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책의 범위 및 내용 3제2장 주요 정책결정 이론들에 대한 검토 41. 정책결정의 개념 42. 정책결정의 주요 모형들 71) 합리모형 72) 만족모형 143) 점증모형 164) 혼합주사 모형 205) 최적 모형 216) 관료 정치 모형 237) 회사모형 268) 쓰레기통 모형 299) 공동선택 모형 32제3장 우리나라 전자 정부 발전사와 현황 34 1. 전자 정부에 이르는 여정: 정보 혁명 342. 우리나라 정보화 정책의 고찰: 행정 전산화와 전자 정부의 개념 381) 우리 나라 정보화 정책의 역사 382) 기존의 우리나라 정보화 정책 추진 상의 난점들 433) 정보화 정책 추진 체계의 문제점 453. 전자 정부 추진의 목적들: 전자 정부의 가치들 471) 전자 정부가 추구하는 가치관 482) 기술성과 조직 및 인간 요소(Organizational & Human factors)들간의 관계 524. 전자 정부화와 관련된 정책 이슈들 531) 리엔지리어링과 정부 개혁 532) 정보 자원관리(IRM)과 CIO 제도 585. 전자 정부의 방향성에 대한 시론적 논의 66제4장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인공 지능과 집단 사고 701. 인공 지능에 대한 접근법들 701) 인공 지능과 관련된 초기 논의 등 702) 인공 지능 연구의 발전 753) AI 시대에 따른 변화와 문제점에 대한 고찰 792. 정보 과부하 833. 정책 결정의 품질 문제 894. 집단 사고 935. 성공의 덫 101제5장 정책결정 상의 인지적, 제도론적 제약 1051. 주요한 제약 요인들 1052. 제도경제학의 맥락 116제6장 결론 118참고문헌 119