _ 313
가. 사회체제 _ 313
나. 학교의 사회적 기능 _ 315
제2절 학교풍토 _ 316
제3절 지역사회와 교육 _ 319
가. 지역사회 _ 319
나. 지역사회학교 _ 321
제4절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 _ 324
가. 민주시민교육 _ 324
나. 통일교육 _ 328
제5절 다문화 교육 _ 332
가. 다문화 가정 _ 332
나. 다문화 교육 _ 334
다. 다문화 교육 모델 _ 338
제6절 평생교육 _ 340
가. 평생교육의 의미 _ 340
나. 평생교육의 필요성 _ 341
다. 평생교육의 발달과정 _ 342
라. 평생교육의 특성 _ 346
제7절 학교의 유형 _ 351
가. 자유학교(대안학교) _ 351
나. 홈스쿨링 _ 352
다. 고등학교(일반고, 특수목적고, 자율고) _ 355

제8장-정보사회와 교육… ………………………………361
제1절 정보화의 특징 _ 367
가. 정보화의 특징 _ 367
나. 정보화의 사회적 변화 _ 372
다. 정보화의 효과 _ 374
라. 정보사회의 전개와 발전 _ 374
제2절 정보사회를 보는 관점 _ 375
가. 기술공학적 관점 _ 375
나. 경제학적 관점 _ 376
다. 사회학적 관점 _ 377
라. 문화적 관점 _ 380
제3절 정보사회의 교육과 교사의 역할 _ 382
가. 교육의 방향 _ 382
나. 교사의 역할 _ 386
제4절 감성사회의 도래와 4차 산업혁명 _ 393
제5절 가상화폐 _ 400
가. 가상화폐의 개념 _ 400
나. 가상화폐의 기술적 특징과 발전 가능성 _ 408

참고문헌 _ 413
찾아보기 _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