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서론 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2. 연구 내용과 방법 6
Ⅱ. 선행연구 검토 8
1. 사업주 지원 직업능력개발훈련 8
2. 개인 지원 직업능력개발훈련 11
Ⅲ. 조사 결과 분석 15
1. 조사 설계 15
2.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고도화 방안 델파이 조사 결과 17
3.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고도화 방안 개방형 질문지 결과 분석 22
4.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프로세스에 따른 우수사례(Best Practice) 컨설팅 영역 및 활동에 대한 우선순위 조사 결과 25
Ⅳ.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관계자 심층 면담 분석 31
1. 심층 면담 개요 31
2.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훈련기관 담당자 심층인터뷰 주요 결과 32
3.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훈련생 심층인터뷰 주요 결과 37
Ⅴ. 결론 및 제언 42
1. 결론 42
2. 정책 제언 46
참고문헌 52
Abstract 53
판권기 56
[표 Ⅱ-1]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현황 8
[표 Ⅱ-2] 산업계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 사업단 선정 현황(2023년 1월 1일 기준) 11
[표 Ⅱ-3]/[표 Ⅱ-4] 거버넌스 활용 직업능력개발훈련 14
[표 Ⅲ-1] 전문가 조사 참여 패널 15
[표 Ⅲ-2] 전문가 조사 영역과 항목 16
[표 Ⅲ-3]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 고도화 방안 1차 델파이조사 결과 17
[표 Ⅲ-4]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 고도화 방안 2차 델파이조사 결과 20
[표 Ⅲ-5] 지원대상 및 육성산업 훈련직종 선정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26
[표 Ⅲ-6] 훈련 수요조사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27
[표 Ⅲ-7] 훈련과정 개발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28
[표 Ⅲ-8] 훈련기관 발굴 및 심사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29
[표 Ⅲ-9] 훈련운영 모니터링 및 지원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29
[표 Ⅲ-10] 훈련생 참여 유인 제고의 활동별 중요성 및 긴급성 기초통계 30
[표 Ⅳ-1] 심층인터뷰 일정 및 참석자 정보 31
[표 Ⅳ-2] 훈련기관 담당자 심층인터뷰 질문 내용 31
[표 Ⅳ-3] 훈련생 심층인터뷰 질문 내용 32
[표 Ⅴ-1] 직종별 스킬요구 대응 예시 46
[그림 Ⅰ-1] 연구 추진 절차 및 방법 7
[그림 Ⅱ-1] 지역ㆍ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 체계 10
[그림 Ⅱ-2]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주요 체계 및 흐름 12
[그림 Ⅱ-3] 지역주도형 아카데미 사업 운영 체계 13
[그림 Ⅲ-1] 지원대상 및 육성산업 훈련직종 선정의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25
[그림 Ⅲ-2] 훈련 수요조사의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26
[그림 Ⅲ-3] 훈련과정 개발의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27
[그림 Ⅲ-4] 훈련기관 발굴 및 심사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28
[그림 Ⅲ-5] 훈련운영 모니터링 및 지원의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29
[그림 Ⅲ-6] 훈련생 참여 유인 제고의 활동별 우선순위 조사 결과 30
[그림 Ⅳ-1] 대전지역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참여기관의 경력경로(안) 36
[그림 Ⅴ-1]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우수사례 발굴 컨설팅 모델(안) 45
[그림 Ⅴ-2] 지원대상 산업 수요조사 모델(안) 47
[그림 Ⅴ-3] 육성산업 수요조사 모델(안) 48
[그림 Ⅴ-4]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성과관리 모형과 정책 제언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